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p the leak in welfare spending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Stop the leak in welfare spending



Polarization has not improved even after the two liberal administrations of Kim Dae-jung and Roh Moo-hyun. But policies and budgets in support of social security and benefits for the underprivileged ballooned over the last decade.

The Lee Myung-bak government has boosted welfare spending. The central government appropriated 86 trillion won ($81.3 billion) for welfare programs in the budget this year, up nearly 50 percent from 56 trillion won in 2006.

Local governments’ welfare earmarks were also up 73 percent from 15.3 trillion won to 26.5 trillion won. People eligible for various welfare benefits surged to 9.9 million from 3.9 million five years ago.

But the question is whether such funds were well spent.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has estimated that 290 billion won in government welfare spending was poorly spent from 2006 to 2009. Budget leaks has always been a problem, but it is most serious in the welfare sector.

The biggest reason is that the government has not been organized in distributing the funds. The government cites lack of manpower. Those eligible for various benefits now near 10 million, but the government is short on resources and expertise in handing out the funds.

The government now says it will add civil servants who specialize in welfare programs to local government. Now numbering 22,461, it would mean an additional 7,000 over the next three years. Of the 7,000, 4,400 will be newly hired as ninth-level officials and 1,800 transferred from other administrative offices. The remaining 800 will be filled by returnees from maternity leave and other vacancies.

Increases in public sector jobs call for discretion as the sector is hard to streamline once it gets big and because it assures job security. But we cannot oppose the government’s plan if it says it cannot do its work with its current manpower.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as been operating nationwide care centers and emergency call services since 2007 to answer the immediate needs of the poor and needy. But it cannot send people to check on the work because of a lack of staff. As result, one person gets multiple or wrong benefits.

Once work conditions improve, the results obviously should also get better. It is important to stop the leak in tax money by executing the benefits well. Since government officials can no longer complain about their lack of staff, they must make sure the money goes to the people who really need it.

복지공무원 증원이 불가피하다면…

우리 사회의 양극화 문제는 김대중·노무현 정부를 거치면서도 개선됐다는 증거를 찾기 어렵다. 하지만 이 10년 동안 소외계층을 배려하는 정책과 예산은 크게 불어났다. 이명박 정부 들어서도 복지가 사회적 화두가 되면서 이 분야 재정은 증가 일로다. 올해 중앙정부의 복지예산은 86조원으로 2006년(56조원)에 비해 50% 남짓 증가했다. 지방정부 복지재정도 15.3조원에서 26.5조원으로 73%나 늘었다. 복지예산 수혜자는 이 기간 중 390만명에서 990만명으로 불어났다.

하지만 복지재정이 제대로 쓰였다고 보는 이들은 많지 않다. 감사원에 따르면 2006~2009년 4년간 사회복지 분야의 누수 예산은 2900억원에 육박했다. 예산의 누수(漏水)는 고질적 문제지만 복지부문에서 특히 심하다. 예산 전달체계가 조직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물론 인력 부족이 한 요인이었다는 정부 주장에 어느 정도 공감한다. 복지예산 대상자가 1000만 명에 이르는데도 지원인력은 전문성이 약했고 관리 인력은 모자랐기 때문이다.

이제 정부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섰다. 현재 2만2461명인 전국 지자체 복지담당 공무원을 2014년까지 7000명 늘리기로 한 것이다. 그 7000명 중 4400명은 9급 공무원으로 새로 채용하고, 1800명은 기존 행정직 직원을 재배치한다. 나머지 800명은 육아휴직 등으로 생기는 결원을 충원한다는 방침이다.

민간에 비해 효율성이 떨어지는 공공부문의 증원은 늘 경계대상이다. 한번 커진 조직은 줄이기 힘들다. 신분이 보장되는 공무원은 특히 그렇다. 하지만 일을 못할 지경이었다면 도리가 없다. 복지부는 2007년부터 전국적으로 희망케어센터와 복지콜센터를 운영하면서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애쓰고 있다. 하지만 사람이 없어 현장 점검은 제대로 하지 못했다. 그 결과 한 사람이 여러 수당을 중복 수령하거나 엉뚱한 사람이 받아가는 일도 잦았다.

열악한 근무환경은 개선하되 거기에 상응하는 결과를 도출해야 한다. 복지 전달체계를 개선함으로써 새는 세금을 막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 그 동안 인력 부족을 핑계로 편 탁상행정도 확실하게 날려버려야 한다. 현장 확인을 통해 꼭 필요한 사람들에게 나랏돈이 가도록 해야 한다. 그게 증원을 허용하는 국민의 요구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