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oritizing cultural preservation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Prioritizing cultural preservation



Seokjojeon, a colonial-style stone structure within Deoksu Palace, was the first Western-style royal building in the palaces of the Joseon Dynasty. When King Gojong became the emperor of the Great Han Empire in 1897, he declared that Deoksu Palace would be the empire’s main palace and added new structures including Seokjojeon. Construction on the building began in 1900 and was completed in 1910, the year Korea was annexed by Japan.

While Deoksu Palace as a whole reflects the glory and disgrace of the empire, Seokjojeon’s history is especially heartrending. Crown Prince Euimin and Crown Princess Bangja were held in Japan under the pretext of studying abroad, and when the couple came back to Korea temporarily in 1922, their son, Jin, died suddenly at Seokjojeon. There were rumors that the son was poisoned in retaliation for the death of Gojong and because he was born to a Japanese mother.

Since Seokjojeon did not follow the architectural mode of the other Joseon palaces, and modernization of Korea was pursu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tructure received scant praise. The name itself was considered thoughtless, as it literally means “stone building.” Seokjojeon’s use by foreign authorities further tarnished its reputation. Under Japanese rule, Seokjojeon was used as an exhibition hall for Japanese art. After liberation, it housed the U.S.-Soviet Joint Commissio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Royal Museum.

A study from 2009 revealed that Seokjojeon was symbolic of Gojong’s plan to embrace Western civilization and establish a modern nation, according to “Deoksu Palace” (2009) by Ahn Chang-mo, a professor of architectural history at Kyonggi University.

Earlier this month, the original blueprint for Seokjojeon from 1898 was discovered by a Korean architect. Its discovery has incited discussion on the need to preserve historical structures such as Seokjojeon, while also sparking debate about the damage done by the Japanese during the colonial era. But we Koreans are not entirely blameless when it comes neglecting cultural preservation. At Seokjojeon, for example, an indoor football field was installed in a second floor corridor, according to an article in the June 4, 1968, issue of the JoongAng Ilbo. A faithful restoration of the palace’s original design would remind us all of the painful history and the vision of a modern empire that the structure has come to represent.

*The writer is a culture and sports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Kang Hye-ran

덕수궁 석조전

1968년 한운사의 소설 『대야망』엔 이런 대목이 있다. 한때 외교관을 지낸 한 인사를 모델로 했다는 주인공은 덕수궁의 이곳 저곳을 담은 사진을 외국 실력자들에게 뿌리며 자기집이라고 자랑한다. ‘내 집이 이 정도니 한국에서 내 위치를 짐작할 수 있지 않겠느냐’는 의도였는데, 곧잘 통했다. 석조전·정관헌 등 고풍스러운 양식 건물이 자아낸 분위기 때문일 터다. 실제로 당시 해외 펜팔하던 어느 언론인이 석조전 앞에서 사진을 찍어 제 집인 양 소개했다는 일화가 전해온다.

석조전은 조선 궁궐 내 지어진 첫 서양식 전각이다. 1897년 고종은 황제에 오른 뒤 경운궁(덕수궁의 원래 이름)을 황궁으로 삼아 궁역을 넓히며 전각을 신축했다. 석조전은 정전(正殿)인 중화전과 함께 세워졌는데 실내공사까지 완료된 것은 한일합병 해인 1910년이다. 덕수궁 전체가 제국의 영욕을 함께 한 곳이지만 석조전은 특히 애닯은 데가 있다. 유학을 명목으로 일본에 볼모로 잡혀있던 이은 왕세자(훗날의 영친왕) 부부가 22년 일시 귀국했을 때 생후 8개월 된 아들 진이 이곳에서 급사했다. 고종 독살에 대한 보복으로 일본인(이방자 여사)의 피가 섞인 아들을 독살한 것이라는 설이 돌았다.

조선 궁궐 양식을 따르지 않은 석조전은 일제에 의한 식민 근대와 맞물려 곱지 않은 눈길을 샀다. 건축재료인 석조를 기반으로 한 성의 없는 작명이라느니, 전통 조경에 없는 분수대 정원이라느니 하는 비판이다. 총독부 치하에서 일본 미술품 진열 전시장으로 쓰이다가 해방 후 미·소 공동위원회 건물로 쓰이는 등 외세에 시달린 쓰임새도 부정적 인식을 강화했다. 그러나 최근 연구는 석조전 건립이 고종의 근대 국가 구상이 투영된 것이었다는 데 더 비중을 둔다. 전통에 없던 돌집을 짓고 그 정체성을 이름으로 한 자체가 서구 문물을 적극 수용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라는 것이다.(『덕수궁』 안창모 지음, 2009)

석조전의 최초 설계도(1898)가 한국 건축공학자에 의해 발굴됐다는 소식이다. 일제에 의한 훼손 운운하지만 “석조전 미술관과 박물관 사이 2층 복도에 민간인이 경영하는 실내 축구장이 설치”(본지 1968년6월4일자)됐을 정도로 우리의 문화재 인식도 별볼 일 없었다. 제대로 된 원형 복원을 통해 석조전과 덕수궁에 서린 근대 제국의 꿈과 아픔의 역사를 곱씹게 됐으면 한다.

강혜란 문화스포츠부문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