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K asleep at wheel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BOK asleep at wheel



Reining in consumer prices is a primary responsibility of the Bank of Korea. The law even defines the role of the central bank that way. It acts as an independent state agency to manage and control consumer prices.

The government tends to pursue economic growth, and that can fan inflationary pressure. The central bank, with its sovereign authority, can effectively keep prices stable and balance the economy against the government’s pro-growth actions. Therefore the blame lies with the central bank if prices skyrocket.

Consumer prices rose by 5.3 percent, the fastest pace in three years, last month from the same period a year ago. We need not cite the recent data to underscore the problem.

The entire population has been struggling with expensive price levels. The Bank of Korea has aggravated the problem by missing its opportunity to hike the benchmark interest rate.

The Bank of Korea resorted to heavy easing when the global financial crisis spilled over to the local economy in 2008. It was an inevitable action to stave off an economic slowdown.

It is textbook economic theory that interest rates should be raised and monetary policy tightened if the economy gets better, because inflationary pressure can dampen consumption and economic prospects. The Bank of Korea has been constantly advised to hike interest rates.

But it stood pat, fearing repercussions on growth. It remained wary even after the economy grew 6.2 percent last year, outpacing the country’s growth expectations. The BOK has forgotten that its main mission is to fight inflation, not spur growth. The result is runaway prices.

If the BOK can’t perform its role properly, it can bring on government interference. The government stepped in to contain consumer prices by forcing a freeze on 52 consumer items and more or less threatening manufacturers into lower prices.

But that authoritarian route can hardy work in today’s market. Authorities are left with the option of adjusting interest rates and the value of our currency. But economic circumstances, both domestically and externally, have worsened. The local economy, in sync with the global economy, is rapidly slowing amid mounting public and private debt.

The risks could have been lessened if the central bank had acted in a timely and resolute way. The BOK inevitably will have to raise interest rates. It must remind itself of its primary duty and thoroughly examine the timing and scale of tightening.

물가 폭등은 한국은행 책임이다

물가는 한국은행이 책임지고 관장한다. 법에도 한은의 설립 목적은 물가 안정이라고 명기돼있다. 한은을 경제부처에서 떼내 독립기구로 만든 것도 이 때문이다. 정부는 속성상 경제성장에 무게를 둘 수밖에 없다. 그 결과 물가안정이 소홀해질 수 있기에 한은에 이 기능을 맡긴 것이다. 정부를 견제해 균형을 잡으라는 주문이다. 그러니 물가가 폭등한다면 그 책임은 한은이 져야한다.

지난 달 소비자 물가가 무려 5%대로 폭등했다. 5.3%의 물가상승률은 3년만에 최고치다. 굳이 수치를 들 것도 없다. 물가 폭등의 고통은 모든 국민이 이미 뼈저리게 겪고 있기 때문이다. 이 책임 역시 한은에게 있다. 금리 인상을 실기하지 않았더라면 이렇게까지 폭등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때 한은은 돈을 많이 풀었다.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 하지만 경기가 나아지면 금리를 올리고, 유동성을 회수해야 한다. 자칫 인플레이션 등 경제불안이 심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지난 해 줄곧 금리 인상을 주문했다. 하지만 한은은 마이동풍(馬耳東風)이었다. 경제성장과 경기회복에 찬물을 끼얹지 않을까 고민했다. 지난 해 성장률이 잠재성장률보다 훨씬 높은 6.2%나 됐는데도 한은은 좌고우면(左顧右眄)했다. 본분이 성장이 아니라, 물가안정이라는 걸 망각했기 때문이다. 그 결과가 지금의 물가 폭등으로 나타났다.

한은이 금리를 올리지 않으면 수단은 팔 비틀기 밖에 없다. 52개 품목을 지정해 특별 관리하고, 공권력을 동원해 물가를 내리라고 사실상 협박한 이유다. 하지만 이런 전근대적 방식이 먹혀들지 않는다는 게 이제 확연해졌다. 금리와 환율을 손대는, 정공법만 남았다는 얘기다. 다만 문제는 지난 해보다 여건이 아주 나빠졌다는 점이다. 재정위기로 인한 더블딥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데다, 가계부채의 위험성도 상당히 커졌다. 지난해 한은이 잘했더라면 이렇게까지 상황이 꼬이진 않았을 것이란 아쉬움이 두고두고 남는 대목이다. 그렇더라도 한은은 금리를 올려야 한다. 시기와 폭에 대한 검토는 정말 면밀히 해야겠지만, 본분이 물가안정이라는 걸 잊어선 안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