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inventing for a lifetime of education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Reinventing for a lifetime of education




Lately, specialized and meister, or vocational, high schools have opened, many of them bearing unusual names such as “digital media high school” or “animation high school.”

Prestigious vocational high schools of the past have been transformed into regular schools. Mokpo Commercial High School - whose graduates include President Kim Dae-jung - is now Jeonnam Jeil High School, and Busan Commercial High school - where President Roh Moo-hyun went - became Gaesung High School in 2004. Dongji Commercial High School, the alma mater of President Lee Myung-bak, changed to Dongji High School in 1989.

But one commercial high school has chosen to keep its name, wearing it proudly as the best commercial secondary education institute: Seoul Girls’ Commercial High School.

In 1926, Seoul Girls’ Commercial High School was established by Han Yang-ho, the son of Han Kyu-seol, who fervently opposed the Eulsa Treaty, which deprived Korea of its sovereignty. The school’s educational legacy has continued for three generations. Last year, 172 of its 175 graduates found employment, while the other three went on to college. Among the 300 female branch managers of the big four commercial banks, 108 are alumnae of Seoul Girls’ Commercial High School.

In their first year, students take core classes. In their second, they choose a major and receive hands-on education. The school also has strict rules. When students arrive, mobile phones are collected until after school. At orientation, students are taught proper manners. New students have to visit the faculty offices as if they were in the corporate world, introducing themselves as if their teachers were their new bosses.

The country’s education inflation has become a big problem. When 80 percent of high school students go to college, they no longer meet the standards of higher education. The educational system has to be reorganized so that students at commercial high schools can find employment upon graduation, only later pursuing further education before returning to a more advanced occupation.

Today, education in Korea only focuses on the earlier stage of life. It works like a front-wheel-drive car. What we need is four-wheel drive. Six years ago, Japan set a national vision of “change jobs twice and study four times.” With an aging society, Korea needs to reshuffle the educational system to offer a lifetime of education.

*The write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Noh Jae-hyun

“앞 바퀴에만 힘 주는 우리 교육 이제 사륜구동 차로 바꿉시다”

근래 들어 우리나라에 특성화고·마이스터고가 줄줄이 생기면서 디지털미디어고·애니메이션고 등 낯선 교명들이 많이 등장했다. 명문 상고들이 잇따라 인문계고로 탈바꿈하기도 했다. 대통령을 배출한 상고 중 목포상고는 전남제일고(2001년), 부산상고는 개성고(2004년), 동지상고는 동지고(1989년)로 바뀌었다. 그러나 이름을 꿋꿋이 고수하면서 최고 명문 상업고교로 여전히 승승장구하는 학교도 있다. 서울여자상업고등학교다.

서울여상은 을사늑약을 끝까지 반대했던 한규설 선생의 아들 한양호가 1926년 설립했다. 조선 최초의 여성 실업교육기관 ‘경성여자상업학교’였다. 한양호와 아들 한학수, 그리고 손자인 한상국 현 교장에 이르기까지 3대에 걸쳐 잡음 하나 없이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지난해 졸업생 가운데 대학 진학 희망자를 뺀 175명 중 172명(98.3%)이 취업했다. 4대 시중은행의 여성 지점장 300명 중 108명이 서울여상 출신이다. 이 학교는 1학년 때는 공통교과를 배우고 2학년부터 금융정보과·국제통상과·인터넷비즈니스과로 나뉘어 철저하게 현장위주 교육을 받는다. 교칙은 엄격하다. 휴대전화는 등교시 제출했다가 하교 때 받아간다. 입학 오리엔테이션에서는 인사하는 법부터 가르친다. 신입생들이 교무실을 기업 사무실이라 생각하고 찾아가 선생님들을 직장 상사 삼아 정중하게 인사한다. 입학 후 첫 스승의 날에는 오전 수업만 한다. 모교에 가서 은사님들께 인사하고 오라는 취지다(이윤우, 『4년 먼저-서울여상, 그 놀라운 성공의 비밀』).

‘학력 버블’이 큰 문제다. 80%가 진학하는 대학은 이미 대학이 아니다. 서울여상을 졸업한 여성이 상당 기간 현장에서 일하다 사회 변화에 맞추어 대학에 진학, 새로운 지식으로 재충전하고 다시 현장을 찾을 수 있게끔 교육 시스템을 재정비해야 한다. 지금 우리나라 교육은 인생 초반기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 자동차로 치면 전륜구동형이다. 사륜구동형으로 바꾸어야 한다. 일본은 이미 6년 전 ‘이전직 사학습(二轉職四學習)’을 국가 비전으로 설정했다. 평생 두 번 직업을 바꾸고, 첫 취직 전과 두 전직 사이, 은퇴 후 등 4차례에 걸쳐 공부함으로써 한층 보람 있는 삶을 누리게 한다는 뜻이다. 우리도 고령화 사회에 맞춰 평생교육 제도를 근본적으로 재정비할 때가 왔다.

노재현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