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andora’s box of time and youth
Published: 20 Nov. 2011, 19:32
One night when I was having a drink with co-workers, one of them asked the group, “Would you want to go back to your 20s?” Being 30 years younger sounds tempting, but surprisingly, people were not so eager. One even said, “That sounds terrible. I would never go back to my 20s.” I was more reluctant. I would love to relive my bright and sunny youth, but I don’t want to go back to those gloomy days, when I felt like I was walking in a dark tunnel.
Yesterday, I gave a lecture at a university in which I was asked to analyze media reports. I asked the students if the media should highlight students who drop out if they are not admitted to prestigious universities, such as Seoul National, Korea or Yonsei. The students responded sensitively. The school at which I was lecturing was a respectable university in the capital region with a relatively high post-graduation employment rate, but it was not one of the top three.
One student said that he would be concerned about the stigma associated with dropping out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I trust his sincerity and feel that we should not make imprudent assumptions about a student’s future. At the same time, I could guess what was going on in the minds of the audience. They were thinking that there was a hierarchy even when it comes to dropping out. Society would pay attention to a message about discrimination if students from the top three universities were leaving school voluntarily. No one cares about students who drop out of regional or low-ranking schools, even if they are struggling to finance their education. The students who leave the top schools set themselves apart by leaving at a time when 80 percent of high school students go to college. In the 1980s, student activists left school and joined the labor movement, but that would difficult to do now because academic background is crucial, even in the progressive camp. The leader of the Democratic Labor Party, which is the most progressive party, is a graduate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Law.
Nowadays, college students are stuck between the established generations of the left and the right. If people in their 50s are caught between the older and younger generation, those in their 20s are sandwiched between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Nevertheless, they have to draw the future for themselves. Fortunately, young Koreans have a Pandora’s box filled with great presents, namely time and youth. I expect them to do their best.
*The write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Noh Jae-hyun
동료들과의 술자리에서 누군가 “지금 20대로 돌아간다면 가겠나”고 묻는다. 30년 젊어진다니 누구나 동의할 듯하지만 의외로 아니다. 처음부터 “싫다. 끔찍하다”는 사람도 있다. 내 경우엔 망설인다. 햇살 같이 찬란한 젊음을 생각하면 돌아가고 싶지만, 어두운 터널을 걷는 듯했던 또 한편의 나날을 생각하면 주저하게 된다. 그래도 청춘은 좋다. 어제 수도권 한 대학에서 특강 명목으로 학생들과 대화를 나누었다. 나도 두 아들이 대학생이다. 언론 보도를 비판적으로 소화하라는 내용의 강연 말미에 “최근 학교를 자퇴한 고려대(김예슬)·서울대(유윤종)·연세대(장혜영) 학생이 만약 스카이(sky) 대학이 아니었더라도 언론에서 크게 기사로 다루었을까”라는 질문을 던졌다. 학생들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게 느껴졌다. 수도권이고 취업률 상위권인 괜찮은 대학이었지만 ‘스카이’는 아니었다. “‘서울대 거부한 자퇴생’이라는 꼬리표가 따라다닐까 봐 걱정”(유윤종)이라는 말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나는 세 자퇴생의 진정성을 믿는 편이고, 그들의 앞날을 위해서도 예단은 삼가자는 입장이다. 동시에, 강연에서 나타난 민감한 반응들의 속내도 나름대로 추측한다. 이를테면, 자퇴에도 엄연한 서열이 있다는 것. 같은 자퇴라도 스카이쯤 돼야 학력차별·대학서열화에 반대한다는 메시지가 사회의 주목을 받는다는 것. 지방·하위권대에서 학비 부담에 시달리며 알바·복학·휴학을 거듭하다 끝내 자퇴하고 만 학생도 많은데 그들은 아무도 주목하지 않는다는 것. 상류층·패션리더가 끊임없이 ‘차별화’를 시도하는 것처럼 고교생의 80%가 대학에 진학하는 지금 현실에선 스카이 대학 자퇴가 일종의 차별화일 수도 있다는 것. 1980년대 운동권 대학생들이 학생 신분을 과감히 포기하고 노동현장에 뛰어들었지만 세월이 지나 보니 결국 그들의 출신대학이 진보진영에서도 강력한 힘을 발휘하더라는 것. 가장 왼쪽에 있다는 민노당마저 서울법대 출신이 대표라는 것…. 게다가 지금 대학생들은 좌·우 양쪽 기성세대 사이에서 눈칫밥이다. 50대가 선·후배 세대 사이에 끼어 있다면 20대는 산업화·민주화세력 사이의 샌드위치, 또 다른 ‘낀 세대’다. 어쩌겠나. 아무리 막막해도 자기 앞길은 자기가 새로 그려나갈 수밖에 없다. 다행히 20대의 판도라 상자에는 시간과 젊음이라는 큼직한 선물이 남아 있다. 건투(健鬪)를 빈다. 노재현 논설위원
Yesterday, I gave a lecture at a university in which I was asked to analyze media reports. I asked the students if the media should highlight students who drop out if they are not admitted to prestigious universities, such as Seoul National, Korea or Yonsei. The students responded sensitively. The school at which I was lecturing was a respectable university in the capital region with a relatively high post-graduation employment rate, but it was not one of the top three.
