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ugh talks needed with Japan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ough talks needed with Japan



The Korean government formerly proposed to Japan a new round of discussions on compensation for the so-called comfort women, or wartime sex slaves for the Japanese army. Seoul cited the 1965 Agreement Between Japan and the Republic of Korea Concerning the Settlement of Problems in Regard to Property and Claims and Economic Cooperation, which allows the two nations to address comfort women’s rights through diplomatic talks or an arbitration panel.

Korea’s renewed endeavors follow last month’s Constitutional Court ruling in favor of victims of sexual slavery battling for a tougher government role in claiming compensation from Japan. The court ruled that the Korean government has not done enough to help the Korean women who were abducted and forced to provide sexual services to Japanese soldiers during the Second World War. The court concluded that the government was negligent in its duty to defend and fight for the rights of its citizens.

Japan maintains that all issues and damages during the colonial rule were settled in the blanket compensation treaty in 1965, even as legal experts say the deal does not cover individual compensation. The Seoul government has been shying away from taking on the issue in fear of starting a tedious diplomatic dispute. The government would have had to consider the broader context of Korea-Japan ties, but the victims and their families have been abandoned in their lonely fight against Japan. It took the Constitutional Court to shake up the government.

Article 3 of the Treaty stipulates that the dispute should be resolved through arbitration should the two countries fail to come to agreement in diplomatic negotiations. Though we believe that Japan should not resist the Korean government’s call, Japan refused to have talks on the issue. It must come to the negotiating table with sincerity. The government must address the issue with firm resolution and aggressiveness to settle it once and for all.

The United Nations Human Rights Commission as well as the U.S., Europe, and other countries and regions condemn the enslavement and other inhumane acts on Korean women as “crimes against humanity” and demand due compensation. Korea is by no means in a disadvantageous position should a mediator from a third country participate in the case. Of 234 comfort women recognized by the government, only 69 are still living at this point. There is no time to waste in getting a little bit of justice for them after so many years of neglect.

위안부 협상 거부할 명분 없다

정부가 어제 군대 위안부 피해자 문제에 관한 양자협의를 일본 정부에 공식제안했다. 1965년 체결된 한·일 청구권 협정의 분쟁 해결 절차를 근거로 정부간 협의를 제안한 것은 처음이다. 위안부 문제의 외교적 해결에 소극적이었던 정부가 갑자기 입장을 바꾼 것은 헌법재판소의 결정 때문이다. 지난달 말 헌재는 위안부 피해자의 배상청구권 문제를 놓고 양국 사이에 분쟁이 존재함에도 정부가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구체적 노력을 다하지 않은 것은 위헌이라고 판정했다.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하지 않은 정부의 ‘부작위(不作爲)’로 국민의 기본권이 침해 당했다고 본 것이다.

일본은 청구권 협정으로 군대 위안부 문제를 비롯해 식민 지배로 발생한 모든 피해에 대한 배상청구권이 소멸됐다는 입장이다. 협정에도 불구하고 개인 차원의 배상청구권까지 소멸된 것은 아니라는 반대 입장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소모적 법률 논쟁으로 인한 외교적 마찰을 우려해 뒷짐을 진 태도로 일관해 왔다. 한·일 관계의 큰 틀을 봐야 하는 정부의 입장도 이해 못 할 바 아니지만 피해 당사자들로서는 땅을 치고 통탄할 노릇이다. 정부의 무성의와 무책임에 대한 분노가 결국 위헌 소송으로 이어졌다.

청구권 협정 3조는 ‘협정의 해석을 둘러싼 분쟁은 외교 경로를 통해 해결하되 실패했을 때는 중재위원회에 회부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정해진 절차에 따라 우리가 협상을 제안한 만큼 일본은 거부할 명분이 없다. 과거의 잘못을 진정으로 뉘우친다면 성의 있는 자세로 협상 테이블에 나와야 한다. 등 떠밀려 협상을 제안한 꼴이 됐지만 정부도 이 기회에 위안부 문제를 반드시 해결하겠다는 각오로 당당하고 적극적으로 협상에 임해야 한다. 마지못해 하는 면피성 협상이 되어서는 안 된다.

유엔 인권위원회는 물론이고 미국과 유럽 각국도 위안부 문제를 용서할 수 없는 전쟁 범죄로 규정하고, 법적 배상 책임을 일본에 촉구한 바 있다. 제3국 인사가 포함된 중재위로 가더라도 우리가 불리할 것은 없다고 본다. 정부에 등록된 234명의 위안부 할머니들 가운데 생존해 있는 사람은 69명뿐이다. 우물쭈물할 시간이 없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