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n, rain, go away and don’t come back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Rain, rain, go away and don’t come back



From the beginning of human civilization, having too much or too little rain has always been a problem. Since rain is the will of the gods, all we can do is pray for it to go away.

Joseon-era scholar and writer Seo Geo-joeng’s poem “Rain Again,” which is included in the collection “Sagajip” suggests that natural disasters, especially floods, were a major concern of the people in his time. He wrote: “When the rain stops, you hope for rain. When it rains, you wish for it to stop. How can the wills of the heaven correspond to the demands of the earth? As long as we don’t suffer floods and droughts every year, we should be content with eating porridge for breakfast and dinner.”

In ancient Korea, there were rituals for sun and rain. When the rain brought the floodwaters, people prayed for sun in a ritual called Gicheongje and when there was a drought, people prayed for rain in a ritual called Giwuje.

These rituals may be as old as the first kingdom in Korea. For example, the myth of Dangun, the founder of the first Korean kingdom, includes a story about a rain god called Usa.

More specific records can be found much later in history. “Goryeosa” (History of Goryeo), includes stories about rituals for rain in times of drought and for sun during a flood. When the monsoon rain did not stop, a prayer ceremony for sun called Yeongje was held.

There are numerous records of rituals for sun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which is a treasure chest of data about the Joseon Dynasty (1392?1897). In the ninth year of King Taejong’s reign, the king sent down an order to hold prayers for sun at the four gates of the capital. Gicheongje appears over 220 times. An agency called Jeonhangsa was even installed under the Ministry of Rites to oversee the business of prayer rituals for rain and sun. Gicheongje was held for three consecutive days at the city’s four main gates.

A few days ago, the first Gicheongje ritual performed in 100 years was held at the National Folk Museum. The last Gicheongje was held around 1900 under the reign of King Gojong.

By now, all of us in Korea have grown tired of the endless torrential rains. In the old days, after a flood, which they believed had been stopped because of the Gicheongje ritual, people would hold a ceremony of expressing their thanks to the gods. These days, I’m sure we would all be happy to offer our gratitude as well - if only the rains would stop.

*The write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Kim Nam-joong

기청제(祈晴祭)

‘비가 그치면 비 내리기를 바라며/비가 오면 비 그치기를 바라니/하늘의 뜻이 어찌 세상의 물정과 합할 수 있겠는가/해마다 홍수나 가뭄을 근심하지 않는다면/평생 아침 저녁으로 죽을 먹어도 족하리’. 조선 전기의 문인·학자인 서거정(徐居正)이 『사가집(四佳集)』에 남긴 ‘우우(又雨)’란 시다. 요즘 말로 하면 ‘또다시 비’다. 기상재해, 그 중에서도 홍수가 큰 걱정거리였음을 짐작케 한다.

비는 안 와도 탈, 많이 와도 탈인 건 인류 초기부터 그랬을 터다. 그럼에도 하늘의 뜻으로 여겨 그저 비는 수밖에 없었다. 큰물 질 때 비를 멎게 해달라며 비는 기청제(祈晴祭)와 가물 때 비를 내려달라고 비는 기우제(祈雨祭)가 생겨난 까닭이다. 단군신화에 나오는 우사(雨師)가 비를 다스리는 신의 존재를 상정한 것임을 감안하면 기청제와 기우제의 연원을 그때로 잡을 수도 있겠다.

다만 구체적인 기록은 나중에 보인다. 『고려사』에 ‘가물면 기우제를 지내고 홍수 나면 기청제를 올린다’는 대목이 나온다. 장마가 그치지 않으면 영제(榮祭)를 지냈다는 기록도 남아 있다. 바로 기청제다. 조선시대엔 천문학 자료의 보물창고라고도 불리는 조선왕조실록에 기청제 기록이 숱하다. 태종 9년의 ‘사문(四門)에 기청제를 지내도록 명했다’는 대목을 비롯해 실록에 적힌 기청제라는 말이 220건이 넘는다고 한다. 예조 산하에 전향사(典享司)라는 기구를 둬 기청제·기우제 업무를 전담하게 했을 정도다.

한양에선 숭례문·흥인문·돈의문·숙정문의 4대문에서 3일 동안 계속 기청제를 지냈다. 이 중 북대문에 해당하는 숙정문은 사실상 폐문돼 수백년 동안 닫혀 있었다. 임금이 기청제·기우제를 드리는 장소로만 사용된 셈이다. 대문 이름 숙정(肅靖)이 ‘공손하게 다스린다’는 뜻이라니 우연만은 아닐 듯싶다. 지방에서도 기청제는 성문에서 지냈다. 기청제가 성문제(城門祭)로도 불리는 연유다.

그제 서울 국립민속박물관에서 기청제가 열렸다. 조선시대 『국조오례의』에 기록된 대로 재현됐다고 한다. 고종 때인 1900년 무렵에 기청제를 지낸 게 가장 최근 기록이라고 하니 실로 100여년 만이다. 한달 여 동안 계속되는 장맛비와 기습 폭우가 오죽 지긋지긋했으면 그랬을까 싶다. 옛날엔 기청제 뒤 홍수가 멈추면 하늘에 감사하는 뜻으로 보사제(報祀祭)를 지냈다고 한다. 하늘이 응답만 한다면 보사제인들 못 지낼까 싶은 심정인 사람, 한둘이 아닐 터다.

김남중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