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th Ettinger’s death, reflecting on cryonic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With Ettinger’s death, reflecting on cryonics



Benjamin Franklin, the 18th century American statesman and scientist, was interested in the preservation and resurrection of the human body after death. One day, he spotted three drowned flies inside a bottle of alcohol. When he let them dry, two of them came back to life. After the incident, he wrote to a friend, “I wish it were possible ... to invent a method of embalming drowned persons, in such a manner that they might be recalled to life at any period, however distant; for having a very ardent desire to see and observe the state of America an hundred years hence, I should prefer to an ordinary death, being immersed with a few friends in a cask of Madeira, until that time, then to be recalled to life by the solar warmth of my dear country!”

Two-hundred years later, Franklin’s absurd idea began to materialize. American physicist Robert Ettinger proposed a theory of preserving the human body by freezing it. In 1962, he published “The Prospect of Immorality” and claimed that the future of cryonics depended on how to revive the frozen body. He also proposed that minus 196 degrees Celsius, the boiling point of liquid nitrogen, would be the ideal temperature to preserve the body for centuries.

Five years later, the first person was frozen with the intention of future resuscitation. James Bedford, a University of California psychology professor, asked just before he died of lung cancer to be frozen and preserved. Currently, there are more than 220 bodies frozen and preserved in the United States and Russia. Nearly 2,000 more have signed up for cryopreservation.

Cryonics is the human struggle to attain immortality. Ancient Egyptians made mummies in their desire to be resurrected. The cryopreserved are modern day mummies. However, resuscitation is not such a vain dream. When nanotechnology is further developed to prevent brain cell damage in the course of thawing, it is theoretically possible to resuscitate a dead person from cryopreservation.

Ettinger passed away last Saturday, and his body is to be frozen and preserved at his Cryonics Institute until resuscitation is possible. His mother and two wives have already been preserved. Even if resuscitation becomes possible, it is still unknown if it would bring happiness to humanity. The line between life and death becomes obscure, and people may be confused if they end up living in different time periods with different values. Ettinger’s death makes us think about the true meaning of life and death.

*The write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Kim Nam-joong

냉동인간

18세기 미국의 정치가이자 과학자였던 벤저민 프랭클린은 인체의 사후 보존과 부활에도 관심이 많았던 모양이다. 어느 날 술병 속에 잘못 날아들어가 얼어 붙은 파리 세 마리가 그의 눈에 띄었다. 파리들을 햇빛 속에 꺼내 녹여주자 그 중 두 마리가 되살아나 날아갔다고 한다. 이걸 본 프랭클린은 친지에게 편지를 보낸다. “인간도 향유에 넣어 차게 해두면 장래에 소생할 것 아닌가. 100년 후의 미국을 보고 싶은 나도 술통 속에 담가져 100년 후에 소생하고 싶다.” 하지만 당시 과학기술로는 어림없다는 아쉬움도 토로했음은 물론이다.

프랭클린의 허황된 생각이 그나마 구체화된 건 200년쯤 지나서다. 미국 물리학자 로버트 에틴거가 인체 냉동보존술을 이론적으로 처음 정립한 것이다. 1962년 펴낸 『냉동인간』에서 그는 “저온 생물학의 장래는 죽은 사람의 시신을 냉동시킨 뒤 되살려내는 데 달려 있다”고 주장했다. 액체질소의 온도인 섭씨 영하 196도가 시신을 몇 백년 동안 보존하는 데 적합한 온도라는 제안과 함께였다.

최초의 냉동인간이 나온 건 그로부터 불과 5년 뒤다. 미국 캘리포니아대 제임스 베드포드 심리학과 교수가 폐암으로 죽기 직전 냉동보존을 요구한 데 따라서다. 지금까지 미국·러시아의 인체 냉동보존 관련 기관에 냉동보존된 시신은 220여 구가 넘는다. 사후에 냉동보존을 해달라며 대기자 명단에 이름을 올린 사람도 2000여 명에 달한다고 한다.

냉동인간은 불멸·영생을 향한 인간의 몸부림이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미이라가 돼서라도 다시 살아나길 염원했다. 냉동인간은 말하자면 현대판 미이라인 셈이다. 문제는 냉동인간의 소생이 이집트 미이라처럼 허망한 꿈만은 아니란 점이다. 해동 과정에서 뇌 세포의 손상을 막는 나노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 이론적으로 냉동보존을 거쳐 부활한 인간을 보는 게 가능하다는 것이다.

냉동인간의 창안자 에틴거가 엊그제 세상을 떠났다. 그의 시신은 과학과 의술의 발전으로 다시 소생할 것에 대비해 자신의 냉동보존연구소에 냉동보관된다고 한다. 이미 그의 어머니와 두 아내도 미래의 부활을 믿으며 냉동인간이 돼있는 상태다. 냉동인간의 부활이 실현된다고 한들 그게 인류의 행복이 될지는 미지수다. 삶과 죽음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가치 기준이 다른 둘 혹은 그 이상의 시대를 사느라 혼란스럽기만 하지 않을까. 에틴거의 죽음과 시신 냉동보존 소식에 드는 단상(斷想)이다.

김남중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