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time for celebration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No time for celebration



North Korea and China signed the Sino-North Korean Treaty of Friendship, Cooperation and Mutual Assistance on July 11, 1961. Article Two of the pact declares that if one faces a military attack by either a state or allied forces, the other should provide military or other forms of support without hesitation in what amounts to a clause on obligatory intervention, allowing China to step into a crisis on the Peninsula.

The two allies showed off their solid alliance with high-level official visits to each country to commemorate the 50th anniversary of the treaty. Yang Hyung-sop, vice chairman of the Standing Committee of Supreme People’s Assembly of North Korea, led a delegation to Beijing Saturday. Zhang Dejiang, a deputy vice premier of State Council of China, also visited Pyongyang yesterday with a delegation. In a de facto rupture of South-North relations and amid the North’s ever-deepening economic reliance on China, the two partners are still boasting of their deep blood ties at home and abroad.

Over the past half century, the situation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has drastically changed. With the end of the Cold War in the late 1980s, the Soviet Union disappeared from the world map. Russia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with South Korea in 1990, and South Korea and China, two former adversaries, set up diplomatic ties two years later. In 2000, Russia scrapped the military alliance treaty the former U.S.S.R. had signed with the North and signed a new Treaty on Friendship, Good-Neighborly Relations and Cooperation by jettisoning the clause on compulsory intervention. Yet, the five-decade-old Sino-North Korean Treaty still remains intact, defying all the changes thereafter.

North Korea and China cite the mandatory intervention clause of the 1953 South Korea-U.S. Mutual Defense Treaty - which says an armed attack on either of the parties “would be dangerous to its own peace and safety so it would act to meet the common danger in accordance with its constitutional processes” - as the grounds for their maintaining of the same clause.

However, it is absurd to compare the North, which waged the Korean War 61 years ago and continues to make military provocations, with South Korea. Our alliance with the U.S. evolved into a global one based on same values. Against that backdrop, China should agonize over how to promote peace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rather than celebrating a treaty with the North out of its need to avert an uncontrollable crisis in North Korea. China should find a clue to the challenge from how to change the North first.

북·중 우호조약 50주년 기념할 때 아니다

북한과 중국은 50년 전인 1961년 7월 11일 ‘우호협조 및 상호원조에 관한 조약’을 체결했다. 이른바 ‘조•중 우호 조약’이다. 조약의 핵심인 제2조는 ‘일방이 한 국가나 수 개국 연합군의 무력침공으로 전쟁 상태에 처하면 상대 방은 전력을 다해 지체 없이 군사 및 기타 원조를 제공한 다’고 규정했다. 유사시 중국이 한반도에 무력 개입할 길을 열어놓은 ‘자동개입 조항’이다.

우호조약 체결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양국 고위인사가 상호 방문하는 등 북한과 중국은 동맹관계를 과시하고 있다. 북한의 양형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 부위원장이 대표단을 이끌고 9일 베이징에 갔고, 장더장(張德江•장덕강) 국무원 부총리를 단장으로 한 중국 대표단이 어제 평양을 찾았다. 남북관계가 사실상 단절된 상태에서북한의 대중(對中) 의존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는 가운데 양국이 혈맹관계를 대내외에 선전하고 있는 셈이다.

지난 반세기 동안 한반도 주변 정세는 크게 변했다. 냉전은 끝났고, 소련은 지도에서 사라졌다. 러시아는 한국과 수교했고, 적대관계였던 한국과 중국도 수교했다.
2000년 러시아는 북한과 소련이 맺었던 군사동맹조약을폐기하고, 자동개입 조항이 삭제된 ‘조•러 우호선린협조조약’을 새로 체결했다. 그럼에도 조•중 우호조약은 변함없이 유지되고 있다. 냉전 시절에 체결한 시대착오적 조약이 지금도 그대로 존속하고 있는 것이다.

북한과 중국은 53년 체결된 ‘한•미 상호방위조약’에도 자동개입 조항이 들어 있다며, 이를 조•중 우호조약을 유지하는 근거로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무력남침으로 6•25 전쟁을 일으키고, 핵무기 개발과 잇따른 무력도발로 긴장을 조성하는 북한을 남한과 똑같이 비교할 순없는 일이다. 더구나 한•미 동맹은 가치를 공유하는 글로벌 동맹으로 이미 진화하고 있다. 중국은 한반도 급변사태를 염두에 두고 북한과의 우호조약 50주년을 기념할게 아니라 어떻게 하면 한반도와 동북아의 진정한 평화와 안전을 도모할 수 있을지를 고민해야 한다.
그것은 결국 북한의 변화에서 실마리를 찾을 수밖에 없다고 본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