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 to be two-faced
Published: 25 Jul. 2011, 16:52
The Korean economy has been running ceaselessly for the last 60 years. What made the war-torn economy attain such drastic growth was exports and overseas contracts. However, the old growth model is no longer valid now that Korea has been transformed. At this stage, we need more than just a tough work ethic and the diligence to pull all-nighters. We should enhance productivity and work smartly to make a leap to the next level of development. And the report points in the direction of domestic consumption and service industries.
In the past, when exports thrived, domestic consumption was boosted. However, the effect is insignificant today. The impact from an increase in exports on employment has fallen. So the Korean economy is stuck with “growth without growing employment.” In other words, it is growth that does not bring welfare.
As a result, export-oriented large corporations are thriving while small and midsized businesses - and the workforce in general - are struggling. Korea has earned nicknames like “Samsung Republic” and “Hyundai Republic,” because the economy is so dependent on exports and large conglomerates. At this rate, the economic polarization will become more extreme. Young Koreans who have a hard time finding meaningful employment will struggle to make ends meet in their maturity, and when they grow old they will suffer even more.
The government has been contemplating how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economy for a long time. Seven of the 17 new economic growth engines that the government has chosen are service industries. The government also has a plan to overhaul the medical and educational sectors, which have great potential to create professional jobs in the service sector. However, the remodeling attempt has not progressed far because of the conflicting interests of ministries.
-ellipsis-
수출·제조업에서 내수·서비스업 중심으로. 기획재정부가 17일 펴낸 보고서의 요지다. 많고 많은 보고서 중 하나로 보이지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조금 보태 말해 우리 경제의 엔진을 통째로 바꿔 끼우자는 뜻이다. 조이고, 닦고, 손 보자는 것과는 차원이 다르다.
한국경제, 지난 60년간 숨가쁘게 달려 왔다. 없는 나라가 밖으로 뛰어다니며 용케도 컸다. 그러나 이젠 그런 식의 성장을 계속하긴 힘든 시점이 됐다. 경제가 이 정도 연륜이면 박카스 한 병 마시고 기운 차려 밤새 일하는 식의 근로정신만으론 안된다. 보다 생산성 높은 일을 스마트하게 해야 다음 단계로 뛸 수 있다. 보고서는 그 길을 내수와 서비스업에서 찾았다.
과거엔 수출이 잘 되면 내수도 피어났다. 지금은 그 효과가 영 신통치 않다. 수출의 고용효과가 떨어졌기 때문이다. 경기는 좋아져도 일자리는 늘지 않는 ‘고용 없는 성장’이 나타난 거다. ‘복지 없는 성장’이나 다름없다.
그 결과가 뭔가. 수출 대기업은 살판 났지만, 중소기업이나 근로자들은 냉골에서 떨고 있다. 삼성공화국이니, 현대공화국이니, 하는 말도 따지고 보면 수출의존형 경제의 부산물이다. 이대로 가면 양극화는 자꾸 심해진다. 젊어선 취업난민, 중년엔 생활난민, 늘그막엔 노후난민이 될 사람이 숱하다.
이에 대한 고민, 정부도 오래 전부터 했다. 신성장동력 17개 업종 중 8개를 서비스 관련 분야로 선정했다. 고급 일자리를 많이 만들 수 있는 서비스업인 의료와 교육도 손 본다고 한다. 다만 소관 부처의 이해에 걸려 진전을 보진 못하고 있다.
-중략-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