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en an attack is not really an attack
“Gag Concert” on KBS2 has always been a popular variety show, but “The Man Who Clarifies All Things Ambiguous” is its best segment. I am a big fan, and I respect the producers and staff for turning social issues into clever satire. In one episode, a young couple with a child was debating how to share the burden of child care. The Man Who Clarifies All Things Ambiguous has a clear solution: Put the mom in charge of the upper half of the body while the dad takes care of the bottom. Dads can’t breastfeed, so they have to be on diaper duty. What if the baby wakes up in the middle of the night? The dad should answer the call for the first nine months because that is how long the mom was pregnant.
I’d like to ask The Man what he thinks about the Oct. 26 Seoul mayoral by-election. After being beaten up by what could either be an attack or attempt at verification by Na Kyung-won, Park Won-soon has started to strike back. The electoral mudslinging has officially begun. But how can we distinguish attacks from verification? Clearly, “verification” sounds far more positive than “attack,” but Article 58 of the Election Law defines campaigning as activities to have a candidate elected or not. In other words, attacks used to discourage citizens from voting for a rival are part of an election campaign. Now, the distinction is even more ambiguous.
The first thing that comes to mind is whether a claim is based on facts or not. If a suspicion turns out to be true, it can be called verification. But if the allegation is either not true or an exaggeration of facts, it is an attack. Also, if a candidate criticizes a rival publicly, it is likely an attempt at verification. But if the criticism comes anonymously, it can be considered an attack.
Whichever it is, Park Won-soon seems to have suffered the greater damage. This is his first run for office, so he is as yet an untested entity. Meanwhile, his attempt to return the attacks was rather clumsy. He may have thought it would be a blow to Na to charge her with exploiting the disabled, but the attack backfired because she is the mother of a disabled child.
Research shows that an absolute majority of voters are critical of political attacks yet remember the content of the attacks in detail. In the end, the final decision is made by each individual voter, but a candidate can clarify the ambiguity based on how he or she feels. If you are attacked and feel wrongfully accused, you know you are the victim of a negative attack. But if you feel the prick and get nervous, then it is verification.
*The write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Noh Jae-hyun
검증과 네거티브의 차이는? 억울하면 네거티브 뜨끔하면 검증입니다
화제로 떠오른 KBS 2TV '개그 콘서트'의 '애정남(애매한 것을 정해주는 남자)' 코너를 나도 즐겨 시청한다. 세태를 콕 짚어 유머로 바꾸어내는 제작진의 치열한 프로 정신과 상상력에 경의를 표하고 싶을 정도다. 가령 부부 중 누가 어느만큼 아기를 돌보아야 하나? 애정남은 '상체는 엄마가, 하체는 아빠가 책임져야 한다'고 명쾌하게 판정한다. 아빠는 젖이 없으니 대소변 처리를 담당하라는 거다. 밤중에 아기가 깨어 칭얼댈 때는? "생후 10개월까지는 아빠 몫"이란다. 엄마는 이미 열달 간 뱃속에 품고서 고생했으니 말이다.
차라리 애정남 코너에 물어라도 보고 싶다. 엿새 앞으로 다가온 서울시장 선거 얘기다. 나경원 후보 측의 '네거티브' 혹은 '검증' 공세에 늘씬 두들겨 맞은 박원순 후보도 드디어 반격에 나섰다. 진흙밭 개싸움이 본격화된 셈이다. 하지만 도대체 '검증'과 '네거티브'는 무슨 기준으로 갈라야 할까. '검증'은 긍정적, '네거티브'는 부정적 느낌을 주는 용어지만 우리나라 선거법은 '선거운동'을 '후보가 당선되게 하거나 되지 못하게 하기 위한 행위'(공직선거법 58조)라고 규정한다. 다시 말해 상대의 표를 깍아내리기 위한 네거티브도 엄연히 선거운동에 속한다는 얘기다. 덕분에 기준 세우기가 더욱 애매해진다.
제일 먼저 떠오르는 건 사실(fact)이냐 아니냐 여부다. 제기한 의혹이 사실이라면 검증이라 불러도 좋다. 하지만 사실이 아니거나 약간의 사실에 거짓을 듬뿍 얹어 공격한다면 네거티브다. 또 자기 이름을 걸고 비판한다면 검증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장막 뒤에 숨어 익명으로 공격하면 네거티브로 취급해도 된다.
검증이든 네거티브든, 적어도 지금까지는 박원순 후보가 적자를 본 듯하다. 선거 출마가 처음이라서 미개척지(?)가 워낙 많은데다 간혹 시도한 네거티브 공격도 왠지 서툴렀기 때문이다. 나경원 후보가 선거유세 길에 한 10대 중증 장애아에게 '목욕 봉사'를 하는 사진을 공개하는 과정에서 장애아의 알몸이 노출된 것을 두고 인권침해를 이유로 나 후보를 닥달하는 게 실제 장애아를 둔 나 후보에게 치명타가 되리라고 판단했던 걸까.
유권자 절대 다수는 네거티브에 비판적이면서도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기억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결국 최종 판단은 유권자 몫이지만, 그 전에 후보 속마음을 기준으로 애매한 것을 정해 보자. 공격을 받고 억울하면 네거티브고, 뜨끔하면 검증이다.
노재현 논설위원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