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s ‘civilian uprising’
Published: 25 Oct. 2011, 17:27
The ruling party may be writing up a similar report to its executive committee with just a week left before the Seoul mayoral by-election. Few took notice when the practically unknown human rights lawyer and activist Park Won-soon declared he would run. Then Ahn Cheol-soo, a software pioneer and public hero to the young and disgruntled, raised a commotion by simply hinting that his interest was turning to politics. At the peak of the furor, Ahn publicly announced his support for Park and he adopted his halo. The main opposition Democratic Party willingly became his cheerleader, although he is not a member, and threw its primary for the Seoul election at his feet. Splinter opposition groups naturally joined in with their own hosannas. An allied civilian force was established with blinding speed.
The Seoul mayoral by-election instantly turned into a historical contest, with entrenched, business-as-usual politicians taken on by forces of the grass-roots, and Korea was marching in step with the global trend of civilian uprisings. Grand National Party kingmaker Park Geun-hye roused to lead the ruling conservative forces and campaigned with the party’s mayoral candidate, Na Kyung-won. We will have to see how she fares in this new kind of contest against the civilian alliance rallying behind Park.
Grass-roots groups arise when mainstream politicians disappoint. They act as a kind of reset button in democratic societies. The majority political party has failed to listen to the voice of the people. For the last decade,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was primarily consumed with reconstructing the city and giving it a higher profile - in effect, concentrating on its facade. The civilian alliance is a natural by-product. It cannot be denied that Korean democracy has really evolved when a civilian activist is close to governing the capital, which accounts for nearly half of the country’s economic power.
But the awe stops there. What are the two contenders actually promising? Na’s banner promises “politics empathizing everyday lives.” Park claims to be the champion of “the politics of hope and understanding.” What do either of those slogans mean? Neither candidate envisions turning Seoul into an international metropolitan on a par with Los Angeles or Berlin. Nor do they articulate Seoulites’ duty to other major cities. The contenders are ambiguous in their philosophy toward governing the capital. If they were to govern for a decade, what would their key principles be?
-ellipsis-
1860년대 조선에 ‘민란의 시대’가 열렸다. 전국 70여개 지역이 분노한 민중봉기에 휩싸였다. 그 중 가장 규모가 컸던 진주민란엔 초군(나뭇꾼) 수백명이 선발대로 나서 관료와 부패사족들의 집을 불태웠다. 안핵사로 파견된 박규수는 조정에 이렇게 보고했다. “난민의 준동이 이러한데, 만약 천재지변이나 비상사태가 닥치면 흙더미처럼 무너지는 형세가 순식간일 것입니다. 생각이 이에 미치면 두려워 떨립니다.”
서울 시장선거를 앞둔 집권여당의 보고서에도 이런 말이 쓰여 있을까? 박원순후보가 야인모습으로 대중 앞에 나타났을 때만 해도 시민단체의 판촉행사 정도로 생각했을 것이다. 그런데, 안철수가 불쏘시개를 자처하고, 민주당이 흥행사로 나서고, 군소야당들이 임시제휴를 체결하자 판세가 달라졌다. 시민연합군이 결성된 것이다.
관군과 초군의 대결, 정당과 시민운동의 대결은 한국정당사에서 유례없는 빅매치이자, 지금 세계 각 도시에서 점화되는 들불저항의 향방을 가늠하는 실험대이기도 하다. 마침, ‘선거의 여왕’ 박근혜가 안핵사로 나섰으므로, 나·박(羅·朴)정규군이 시민연합군을 진압할 것인지 사뭇 궁금해진다.
기존 정당들이 제구실을 못할 때 시민운동이 부상하는 것은 미국과 유럽에서 흔한 현상이다. 민주주의 활력소가 따로 없다. 한국의 대중정당이 시민을 대변하지 못했고, 서울의 10년 정치가 토건과 디자인으로 점철되었다는 사실을 떠올리면, 박원순후보를 앞세운 시민연합군의 공세는 ‘예상된 봉기’임에 틀림없다. 1000만 주민, 2000만 직장인, 한국경제의 40% 이상을 책임지는 ‘서울공화국’을 과연 시민운동가에게 맡길 것인가, 이 질문이 던져졌다는 것만으로도 한국의 민주주의는 진일보했다.
그러나, 갈채는 거기까지다. 관군의 깃발이야 항상 구태의연해서 굳이 말할 것은 없겠지만, 시민연합군의 깃발도 그리 새로운 울림이 없다. 관군을 이끄는 당찬 여(女)장군은 퇴역수장의 실정(失政)을 의식해서인지 ‘생활공감정치’로 방향을 바꿨는데, 시민군 사령관은 ‘희망체감정치’로 맞받아쳤다. 생활특별시와 희망특별시, 대동소이하다. 서울을 LA, 혹은 베를린처럼 만들 것인지 등의 진취적 제안은 물론, 서울시민이 지향할 시민윤리는 무엇이고, 지방 대도시에 대해 어떤 역할을 할 것인가에 대한 책임성 발언도 없다. 보수와 진보를 대변하는 두 장수의 ‘서울 철학’이 애매하다. 10년 실정을 대체한다면, 그 핵심 개념은 무엇인가?
-중략-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