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y Apple, never invite a grudge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Hey Apple, never invite a grudge



Silicone was widely used in breast implants in the United States in the 1980s, but the material is considered to pose health risks, including cancer. The silicone gel implant may rupture a few years after surgery, affecting the immune system. In the United States, breast augmentation is the third-most common form of plastic surgery after rhinoplasty and liposuction. There are more than 1.5 million breast augmentation surgeries done every year.

Beginning in 1984, people diagnosed with cancer caused by ruptured implants filed class-action lawsuits against Dow Corning, the manufacturer of the silicone implants. After 14 years of courtroom drama, Dow Corning agreed to pay billions of dollars in compensation. In February, 660 Korean patients received a payout of $3.9 million. The trials are considered the model for class-action cases in the United States.

A class action is a lawsuit where the compensation won by the plaintiffs is shared by every victim who suffered the same damage. The United States adopted the system in 1938, and the class action became the “sword of justice” that allows ordinary individuals to come together and stand against large corporations.

Of course, the system also has loopholes and drawbacks. Attorneys who take class-action cases often receive several millions of dollars in fees, but the victims receive only a few hundred dollars each. Sometimes, the victims end up getting coupons instead of monetary compensation in so-called “couple settlements.” Sometimes, corporations win the class action. The largest class action in history was filed against Wal-Mart for alleged gender discrimination against 1.6 million female employees. Ten years after the case was brought to trial, the U.S. Supreme Court ruled in favor of Wal-Mart.

Many people have praised class actions as a historic system. Regardless of the result, class actions remind the public of chronic problems such as gender and ethnic discrimination, spurring social changes and improvements.

In Korea, a class action related to the collection of location information by iPhones is being prepared - more than 10,000 people signed up in a day. The attorney retained for the case has already received 1 million won in legal fees.

This reminds me of the Korean saying, “Never invite a grudge.” Regardl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class-action suit, the attempt is significant for telling Apple never to invite the grudge of Korean consumers.

*The writer is a senior international affairs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By Nam Jeong-ho

쿠폰합의

1980년대초 미국에서 유방확대에 쓰이던 실리콘이 발암물질로 지목됐다. 몇년 뒤엔 가슴 속 실리콘 보형물이 터져 면역체계를 마비시킨다는 거였다. 미국선 유방확대가 코성형, 지방흡입에 이어 세번째로 흔한 미용수술이었다. 한해 150만명 이상이 실리콘 덕에 가슴과 자존심을 세웠던 터였다. 분개한 피해자들은 84년 제조사 다우 코닝을 법정에 세운다. 결국 14년 공방 끝에 코닝은 수십억 달러, 즉 수조원의 보상을 약속한다. 국내 피해자 660명도 지난 2월 390만 달러(41억여원)를 받아냈다. 미 집단소송의 전범(典範)인 실리콘 재판의 전말이다.

집단소송은 피해자 일부의 승소 혜택이 같은 일을 당한 모두에게 돌아가는 제도다. 오래된 듯 하나 실제 도입된지는 얼마 안됐다. 근세 시민사회의 개인주의 중시로 개별소송의 원칙이 지켜져온 탓이다. 그러다 38년 미국에서 집단소송제를 도입하면서 이 제도는 힘 약한 개인들로 하여금 대기업과 맞설 수 있게 한 '정의의 칼'로 여겨져 왔다.

물론 폐해도 간단치 않다. 변호사는 수백만 달러 이상을 챙기는 반면 피해자는 고작 수십, 수백 달러를 받고 마는 경우가 허다하다. 심지어 보상금 대신 그 회사 쿠폰으로 끝나기도 한다. 소위 '쿠폰 합의(Coupon Settlement)'다. 법정 스릴러의 지존 존 그리샴의 『불법의 제왕』도 그런 폐단을 다룬 소설이다. 기업의 불법을 알게 된 햇병아리 변호사가 거액의 수임료에 눈이 멀어 피해자와 회사 간 합의를 방해해 결국 둘다 망하게 하는 파렴치한 장면이 나온다. 이뿐 아니다. 회사측이 이길 때도 많다. 여직원 160만명의 성차별 문제를 걸어 월마트를 상대로 낸 사상 최대의 집단소송도 개시 10년만인 지난달 회사측 승리로 끝났다.

그럼에도 집단소송을 역사적 제도라 칭송하는 이들이 적잖다. 승패를 떠나 성·인종 차별 같은 고질적 문제에 대한 여론을 환기시킴으로써 사회 변혁의 기폭제가 된다는 거다.

최근 아이폰의 위치 정보수집 논란과 관련, 한 변호사가 위자료 1백만원을 받자 하루 1만명 이상이 참여할 정도로 집단소송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이다. 우리 말에 "남의 원한을 사지 말라"는 말이 있다. 집단소송이 앞으로 어찌 되든, 사생활 보호문제로 애플이 한국 소비자의 분노를 사지하지 않으려 한다면 그 걸로도 충분히 뜻깊지 않을까.

남정호 국제문제 선임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