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owing a dignified end to life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llowing a dignified end to life

As our society rapidly ages, we are taking more interest in end-of-life care and the right to die in dignity. The concept of euthanasia, which refers to the practice of suspending meaningless medical treatment and intentionally ending a life to relieve pain and suffering, is still novel in our society.

But there are many patients with incurable diseases under extreme distress - and whose families suffer along the way - who desire nothing more than to die in peace. And it appears some doctors are listening. A think tank on bioethical policies commission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onducted a survey from last December asking physicians if they would agree to cease medical treatment to ease their terminally ill patients’ pain and shorten their lives should voluntary euthanasia be legalized. More than 1,400 physicians said they would respect their patients’ will.

According to the center’s survey of 279 medical institutions, the number of patients undergoing extraordinary life-extension measures has been gradually decreasing, showing 5.5 per institution as of Jul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percentage of patients suffering from late-stage cancer who refused extraordinary treatment increased to 89.5 percent from 85.8 percent in 2007.

The growing sympathy toward patients’ right to die in dignity affected a ruling by the Supreme Court in May 2009. The court set the country’s first precedent in this area by ruling in favor of a family who wished to remove an elderly relative in a vegetative state from a respirator. Cardinal Stephen Kim also chose to end his medical treatment and die quietly at home.

But despite these changes in sentiment, laws to support euthanasia lag far behind. After the 2009 rul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some other hospitals now allow patients with incurable diseases to refuse further treatment. But many hesitate due to legal questions. Since regulations for cancer care were revised in June, those with late-stage cancer are given tools to ease their pain and prepare for death. But this exemption on intense medical care is only applied to patients with severe cancer.

Prolonged medical care regardless of a patient’s will is painful for patients and families. We must debate the legalization of voluntary euthanasia by specifying guidelines for patients to resist or suspend treatment when they have no prospect of recovery. Two bills on euthanasia are sitting idle in the National Assembly. They could be the start to better end-of-life care.


품위 있는 죽음, ‘웰 다잉’에 대한 우리 사회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삶의 마지막 단계에서 무의미하고 고통스러운 연명치료를 거부하고 인간으로서의 존엄을 지키는 아름다운 마무리를 하려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는 것이다. 보건복지부 지정 생명윤리정책연구센터가 지난해 12월부터 연명치료 중단 의사를 밝히는 ‘사전의료의향서’ 보관 서비스를 시행한 결과 지금까지 1400여 명이 서약을 했다고 한다. 센터가 279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7월 현재 연명치료 입원환자는 기관 당 5.5명 수준으로, 조금씩 감소하는 추세다. 서울대병원의 경우 말기암 환자의 연명치료 거부율이 2007년 85.8%에서 올해 89.5로 증가했다.
연명치료 중단과 인간답게 죽을 권리에 대한 인식 변화엔 2009년 5월 대법원 판결이 큰 영향을 미쳤다. 식물인간이 된 ‘김 할머니’의 인공호흡기를 제거하라고 판결함으로써 국내 첫 존엄사 인정 사례가 나온 것이다. 김수환 추기경이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거부하고 선종한 것도 계기가 됐다. 죽음을 당하는 게 아니라 품위 있게 맞이하려는 의식이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품위 있는 죽음을 보장하기 위한 법적·제도적 장치는 아직 미흡하다는 점이다. 대법원 존엄사 판결 이후 서울대병원 등 일부 병원에서 연명치료 여부를 사전에 스스로 선택하게 하는 사전의료지시서 제도를 운영하고 있지만 법적 강제력이 없다는 한계가 있다. 지난 6월부터 ‘암 관리법’ 개정안이 시행되면서 말기암 환자를 대상으로 남은 생을 돌보고 품위 있는 죽음을 준비하도록 돕는 완화의료가 가능해 진 것은 상당한 진전이다. 그러나 암 환자 외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환자 본인의 의지와 무관한 연명치료는 환자·가족 모두에게 고통일 뿐이다. 연명치료의 거부 또는 중단을 허용할 수 있는 요건과 절차를 구체적으로 명시한 존엄사 입법이 이뤄져야 한다. 현재 국회에서 잠자고 있는 두 건의 존엄사 관련 법률안에 대한 논의부터 재개될 필요가 있다. 죽음의 질이 향상되지 않고선 삶의 질 향상도 기대할 수 없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