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ok over the walls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Look over the walls

If you take a stroll in the Deoksu Palace these days, you will find Seokjojeon undergoing reconstruction. We recently welcomed the news that the blueprint for Seokjojeon was discovered, and the royal structure will be reconstructed according to its original design. On the cover of the blueprint, you can find the map of Gyeongun Palace at the time of King Gojong as well as the history of Seokjojeon. In 1898, Gojong decided to build a Western-style palace. The year before, Gojong had returned to the palace after taking refuge at the Russian Embassy for nearly a year. The Kingdom of Joseon was so fragile that even the king could not protect his own life and had to escape to the safety of a foreign delegation.

At the end of that humiliating experience, Gojong declared the Great Han Empire. Joseon was no longer a kingdom that needed approval from China but an empire of its own right. The first project of the empire was Seokjojeon, which was to be the main palace for the emperor. In 1910, the imperial palace was completed, but Joseon was annexed to Japan. The emperor started to build a palace without realizing that his empire was crumbling. The blueprint of Seokjojeon conjures complicated feelings about history.

The emperor may, of course, have needed a new palace in order to restore the dignity of his empire. Perhaps, he felt Deoksu Palace was too small. Nevertheless, did he really think a new palace was a top priority? At the time, Joseon was barely surviving. The people were in distress, and the fate of the country was a candle flickering in the wind. Only a few years earlier, in 1894, Isabella Bishop, a member of the Royal Geography Association, travelled all over Joseon and wrote “Korea and Her Neighbors.” She wrote that Seoul was pervaded by the foulest smell and it was hard to believe that the capital city was so filthy. Drains were filled with sewage from households.

When the people were in misery and the nation declining on the other side of the palace wall, the emperor was building a new palace. Enlightenment activist Yun Chi-ho lamented in his diary that the emperor was building a “toy palace.” Even if the cost of building the palace was insufficient to save the empire, Gojong should have used every possible means to buy weapons, build railroads and create industries. Gojong believed the king was the state, but the eyes of the king could not see beyond the palace perimeter.

The tragic fate of Seokjojeon mirrors Korea’s reality today. We may be building a new palace without looking over the wall. More accurately, the leaders of the country are immersed in building their own palaces - just like King Gojong. On Aug. 24, citizens of Seoul will vote on free school lunches. The result is directly related to the future of Korea. Today, the United States and many European countries are struggling with their economies. One of the main problems is oversized national debts due to unplanned financial spending. Politicians liberally used money to please the voters.

-ellipsis-



요즘 덕수궁에 가보면 가림막을 쳐 놓고 석조전 보수공사가 한창이다. 그 석조전의 설계도가 발견되었다니 반가운 일이다. 이제 원형대로 보수공사를 할 수 있게 됐다. 가림막에는 당시 경운궁의 지도와 석조전 역사가 쓰여 있다. 서양식 왕궁을 짓기로 한 것은 1898년. 고종이 러시아 대사관으로 피신해 일년 가까이 머물다 돌아온 다음 해다. 조선은 왕의 목숨조차 스스로 지킬 수 없어 외국 대사관에 피신할 정도였다.

그런 굴욕을 겪고 돌아와 선포한 것이 대한제국이다. 조선은 중국으로 부터 승인을 받는 ‘왕의 나라’가 아니라 중국과 대등한 ‘황제의 나라’가 되었다. ‘황제의 나라’ 첫 작품이 석조전이다. 황제의 정궁을 짓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정궁이 완성되는 1910년, 조선은 멸망했다. 나라가 망할 줄 모르고 궁을 짓다니… 비극이다. 석조전의 설계도는 그런 의미에서 착잡했다.

황제 나라의 위신을 세우기 위해, 아니 덕수궁이 비좁아 그런 왕궁이 필요했을지 모른다. 그러나 그 때가 왕궁을 지을 때였는가? 당시 조선은 말 그대로 간신히 목숨만 붙어있는 존재였다. 백성은 도탄에 빠지고 나라는 풍전등화의 위기였다. 바로 그 몇 년 전인 1894년 조선의 구석 구석을 살핀 뒤 ‘조선과 그 이웃나라들’이라는 책을 쓴 비숍 여사는 당시 서울을 이렇게 묘사했다. “서울의 냄새가 가장 지독하다...수도인 대도시가 이렇게 불결하다는 것을 도무지 믿을 수 없다. 각 가정에서 버린 오물로 도랑은 가득 차 있으며 불결함과 악취는 코를 찔렀다…”

왕궁의 담장 너머에는 비참한 백성의 삶과 퇴락한 나라의 현장이 있는데 황제의 위신을 위해 왕궁을 짓는다? 당시 개화파였던 윤치호는 그의 일기에서 그런 왕에 대해 ‘장난감 궁궐’을 짓고 있다고 한탄했다. 비록 적은 돈일지라도 왜 나라를 지키기 위해 무기를 사고, 철도를 놓고, 산업을 일으킬 생각을 못했을까? ‘왕이 곧 나라’라는 인식 때문이었을 것이다. 고종의 눈에 궁 밖의 세상은 보이지 않았다.

나는 석조전의 비운을 보면서 오늘의 우리를 생각한다. 우리도 지금 담 너머는 보지 못하고 왕궁을 짓고 있는 것은 아닐까? 더 좁혀 얘기하면 이 나라의 지도층은 마치 고종처럼 자기 왕궁을 짓는 데만 열중하고 있는 것 같다. 오늘은 서울시의 무상급식 투표날이다. 그 결과는 우리의 미래와 직결돼 있다. 지금 미국을 포함해 유럽국가들이 경제 때문에 신음하고 있다. 그 원인이 무엇인가. 방만한 재정지출로 인한 나라 빚 때문이다. 정치인들이 인심을 얻자고 빚을 내어 돈을 펑펑 썼기 때문이다.

-중략-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