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 for a contingency plan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ime for a contingency plan





The prospects for the world economy seem to be growing ever darker. U.S. economist Nouriel Roubini has warned of another global economic contraction and a financial crisis likely to wreak more havoc than that which followed the collapse of Lehman Brothers in 2008.

The credit crisis in the euro zone is quickly spilling over to the real economy. Fiscal dilemmas are also growing more complex. Italy has become the latest country to suffer a downgrade of its sovereign credit rating, and its reduction was by three notches. Greece declared that it cannot attain the target for deficit reduction that was a key condition for a bailout package and is now on the verge of bankruptcy.

The troubles in the euro zone have now deeply impacted financial sectors around the world. European and U.S. banks with substantial holdings in government bonds of risky economies are in danger. Bank of America, Morgan Stanley and Belgian bank Dexia look set to face restructuring. Equity markets in Asia suffered sharp losses because troubled U.S. and European banks pulled out their funds.

As the growing fiscal and financial crisis affects the globe, U.S. and European economies are quickly losing steam due to the credit crunch and reduced government spending. Many predict the U.S economy will shrink in the final quarter. China, which has so far sustained the global economy, is also slowing due to weak consumption overseas.

The risks for the export and foreign-capital dependent Korean economy are multiplying. The sharp drop in the value of the won and the shortage of key currencies may grip the economy as it did in 2008.

But the government insists it is better positioned to keep a lid on the situation this time. The nation’s foreign currency reserves exceed $300 billion, while short-term debt is at $150 billion. However, if the euro zone crisis continues, the country will run out of ammunition with which to defend itself.

Some $100 billion would be needed to prop up the economy, with $200 billion set aside for contingencies. As such, Korea needs a contingency plan to hedge against a worst-case scenario.

Emergency meetings will simply not suffice. The government may have to reconsider taxing foreign capital, despite fears that this could hurt Korea’s credibility and scare away foreign investors.

Either way, new methods to guard against sudden capital exits must be sought.

세계경제 위기 장기화 가능성 커져
외환보유고는 충분한 방파제 안 돼
토빈세, 은행세 강화 등 재검토해야


세계 경제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루비니 교수는 “통제불능한 상태로 가고 있다”고 한다. 그 정도는 아니더라도, 유럽발 재정위기가 은행위기와 실물경제 위기로 확산되고 있는 건 분명해졌다. 재정위기도 심화되고 있다. 유럽의 3대 경제대국인 이탈리아가 어제 국가신용등급이 3단계나 떨어졌다. 또 그리스는 국제통화기금(IMF) 이 구제금융을 제공하는 대가로 제시한 재정적자 목표치를 달성하기가 힘들다고 선언하면서 국가부도 가능성이 커졌다.

유럽 재정위기는 세계의 금융위기로 전이되고 있다. 재정 위기국의 국채를 많이 갖고 있는 유럽과 미국 은행들이 위험해졌다. BOA와 모건스탠리, 벨기에 덱시아은행 등의 구조조정 얘기가 지속적으로 나온다. 아시아 등 다른 나라의 주가가 급락하고 환율이 급등하는 것도 이들 은행의 자금 회수 탓이다. 재정 및 금융위기는 다시 실물경제 위기로 확산되고 있다. 신용경색과 정부지출 감소로 미국과 유럽의 경제성장이 둔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4분기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힘을 얻고 있다. 올해보다 내년이 더욱 힘들 것이라는 전망도 잇달아 나오고 있다. 그나마 세계경제의 버팀목이 돼주던 중국마저 감속 성장하고 있으니 큰 일이 아닐 수 없다.

대외의존도와 자본시장 개방도가 높은 우리 경제로선 매우 우려할 국면이다. 자칫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처럼 환율이 급등하고, 외환 부족 사태를 맞을 수도 있다. 물론 그때와는 상황이 다르다는 정부 주장은 분명히 일리가 있다. 외환보유고가 3000억달러나 되고 단기 외채는 1500억 달러에 불과하다. 그렇다고 안심할 계제는 아니다. 유럽발 경제위기가 장기화되면 외환보유고만으로는 충분한 방파제가 될 수 없다. 최후의 보루로 최소한 2000억달러는 들고 있어야 한다면 기껏 쓸 수 있는 돈은 1000억달러 남짓이다. 특히 우리 경제가 저성장시대에 접어들고 경상수지가 적자로 반전되면 더욱 그럴 것이다.

그렇다면 이런 최악의 상황에 대비한 시나리오는 있어야 한다. 차제에 외환시스템과 정책을 전면 재검토하기를 당부한다. 국민의 불안감을 해소하려면 근본적인 해결방안이 있어야 한다. 비상경제대책회의나 위기 극복 컨트롤 타워만으론 안 된다. 이번에도 우리나라의 주식과 외환시장이 외부 충격에 대단히 취약하다는 게 입증됐다. 현금 자동인출기(ATM)라는 오명도 다시 등장했다. 이런 걸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방안으로 토빈세가 있다. 외국 자본이 들어오고 나갈 때 일정액의 세금을 매기는 것이다. 그 동안 정부는 국제 신인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이유로 토빈세 도입을 반대해왔다. 하지만 3년 전 금융위기 당시 기획재정부 장관이었던 강만수 회장이 지금은 토빈세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해 도입했던 은행세를 강화하는 방안도 있다. 그 어떤 것이든 ATM이란 오명을 벗어 던지기 위한 방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