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emptive strike needed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Pre-emptive strike needed

In the third quarter, Korea’s economic growth stood at 3.4 percent compared to the same period in 2010, the lowest rate of annualized growth in two years and also the second straight quarter in which the rate has slowed. At this rate, the country will not meet this year’s target of 4.3 percent.

Reined in spending around the world due to the ongoing credit crisis in Europe, fiscal troubles in the U.S. and belt-tightening in China have all taken their toll on exports, the primary driving engine of the Korean economy. Companies have pushed back their planned capital investments amid a worsening outlook for external markets. Consumers are also spending less. The economy may gear down to a slower mode amid market uncertainties both at home and abroad. Similar to other countries, we too are short of policy ammunition and options to fight domestic and external risks. If European countries slip into a series of default crises, or the Chinese economy faces a hard landing, authorities must make sure the country is forearmed with the necessary emergency measures.

But it is harder to maneuver in an environment of slow growth. The textbook methods to put safeguards in place include slashing interest rates and expanding fiscal spending. But the central bank cannot lower the benchmark interest rates as inflation is already hovering above 4 percent and consumer debt is hitting dangerous levels.

Further easing could fan inflationary pressure as well as consumer debt. The government cannot move out of step with the rest of the world in terms of fiscal scrutiny due to the European credit crisis.

Authorities in the government and at the central bank are no doubt racking their brains for solutions to this conundrum.

But they would be well-advised to adopt a long-term view when addressing the issue as the slowdown has been spurred by external risks rather than domestic problems.

They should fight off the temptation to resort to short-term stimuli and stabilization measures until the global economy gets back on a stable track. Only by exercising prudence will they be able to persuade consumers and companies to see their way through the hard times.

Yet they must move forward with measures to reinforce the country’s core economic strength, and make sure that domestic consumption grows to buttress the economy against external risks. The services sector must also be deregulated and liberalized to keep the economy moving.


올해 3분기 경제성장률이 전년동기 대비 3.4%를 기록했다. 2분기 연속 3%대의 성장에 머물며 약 2년 만에 최저 수준을 지속했다. 우리의 잠재성장률로 추정되는 올해 4.3% 경제성장 목표조차 달성하기 어렵게 됐다. 유럽의 재정위기에다 중국마저 긴축의 끈을 조이면서 수출 증가세가 둔화된 게 가장 큰 원인이다. 대외여건 악화에 따라 국내 기업들은 설비투자 시기를 늦추고, 가계의 민간 소비도 뒷걸음치고 있다. 안팎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우리 경제가 본격적인 ‘저성장 하강국면’에 진입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떨치기 어렵다.
현재로선 이런 대내외 악재(惡材)에 마땅히 대처할 정책수단이 안 보이는 게 문제다.만약 유럽 국가들이 디폴트에 빠지거나 중국 경제가 경(硬)착륙하는 비상상황이 닥치면 망설임 없이 모든 비상수단을 동원해야 할 것이다.그러나 지금처럼 어정쩡한 경기 하강일수록 대처하기가 훨씬 고약하다. 당장 금리 인하와 재정투자 확대라는 고전적 수법을 떠올릴 수 있다. 하지만 4%대의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늘어난 가계빚 문제를 감안하면 기준 금리를 내리기 쉽지 않다. 인플레 심리를 자극하고 자칫 가계부채를 팽창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유럽 재정위기로 인해 재정을 늘여 경기를 살리기에도 위험 부담이 따른다. 이런 부작용들을 생각하면 정부와 한국은행의 고민이 깊어갈 수밖에 없다.
현재의 경기하강이 내부요인보다 외부 악재에서 비롯된 만큼 긴 호흡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글로벌 경제가 제자리를 찾기까지 정책 당국부터 단기 부양책의 유혹을 이겨내야 할 것이다. 그래야 가계와 기업들도 당장의 고통을 참고 견디도록 설득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우리 경제의 체질 개선 노력을 게을리해선 안 된다. 외부 충격에 견디는 안전판을 확보하려면 내수부문을 꾸준히 강화하는 것 말고는 방법이 없다. 서비스업 규제완화와 개방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유일한 해법이다. 외부 충격으로 위축된 투자·소비 심리를 녹이려면 어느 때보다 정책당국의 소통의 리더십이 절실한 상황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