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secution and police strike deal on investigations

Home > National > Social Affairs

print dictionary print

Prosecution and police strike deal on investigations

테스트

National Police Agency Commissioner Cho Hyun-oh, standing, passes Justice Minister Lee Kwi-nam at a meeting of the National Assembly’s special committee on judicial reform yesterday. [NEWSIS]

Ending a months-long dispute over the power to investigate crimes, police and the prosecution agreed yesterday to grant police partial rights to initiate criminal probes under the broad supervision of prosecutors.

The agreement came a few hours after National Police Agency Commissioner Cho Hyun-oh, Justice Minister Lee Kwi-nam, Blue House Chief of Staff Yim Tae-hee and several other officials sat down for talks at the Blue House to reach a compromise mediated by Prime Minister Kim Hwang-sik.

“As you may already know, this issue has been a contentious issue between the two organizations,” Prime Minister Kim Hwang-sik said in a press briefing yesterday at the Central Government Complex in Seoul. “But the two sides managed to reach an agreement as they’re determined to sincerely solve the matter.”

Ever since the National Assembly’s special committee on judicial reform said in March it would try to revise a law to free police from the prosecution’s supervision in criminal investigations, the feud between the police and the prosecution turned ugly.

Under Article 196 of the Criminal Procedure Law, the police can only start and close a case under orders from the prosecution.

Prosecutors have maintained that if the police were given investigative powers without their supervision, there would be a danger of human rights violations.

Under the agreement, the first clause of Article 196 will be changed. Instead of saying the police “should” conduct investigations under the supervision of prosecutors, it will say police are supervised by the prosecutors in their investigations.

“The old view was that the first clause of Article 196 could be interpreted to mean ‘Police don’t conduct a probe without prosecutor’s supervision,’” said Rim Che-min, chief of staff of the Prime Minister’s Office. “This issue was also brought up in the National Assembly, so we decided to change it.”

Under yesterday’s agreement, the two sides also agreed to delete Article 53 of the law governing the prosecutors’ office, which states, “Police investigators must comply with orders made by prosecutors in the line of duty.”

The police will be able to open an investigation if there is suspicion of a crime.

The agreement was submitted and passed by the National Assembly special committee yesterday afternoon and the new wording was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s Legislation and Judiciary Committee, which will submit it for a vote by the full Assembly.

To avoid overlapping investigations between the police and prosecutors, the government plans to define specific boundaries for each agency.

It is the first time the police will be named as main investigators since the code of criminal procedure was enacted in 1954.

“The police accept and respect the government’s compromise,” said Park Jong-jun, a senior official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By Kim Seung-hyun, Kim Mi-ju [mijukim@joongang.co.kr]

한글 관련 기사 [중앙일보]
“경찰은 명분, 검찰은 실리 얻었다”
7년 만의 타결 … 득실 계산은
20일 합의된 검경 수사권 조정안은 “검찰은 실리를, 경찰은 명분을 얻었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검찰은 종전처럼 경찰 수사를 지휘할 수 있는 근거를 지켜냈고, 경찰은 그동안 염원했던 수사개시권을 보장받게 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형사소송법 개정안 196조 1항(‘사법경찰관은 모든 수사에 관하여 검사의 지휘를 받는다’) 중 ‘모든 수사’와 ‘지휘’ 등 주요 개념과 그 범위가 모호해 양측의 갈등이 재연될 것이란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일단 일반 국민 입장에서 크게 달라지는 부분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현행 형소법 아래에서도 경찰은 절도·교통 등 대부분의 사건에서 검사의 지휘를 받지 않고 수사를 개시해 진행해 왔다. 경찰 내부에서는 “수사 개시권을 확보했다고는 하지만 검사의 지휘권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건 마찬가지 아니냐”는 불만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검찰의 경우 대외적으로 “경찰 뜻대로 된 것”이란 반응을 보이면서도 내부적으론 “검찰의 수사 지휘권을 지킴으로써 기존 시스템은 유지할 수 있게 됐다”고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경찰은 아쉬운 대로 수사 개시권을 적극 활용해 자율성을 키워나갈 방침이다. 그래서 “검사가 경찰 수사를 일방적으로 중단시키거나 사건을 즉시 송치하라고 지시하는 일은 없어질 것”이란 점을 강조하고 있다. 경찰청 관계자는 “수사 종결 시점에 구속영장 신청이나 송치와 관련해서만 지휘를 받으면 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특히 내사 개시와 진행에 있어선 검찰의 지휘를 받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예를 들어 경찰이 불법 시위 혐의로 참가자들을 연행해 왔는데 조사 결과 명백하게 혐의점이 없을 경우 경찰이 자체적으로 훈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박종준 경찰청 차장은 “개정 법 조문에 들어가는 ‘수사’에 ‘내사’는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총리실·검찰 등) 회의 참석자들이 양해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검찰은 “내사도 국민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수사의 일종으로 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대검 관계자는 “개정안에 ‘모든 수사’라고 한 만큼 경찰의 무분별한 내사도 당연히 검찰 통제를 받도록 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이처럼 검경이 각각 다르게 해석함에 따라 검사 지휘권에 대한 법무부령 제정을 두고 양측이 다시 마찰을 빚을 가능성이 작지 않다.

◆내사(內査)=정식 사건으로 입건하기 이전에 범죄 혐의 여부를 확인하는 조사 단계를 의미한다. 형사소송법에 규정된 법률용어는 아니다. 2001년 대법원은 입건 여부에 구애받지 않고 조사의 실질적 내용을 따져 내사와 수사를 구별해야 한다는 취지의 판결을 내린 바 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