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 hails demise of Qaddafi

Home > National > Social Affairs

print dictionary print

Seoul hails demise of Qaddafi

테스트

Libyan National Transitional Council fighters celebrate with flowers in their weapons in the streets of Tripoli following news of the fall of Sirte, Libya, the last holdout of Libyan former leader Muammar el-Qaddafi, who was killed on Thursday. [UPI/YONHAP]


Seoul joined the international chorus celebrating the death of Muammar el-Qaddafi and the end his dictatorial regime in Libya, issuing a statement wishing the country a brighter future.

But the despotic regime in Pyongyang remained mum on the news, as it has through the months of revolt in the North African country.

“We welcome the fact that the Libyan people will be able to leave behind a gloomy era and enter a historic transition with the death of Qaddafi,”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pokesman Cho Byung-jae said in a statement issued yesterday.

“We expect the Libyan people to achieve national unity and nation rebuilding through a democratic and peaceful process,” he said, adding that Seoul plans to actively participate in international efforts to help Libya.

테스트

The body of Muammar el-Qaddafi at a house in Misrata, Libya, on Thursday.[REUTERS/YONHAP]

Libya’s governing body, the National Transitional Council, confirmed yesterday that Qaddafi was killed a day earlier during a final assault on his hometown of Sirte.

“He has died in the custody of the revolution,” NTC spokesman Abdel Hafez Ghoga told reporters.

Qaddafi had vanished after the NTC took the Libyan capital of Tripoli in August and was reported to have encouraged forces loyal to him to resist to the end.

It was the end to an eight-month civil uprising in Libya and a 42-year iron rule of a man dubbed the “madman of the desert” by the U.S. for his support of terrorist activities around the world.

The NTC will formally announce the liberation of the country today, move its headquarters to Tripoli and form an interim government within 30 days, Al Jazeera reported.

United Nations Secretary General Ban Ki-moon welcomed Qaddafi’s death as ushering in a “historic transition” for Libya and called for the unity of its people.

“The road ahead for Libya and its people will be difficult and full of challenges. Now is the time for all Libyans to come together,” Ban said at UN headquarters.

U.S. President Barack Obama said his death, which followed the toppling of two other tyrannies in the region, Egypt and Tunisia, was a warning to authoritarian regimes in the rest of the Arab world.

British Prime Minister David Cameron said the death was an occasion to remember victims of Qaddafi’s terrorism, while French President Nicolas Sarkozy urged the country’s new regime to pursue democratic reforms. NATO’s assistance for the anti-government uprising in Libya, spearheaded by France and the UK, will begin winding down, said its chief Anders Fogh Rasmussen.

Arab League chief Nabil al-Arabi said he hoped the death of Qaddafi would “turn the page of tyranny.”

North Korea, long suspected of having close ties with Qaddafi’s regime, has not reported his death so far. The North was suspected to have sold ballistic missiles to his government.

Anti-U.S. Venezuelan President Hugo Chavez expressed anger over Qaddafi’s death, calling it an “outrage” and saying the ousted Libyan strongman was a “martyr.”


By Moon Gwang-lip, Reuters [joe@joongang.co.kr]


한글 관련 기사 [중앙일보]

김정일·차베스·살레 … 등골 서늘한 ‘카다피 친구들’

전 세계 독재자 전전긍긍

무아마르 카다피(69)가 사망했다는 소식에 리비아 국민만큼이나 기뻐했던 이들이 있다. 카다피처럼 자국민 살상을 서슴지 않는 독재자와 맞서고 있는 예멘과 시리아의 국민이다. 이들은 카다피의 비참한 최후가 자국의 독재자를 축출하는 기폭제가 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시리아 중부 홈스에 기반을 둔 반정부 세력의 웹사이트에는 21일(현지시간) “알아사드의 차례가 다가오고 있다”는 배너가 걸렸다고 dpa통신이 전했다. 탱크와 군함까지 동원해 무차별 학살을 해온 바샤르 알아사드(46) 대통령을 겨냥한 것이다. 유엔에 따르면 시리아에서 민주화 시위가 벌어지기 시작한 지난 3월 이후 지금까지 어린이 187명을 포함한 3000명이 희생됐다.

 터키로 피해 있는 시리아 반정부 인사 오마르 알머크다드는 “카다피의 죽음으로 전 세계의 독재자들은 교훈을 얻을 것”이라며 “자국민을 학살하는 이들은 결국 국민의 발에 짓밟혀 최후를 맞게 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알머크다드는 또 “이는 독재자를 몰아내려는 시리아 국민의 노력에 한층 가속도를 붙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시리아 반정부 시위의 거점인 홈스 등에서는 카다피가 사망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직후부터 군중이 모여들어 “바샤르, 다음은 네 차례야”라는 구호를 외쳤다. 알아사드 대통령은 부자 세습을 통해 11년째 시리아를 철권통치하고 있다. 그는 29년 동안 독재자로 군림했던 아버지 하페즈가 2000년 심장마비로 사망하자 뒤이어 최고지도자 자리에 올랐다.

 예멘의 상황 역시 비슷하다. 지난 2월부터 예멘에서는 33년 동안 장기집권 중인 알리 압둘라 살레(69)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반정부 시위가 계속되고 있다. 살레 대통령은 폭탄테러로 중상을 입은 뒤 사우디아라비아에 피해 있다 최근 귀국해 평화적 정권 교체를 약속했지만 실제로는 정부군을 동원해 비무장 시위대를 무참하게 짓밟고 있다.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 전문가인 데이비드 하트웰 역시 “카다피의 죽음은 ‘아랍의 봄’이 그랬던 것처럼 이 지역에 큰 파급효과를 낳을 것”이라며 “튀니지 재스민 혁명이 이집트로 이어졌던 것과 마찬가지 상황이 펼쳐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리비아계 미국인 여성들이 20일(현지시간) 일리노이주 브리지뷰에서 열린 무아마르 카다피 사망 환영집회에서 리비아 과도국가위원회(NTC) 깃발을 두른 채 포옹을 하고 있다. NTC는 22일 ‘리비아 해방’을 공식 선언할 예정이다. [브리지뷰 AP=연합뉴스] 다른 지역 독재자들이 카다피의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일지 역시 관심사다.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경우 핵무기에 더욱 집착할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김 위원장은 카다피 정권의 패망이 대량살상무기(WMD) 포기에서 비롯됐다고 믿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국제사회에서 몇 안 되는 카다피의 친구였던 우고 차베스(57) 베네수엘라 대통령은 카다피의 사망 소식을 듣고 그를 ‘훌륭한 전사이자 순교자’로서 기억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카다피는 살해당한 것”이라고 강조하며 “아무리 그래도 양키들이 전 세계를 점령할 순 없다”고 말했다. 차베스 대통령은 암 치료를 위해 쿠바에 머물다 카다피가 숨진 20일(현지시간) 귀국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