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omprehensible pay hike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Incomprehensible pay hikes

A hot debate took place in the National Assembly last June over whether to raise the subscription fee for KBS. The government’s attempt to raise the fees was thwarted by the logic that the increase would only exacerbate the financial burden on citizens.

Yesterday, the government announced its plan to raise railroad fares by about 3 percent starting next year: KTX fares from Seoul to Busan will go up by 400 won ($0.36), and the fare from Seoul to Daejeon by 100 won. Stressing that railroad fares have been frozen for the past four years, the government sought understanding from the public.

Fee increases are understandable, as they are sometimes necessary to raise state funds. But not all increases are alike. Local councils across the nation are keen to raise the salaries of their members starting next year. The North Gyeongsang Council, for instance, decided to raise councilmen’s yearly salary to 53 million won - a whopping 10.4 percent increase.

Songpa District Council in southern Seoul and South Cheonan City Council also plan to increase the salaries of their members to well over 40 million won, a 8.6 percent and 7 percent increase, respectively.

Among the 244 local councils in the nation, a quarter have already decided to boost member salaries. Yeosu City Council, in particular, is facing harsh criticism for its payment hike plan, which is being executed despite the fact that seven of 26 councilmen have been accused of corruption. We wonder if these councils really understand the excruciating pain that ordinary citizens have to endure at times of economic depression like this.

A surprising 87.3 percent of all local governments in the country have failed to attain financial independence and many of them are facing de facto bankruptcy as a result of countless projects to build glitzy city halls or launch other exhibitionist projects. Such a fiasco would be unimaginable if local councils had strictly monitored and scrutinized their executive bodies. Councilmen have frequently been caught for various types of corruption ranging from suspicious meddling to influence peddling. It is utterly shameful of them to protect their own interests at the expense of ordinary people.

If they are wise enough to understand their constituents’ pain, they must share it with them rather than take advantage of their privileges. Citizens will not forgive their unscrupulous behavior. If they dismiss the people’s fury, they will be judged with votes in the next election.


지난 6월 국회는 KBS 수신료 인상안을 놓고 뜨거웠다. 현행 2500원에서 1000원을 더 올리려던 시도는 결국 무산됐다. 국민 부담이 늘어난다는 경제논리의 벽을 넘지 못했다. 어제 철도요금이 약 3% 가량 인상된다는 발표가 있었다. KTX의 경우 서울~부산은 400원, 서울~대전은 100원이 오른다. 정부는 철도요금이 4년간 동결됐다는 점을 강조하며 국민 이해를 구했다. 단 돈 몇 백원을 올리려 해도 조심스럽다. 국민의 주머니에서 나오는 돈이기 때문이다. 이를 아랑곳 하지 않는 성역이 바로 지방의회다.
전국 지방의회들이 내년 의원 의정비 인상에 혈안이 돼 있다. 인상폭도 연간 1인당 수백만원씩이다. 광역의회 중 경북도는 지금보다 무려 10.4%(330만원) 올린 5300원을 책정했다. 기초의회 중 서울 송파구는 261만원(8.6%)를, 남 천안시는 269만원(7%)를 각각 올려 연간 4000만원 대를 훌쩍 넘는 의정비를 지급하게 된다. 전국 244개 광역·기초 지방의회 가운데 4분의 1 가량인 96곳이 인상을 이미 결정했다. 전남 여수시의회의 경우, 의원 26명 중 7명이 뇌물 비리로 의원직을 잃었거나 잃을 정도로 썩었는데도 의정비 인상을 추진해 빈축을 사고 있다. 그들에게 몇 푼이라도 아끼겠다고 허리띠를 졸라매는 서민의 고충을 아는지 묻고 싶다.
현재 전국 지자체의 87.3%가 재정자립도 50%를 넘지 못한다. 호화청사를 짓거나 무리하게 전시성 사업을 벌이다 사실상 부도 위기에 몰린 지자체도 수두룩하다. 행정을 감시·감독하라는 지방의회가 제 역할을 다했다며 이 지경이 됐겠는가. 오히려 이권개입과 압력행사, 관광성 해외연수 등 크고 작은 비리와 잡음에 단골손님처럼 등장하는 게 지방의원들이다. 그러면서도 제 밥 그릇 챙기기에는 앞장서니 정말 후안무치(厚顔無恥)하다.
도시와 마을, 주민이 골병 드는 걸 안다면 고통을 분담하는 게 도리다. 세금으로 제 주머니부터 채우려는 지방 의원들의 이런 행태는 주민을 무서워하지 않기 때문이다. 주민들이 자신이 낸 세금을 남의 돈인냥 방관해온 결과다. 분노할 줄 모르면 무서워하지 않는 법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