One student said that he would be concerned about the stigma associated with dropping out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I trust his sincerity and feel that we should not make imprudent assumptions about a student’s future. At the same time, I could guess what was going on in the minds of the audience. They were thinking that there was a hierarchy even when it comes to dropping out. Society would pay attention to a message about discrimination if students from the top three universities were leaving school voluntarily. No one cares about students who drop out of regional or low-ranking schools, even if they are struggling to finance their education. The students who leave the top schools set themselves apart by leaving at a time when 80 percent of high school students go to college. In the 1980s, student activists left school and joined the labor movement, but that would difficult to do now because academic background is crucial, even in the progressive camp. The leader of the Democratic Labor Party, which is the most progressive party, is a graduate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Law.
Nowadays, college students are stuck between the established generations of the left and the right. If people in their 50s are caught between the older and younger generation, those in their 20s are sandwiched between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Nevertheless, they have to draw the future for themselves. Fortunately, young Koreans have a Pandora’s box filled with great presents, namely time and youth. I expect them to do their best.
*The write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Noh Jae-hyun
동료들과의 술자리에서 누군가 “지금 20대로 돌아간다면 가겠나”고 묻는다. 30년 젊어진다니 누구나 동의할 듯하지만 의외로 아니다. 처음부터 “싫다. 끔찍하다”는 사람도 있다. 내 경우엔 망설인다. 햇살 같이 찬란한 젊음을 생각하면 돌아가고 싶지만, 어두운 터널을 걷는 듯했던 또 한편의 나날을 생각하면 주저하게 된다. 그래도 청춘은 좋다. 어제 수도권 한 대학에서 특강 명목으로 학생들과 대화를 나누었다. 나도 두 아들이 대학생이다. 언론 보도를 비판적으로 소화하라는 내용의 강연 말미에 “최근 학교를 자퇴한 고려대(김예슬)·서울대(유윤종)·연세대(장혜영) 학생이 만약 스카이(sky) 대학이 아니었더라도 언론에서 크게 기사로 다루었을까”라는 질문을 던졌다. 학생들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게 느껴졌다. 수도권이고 취업률 상위권인 괜찮은 대학이었지만 ‘스카이’는 아니었다. “‘서울대 거부한 자퇴생’이라는 꼬리표가 따라다닐까 봐 걱정”(유윤종)이라는 말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나는 세 자퇴생의 진정성을 믿는 편이고, 그들의 앞날을 위해서도 예단은 삼가자는 입장이다. 동시에, 강연에서 나타난 민감한 반응들의 속내도 나름대로 추측한다. 이를테면, 자퇴에도 엄연한 서열이 있다는 것. 같은 자퇴라도 스카이쯤 돼야 학력차별·대학서열화에 반대한다는 메시지가 사회의 주목을 받는다는 것. 지방·하위권대에서 학비 부담에 시달리며 알바·복학·휴학을 거듭하다 끝내 자퇴하고 만 학생도 많은데 그들은 아무도 주목하지 않는다는 것. 상류층·패션리더가 끊임없이 ‘차별화’를 시도하는 것처럼 고교생의 80%가 대학에 진학하는 지금 현실에선 스카이 대학 자퇴가 일종의 차별화일 수도 있다는 것. 1980년대 운동권 대학생들이 학생 신분을 과감히 포기하고 노동현장에 뛰어들었지만 세월이 지나 보니 결국 그들의 출신대학이 진보진영에서도 강력한 힘을 발휘하더라는 것. 가장 왼쪽에 있다는 민노당마저 서울법대 출신이 대표라는 것…. 게다가 지금 대학생들은 좌·우 양쪽 기성세대 사이에서 눈칫밥이다. 50대가 선·후배 세대 사이에 끼어 있다면 20대는 산업화·민주화세력 사이의 샌드위치, 또 다른 ‘낀 세대’다. 어쩌겠나. 아무리 막막해도 자기 앞길은 자기가 새로 그려나갈 수밖에 없다. 다행히 20대의 판도라 상자에는 시간과 젊음이라는 큼직한 선물이 남아 있다. 건투(健鬪)를 빈다. 노재현 논설위원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