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better chance for Korean literature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 better chance for Korean literature



It was not very long ago that Korean literature was first introduced to foreign readers. According to literary critic Yu Jong-ho, Hong Jong-wu (1854-1913), a conservative politician from the late Joseon period who assassinated Kim Ok-gyun, was the first to introduce Korean literature to Europe. As the first Korean to study in France, he translated the folk tale “Chunhyangjeon” and published it in France as “Printemps Parfume.”

In contrast, Japan established itself as a meaningful location in the literary imagination of Europeans long ago. “Gulliver’s Travels,” which was published in 1726, mentions Nagasaki, Japan, and the Japanese translation of “Aesop’s Fables” was published even earlier, in 1639. Efforts to promote and publicize Korean literature began in earnest in the late 1960s, after Japanese writer Yasunari Kawabata received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in 1968.

At first, groups such as the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spearheaded the task of making Korean literature known abroad. In 1996, the Korean Literature Translation Vault was established as a joint venture between the government and private organizations. In 2001, the Korean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took over the task and has thus far accomplished a great deal. In the 11 years since its founding, it has sponsored 716 translations of Korean publications in 30 languages, including 392 literary works. This year, the KLTI was allocated a budget of 6 billion won ($7.65 million).

Despite the efforts, though, we often hear that excellent translations are hard to come by. Perhaps this is because publishers often take translation jobs just to earn money, so they are not motivated to provide superb translations that will appeal to foreign readers. This undermines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literature in the international market, according to literary critic Kim Hwa-young. Kim has said that the introduction of Korean literature in other countries is best left to the market.

But Kim is not calling for dissolution of the institute. Instead, the institute should create a long-term plan to train qualified translators specializing in Korean literature. Toward that end, the KLTI has invited foreign experts to help review its work from the past 10 years and plan for the future. They are attending a two-day conference that began yesterday. Hopefully, the institute will develop clever ideas to more effectively promote Korean literature in other countries.

*The writer is a deputy editor of culture and sports news at the JoongAng Ilbo.

By Shin June-bong

김화영씨의 쓴소리

이웃 일본과 비교하면 한국문학이 해외에 소개된 역사는 빈약하기 짝이 없다. 문학평론가 유종호씨에 따르면 근대 유럽에 한국문학을 최초로 소개한 이는 김옥균을 암살한 구한말(舊韓末)의 보수 정객 홍종우(1854∼1913)다. 한국인 최초의 프랑스 유학생이었던 그는 1892년 춘향전을 번안해 『Printemps Parfume(향기로운 봄)』이란 제목으로 현지에서 출간했다.

반면 일본은 일찌감치 유럽인들의 문학적 상상력 속에 의미 있는 존재로 자리잡았다. 1726년에 출간된 『걸리버 여행기』에 이미 일본의 나가사키(長崎)가 언급되어 있고, 서양의 『이솝 우화집』은 그보다 80년을 앞선 1639년에 일본에 번역 소개됐다.

한국문학을 체계적으로 알리려는 노력이 시작된 건 60년대 후반이다. 일본 작가 가와바타 야스나리(川端康成)가 68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게 컸다. 이에 자극받아 처음에는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같은 민간기구가 앞장섰다. 96년에는 민관 합동의 한국문학번역금고가 출범했고, 2001년에는 한국문학번역원이 사업을 이어받았다. 그간 번역원이 거둔 성과는 적지 않다. 11년간 30개 언어 716건의 국내 저작물 번역을 지원했다. 이중 문학이 392건으로 전체의 절반이 넘는다. 번역원의 올해 예산은 60억원을 웃돈다.

문제는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잘 된 번역이 필요하다는 얘기가 심심치 않게 나온다는 점이다. 번역원이 자금을 지원한 문학 번역은 도무지 신통치 않다는 걸까. 문학평론가 김화영씨는 "한국문학의 해외 소개는 시장에 맡겨두는 게 가장 바람직하다"고 말한다. 지원금이 목적인 출판사가 훌륭한 번역을 통해 외국 독자를 사로잡으려 할리 만무하다. 이런 악순환의 반복이 한국문학의 경쟁력을 떨어뜨린다는 게 김씨의 진단이다.

김씨의 주장은 번역원을 없애자는 게 아니다. 보다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 우수한 한국문학 번역자를 양성하는 쪽으로 힘을 집중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마침 번역원은 22∼23일 외국 전문가들을 초청해 번역원 10년의 성과와 갈 길을 짚어 보는 행사를 갖는다. 한국문학을 보다 효과적으로 외국에 알릴 수 있는 묘책이 많이 나오면 좋겠다.

신준봉 문화스포츠 부문 차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