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 duty to its multiethnic children

Home > Opinion > Columns

print dictionary print

Korea’s duty to its multiethnic children



Lately, we frequently see foreigners who speak fluent Korean on television. They have mastered the language, and they usually come to Korea to work or study without experiencing financial difficulties. But many more foreign residents in Korea experience hardships because of limited Korean proficiency.

“I don’t speak Korean very well, so I have trouble helping my kids with homework or preparing school supplies,” said a mother of a multiethnic family. “One day, my son came home from school and asked me why I was Mongolian and not Korean.” She is not the only one struggling to raise kids in an unfamiliar culture. Korea is the second home for immigrants who marry Koreans. But even after living here for several years, many cannot obtain proficiency in Korean. And with limited vocabulary and pronunciation, they find it hard to get involved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ere were 31,788 students from multiethnic background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2010 - a five-fold increase from 2005. If the trend continues, about 20 percent of Korea’s youth is expected to come from multiethnic families by 2020. The number of multiethnic children is growing rapidly, but so is their drop-out rate. While 85 percent attend elementary school, only 60 percent of multiethnic children go to middle school and merely 30 percent move on to high school.

The cause is low language proficiency. Children who grow up in multiethnic families often lack Korean language skills, and they often have trouble following along in class and getting along with classmates. Furthermore, more than 40 percent of multiethnic families live in poor rural villages. Many parents are busy making ends meet and are unable to be actively involved in education or child care. Some children are virtually neglected at home or in the streets.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nd three other government agencies are working together to standardize Korean education for multiethnic families, and more educational centers are being opened, growing from 76 to more than 300. Yet their impact will be limited. There is no ministry in charge of general support and assistance for multiethnic families.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who are fluent in their native languages will be valuable assets for Korea. The country is neglecting its duty if it fails to give them a chance to shine.

*The writer is the chairman of the Chungcheong Forum

By Sung Wan-jong

다문화 가정 자녀에 한국어 교육 시급하다

요즘 TV를 보면 한국어에 능숙한 외국인들이 많이 등장한다. 그런데 이렇게 TV에 나와 능숙하게 한국어를 구사하는 외국인들은 대부분 경제적 어려움 없이 오로지 취업이나 학업을 위해 우리나라에 온 사람들이다. 하지만 한국에 사는 외국인들 가운데는 한국어 문제로 인해 고충을 겪고 있는 사람들이 훨씬 더 많다.

“한국말 잘 몰라서 아이 학교 준비물도 못 챙겨주고 숙제도 못 도와줘요. 아이가 학교에서 오더니 ‘왜 엄마는 한국인이 아니고 몽골사람이야?’ 라고 묻는데 가슴이 아파서…”. 한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자책 섞인 고민이다. 과연 이것이 하나의 다문화 가정 어머니만의 고민이라고 할 수 있을까. 자녀를 초·중학교에 보낸 결혼 이민 여성들에게 한국은 제 2의 고향이다. 하지만 결혼 후 수년 동안을 한국에서 살아도 이들은 우리말의 발음과 표현이 미숙해 자녀 교육에 있어 도움을 주지 못한다.

교육과학기술부 통계에 따르면 2010년 기준 초‧중‧고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 가정 자녀는 3만1788명으로 2005년 이후 5년 사이에 5배 이상 증가했다. 이 상태가 지속되면 2020년에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20%가 다문화 가정 출신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듯 다문화가정 자녀수는 급격히 늘어나는데 비해 그들의 진학률은 감소한다.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초등학교 취학률이 85%이나 중학교로 올라가면 60%로 감소하고 고등학교에 이르면 30%로 급락한다.

진학률이 낮아지는 주요 원인이 바로 한국어 문제다. 한국어가 미숙한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수업과 교우관계에 어려움이 생기고, 결국 누적된 학습격차로 인해 도태된다. 더욱이 다문화가정의 40% 이상이 상대적으로 경제적 어려움이 심한 농어촌에 밀집돼 있어 대부분의 부모들이 경제활동으로 자녀들을 잘 돌보지 못해 사실상 아이들은 빈 집이나 거리에 방치돼 있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행정안전부를 포함한 4개 부처가 다문화 가정을 위해 한국어 교육을 표준화하는 한편, 교육기관 수도 종전 76개소에서 약 300개 이상으로 대폭 확대했다. 하지만 체감효과는 아직 크지 않다. 무엇보다도 다문화 가정 지원업무를 총괄하는 담당 부처가 없기 때문이다. 언어에 능통한 다문화 가정 출신 자녀는 곧 우리나라의 소중한 자산이다. 이 소중한 자산이 빛을 보지 못하게 하는 것은 국가의 직무유기다.

성완종 충청포럼 회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