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ond renaissance for Apgujeong?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Second renaissance for Apgujeong?



Long ago, if you looked to the north from southern Seoul, you could enjoy the picturesque view of Jeoja Island, which has since disappeared. The peaks of Mount Bukhan were also in sight behind the island, so receptions for Chinese ministers were held there during the Joseon Dynasty (1392-1910). Until Korea’s liberation after the Japanese occupation, it was just one of the many farming villages along the Han River. As refugees settled here after the Korean War, commerce and trade began to develop. Han Myeong-hoi, a Joseon-era strategist, built a pavilion here and named it Apgujeong after his pen name. And that’s how the area acquired its name. Apgujeong later became incorporated into the city of Seoul in 1963. Until then, it had belonged to Gyeonggi Province.

In the early 1970s, affordable national housing complexes were constructed in Banpo and Jamsil to meet the housing needs of average Koreans. Luxury apartments were built in Apgujeong-dong, targeting the middle and upper classes. Hyundai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had purchased the lot by the river to store equipment imported from overseas to be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eoul-Busan Expressway. When the third Han River Bridge, now called Hannam Bridge, was built, the riverside town became a sought-after location.

The Apgujeong Hyundai Apartment complex signaled the start of the Gangnam era. The construction of apartments began in 1975. Having gained confidence from a successful project in Seobinggo-dong two years before, Hyundai began to pursue housing construction aggressively. Until the early 1980s, 24 apartment complexes with 10,335 units were built there. If you search the Internet, the area now contains 578 plastic surgery clinics, 395 wedding studios, 391 wedding shops and 43 drama schools.

Apgujeong-dong was a free zone of capitalism that emerged as the oppressive military regime lost its firm grip on the nation. It was where ambition and desires were expressed freely, and the public raved at the unrestrained freedom.

This symbolic area will soon be the site of the nation’s largest redevelopment project. Last week, Seoul announced a plan to build 45- to 50-story high rises there. There are many more steps left before the project is finalized, and construction is expected to commence in three to four years. We need to watch closely to see if the redevelopment project will bring about a renaissance for Apgujeong.

*The write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Shim Shang-bok

압구정동

여기서 북쪽을 바라보면 지금은 사라진 저자도(楮子島)가 한 폭의 그림 같았다 한다. 그 뒤로 북한산 봉우리들이 한눈에 들어와 중국 사신을 접대하는 장소로도 쓰였다. 광복 전까지는 한강변 여러 농촌마을 중 하나였다. 배꽃이 가득한 과수원이나 채소밭, 아니면 그냥 모래밭이었다. 6·25전쟁 후 피난민들이 정착하면서 상업이 발달하기 시작했다. 세조 때 모사(謀士) 한명회(韓明會)가 여기에 자신의 호를 딴 압구정(狎鷗亭)이란 정자를 지어놓고 즐겼다. 지명의 유래다. 1963년에야 서울시로 편입됐다. 그전까지는 경기도였다.

1970년대 초반 반포와 잠실에 서민용 주공아파트가 들어설 무렵 압구정동에는 중·상류층을 겨냥한 고급 아파트가 추진됐다. 현대건설이 경부고속도로를 시공하면서 외국에서 들여온 장비를 보관하기 위해 확보해 뒀던 곳이었다. 제3한강교(현 한남대교)가 놓이면서 이 곳이 뜨기 시작했다. 여기에 압구정 현대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면서 본격적으로 강남시대의 막이 올랐다. 아파트 건설은 75년 시작됐다. 2년 전 서빙고동에서 자신감을 얻은 현대가 주택사업에 본격 뛰어든 것이다. 80년대 초까지 24개 단지 1만335가구가 들어섰다. 네이버를 검색하면 이 동네엔 성형외과 578곳, 웨딩스튜디오 395곳, 웨딩샵 391곳, 연기학원 43곳 등이 있는 걸로 나온다.

최근엔 ‘압구정 날라리’란 노래가 뜬다. “셔츠가 다 젖을 때까지 압구정 / 돈이 없어도 오늘만은 날라리” 압구정동은 오랫동안 이 땅을 눌러온 군부독재가 힘을 잃으면서 등장한 자본의 해방구 같은 곳이다. 거친 욕망이 직설적으로 분출됐고, 거기에 대중도 들떠 같이 흐느적거렸다. 『바람 부는 날에는 압구정동에 가야 한다』 1991년 시인 유하는 이런 시집을 내고 2년 뒤 같은 제목으로 영화도 만들었다.

이 압구정동에 국내 최대 규모의 재건축이 진행된다. 지난주 서울시가 발표한 안에 따르면 40~50층 초고층 아파트가 들어선다. 10년 넘게 끌어온 프로젝트가 마침내 가시권에 들어온 것이다. 소형아파트 의무비율을 적용하지 않는 대신 넓은 공원을 만들어 시에 기부하는 걸로 타협을 봤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절차가 남아 있어 착공까지는 3~4년 걸린다고 한다. 제2의 압구정 신화가 펼쳐질까.

심상복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