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ld relief for separated familie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Mild relief for separated families



The Korean War (1950-53) left indelible scars on our hearts. Above all, hundreds of thousands of separated families are still struggling to live with painful memories of the tragic war. Among them, a small number of people who moved to the South during the war have been lucky enough to share moments of reunion through occasional inter-Korean meetings.

But another group of separated families is still fighting unbearable grief while watching televised reunions. These are the families of those who were kidnapped by the North Korean military - during and after the war.

The families of people who were abducted after the war have received a modicum of consolation from the government, which has compensated them for their separation. But families with members who were kidnapped during the war have been excluded from government support.

That may now change. In a committee meeting on Tuesday to confirm whether families have members who were kidnapped by the North during the war, the government officially acknowledged that 55 families fall into the category.

Given that approximately 100,000 South Koreans are estimated to have been abducted by the North during the war, the figure may seem insignificant. Yet the government’s decision carries great weight because it is the first time that it has officially verified the families’ status - 58 years after the war.

As a matter of fact, a large number of families with wartime abductees as members have had to suffer direct or indirect discrimination since the war. During the tense Cold War period, many of them had to confront their hard-to-understand stigma as “traitors” - or experience serious human rights abuses by the government or their neighbors. In those days, security authorities didn’t have to consider whether they left the South voluntarily amid the intense chaos of war. North Korea also used kidnapped South Koreans as a means to coerce their families in the South to engage in pro-North activities.

The government’s latest measure hardly relieves the heart-wrenching pain separated families must feel. Still, there is a remote possibility that these families will be able to rejoice in reunion soon.

Regardless, the government must continue its efforts to determine if their family members were really kidnapped by the North or not, let alone confirming whether they are still alive. That’s the only way for the government to alleviate the families’ unceasing torment.

납북의 한 조금이라도 풀 수 있기를…

6.25전쟁이 우리 사회에 남긴 상처들은 한 두 가지가 아니다. 그 중에 지금까지도 수많은 사람들의 애간장을 태우는 문제가 이산가족 문제다. 이산가족들 중 전쟁 중 월남한 사람들의 경우 극히 일부이긴 하지만 간간이 있은 남북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통해 재회의 기쁨을 나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런 장면을 보면 더욱 가슴이 찢어지는 사람들도 우리 사회엔 여전히 많다. 바로 전시(戰時) 또는 전후에 납북된 인사들의 가족들이다. 전후 납북 인사들에 대해선 정부 차원에서 그 동안 보상 노력도 있고 성사는 안 됐지만 북측에 송환요구도 제기하면서 다소나마 위로를 받을 수 있었다.

여기서도 배제됐던 사람들이 바로 전시납북자(戰時拉北者) 가족들이다. 이들도 위로를 받을 수 있는 길이 처음 열렸다. 김황식 총리 주재로 2일 열린 ‘6.25 전쟁납북진상규명위원회’에서 처음으로 전시납북자로 인정된 55명의 가족들이 그들이다. 전시납북자는 모두 10만명 정도로 추정된다. 이에 비해 55명은 너무 적은 숫자다. 그러나 전쟁이 끝난 지 무려 58년만에 처음으로 인정됐다는 점에서 그 의미는 작지 않다.

전시납북자 가족들 중 상당수는 직간접적인 피해를 당하기도 했다. 특히 남북한 사이에 대립이 심하던 냉전 시기 이들 중 상당수는 정부 당국에 의해서건, 또 이웃주민들에 의해서건 백안시(白眼視)되거나 심지어는 심각한 인권침해를 당하는 일도 있었다. 전쟁의 어수선함 속에서 가족 일원이 북으로 갔다는 사실만으로 어떤 경위로 갔는지는 제대로 따져 보지도 않은 채 말이다. 북한 역시 납북 가족들을 상대로 북에 있는 가족을 인질 삼아 친북행위를 강요하는 악랄한 사례도 있었다.

이번 정부의 공식 인정은 이들의 한을 풀어주기엔 정말 역부족일 것이다. 또 납북 사실이 인정됐더라도 그들의 생사확인, 나아가 상봉 또는 송환의 가능성은 희박하다. 안타까운 현실이다. 이를 어찌해야 하나. 정부는 전시납북자 모두에 대해 납북 여부를 가리고 생사를 확인하는 등의 노력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전쟁의 한을 조금이나마 달랠 수 있도록….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