The power to probe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power to probe



Prosecutors and police often clash over civil investigations. Prosecutors want to maintain their leadership over sensitive probes, while police want the ability to initiate investigations on their own.

Under Article 196 of the Criminal Procedure Law, the police must investigate under the leadership of prosecutors. In other words, police can start and close a case under the prosecutor’s order.

The National Assembly’s special committee on judicial reform agreed to modify the criminal law to grant police authority to start a case on their own and liberate them from the obligation to follow orders from prosecutors. The revised legislation, after going through coordination with the government, will be put to a vote in the National Assembly by the end of the month.

Changes in the power to investigate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y directly affect the human rights of the public.

We believe that prosecutors are endowed with excessive power during investigations, which can become persecutions. In order to ensure balance and fairness in law enforcement, some of the prosecutors’ authority should be shared with the police.

In fact, there is no reason for prosecutors to get involved in commanding police in traffic accident cases. Police can deal with simple cases of determining fines and punishment that are in violation of traffic laws.

The police are also capable of taking control over minor criminal cases like domestic violence. The prosecutors will then be able to concentrate their resources on bigger public cases.

Such changes, however, should take place after broad consensus is established through a thorough public debate. Otherwise, various unintended consequences could ensue. We must first ask the public if they feel safe in leaving authority over criminal cases in the hands of the police. The police, with a manpower force of over 100,000 and an intelligence network, could be capable of handling domestic and criminal cases.

As a matter of fact, the prosecution and police set up a council to find ways to coordinate authority in investigations in 2004, but failed to reach a consensus even after 15 meetings. It is that subtle and sensitive of an issue.

However, it should not be seen as power struggle between the two law enforcement agencies or develop into a political issue. It must be dealt with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enhancing public service and human rights.



검찰과 경찰의 수사권 조정은 해묵은 과제다. 경찰에 대한 수사 지휘권을 유지하려는 검찰과 독자적인 수사 개시권을 가지려는 경찰이 대립하는 양상이 이어져 왔다. 논쟁의 핵심에는 ‘사법 경찰관은 검사의 지휘를 받아 수사를 해야 한다’는 형사소송법 196조 1항이 놓여있다. 모든 사건에서 경찰은 검사의 지휘 아래서 수사를 개시하고 종결할 수 있다는 의미다. 수사권 조정은 경찰이 자체적으로 수사를 할 수 있게 이 조항을 바꾸는 걸로 압축된다. 국회 사법개혁특별위원회는 경찰에 수사 개시권을 주고 검찰에 대한 복종의무를 폐지키로 한 형소법 개정안에 합의했고, 정부의 조정안을 참고해 이달 말까지 국회 본회의에서 처리할 계획이다.

수사권 조정은 매우 중요한 문제다. 국민의 인권과 직결됐기 때문이다. 검찰에게 지나치게 권력이 편중돼 있다는 지적과 비판은 타당하다. 균형과 견제의 측면에서 검찰의 독점권 일부를 경찰에 돌리는 것은 바람직하다. 단순 교통사고까지 검찰이 지휘할 이유는 없다. 도로교통법 위반 사례처럼 벌금이나 과태료 정도로 끝날 사안이라면 경찰에게 수사권을 넘겨도 된다. 폭력 등 민생치안 사건을 경찰의 역량에 맡길지 논의해볼 시점도 이젠 됐다. 대신 검찰은 ‘거악(巨惡)’ 척결에 주력하는 방향으로 사회적 논의를 진척시킬 필요가 있다.

이런 합의 과정이 배제된 수사권 조정은 부작용과 후유증을 부를 수 있다. 하루 아침에 경찰이 모든 형사 사건에서 견제도 받지 않고 수사하는 것이 과연 바람직한지 국민에게 물어봐야 한다. 10만명이 넘는 인력과 방대한 정보력을 가진 경찰이 자의적인 내사와 수사를 하는 상황도 상정할 수 있다. 2004년에 검·경수사권조정협의체까지 구성됐지만 15차례의 회의를 거치고도 조정안을 도출하지 못했다. 그만큼 미묘하고 민감하다.

수사권 조정이 검·경의 세대결이 돼서도, 정치권의 정략적 이해에 따라 결정해서도 안 된다. 국민 편익을 증진시키고 인권 보호 차원에서 이뤄져야 한다. 공론화 과정이 미흡한 채 뚝딱 해치우기엔 너무 위험하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