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erican hegemony on the edge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American hegemony on the edge

“How China can defeat America” was the title of a daring column contributed by Yan Xuetong, a professor at Tsinghua University, to the New York Times. The notable realist hawk finds an answer from Xunzi, the Chinese Confucian philosopher from the Warring States Period. According to Xunzi, there are three types of foreign policy strategies: humane authority, hegemony and tyranny. Humane authority wins over the world with moral leadership. Taking over a part of the world through competitive military power is hegemony. Tyranny is ruling over neighbors using forcible measures.

Yan claims that China’s triumph over America would not occur through military or economic might, but rather, he said it would only be possible with humane authority, displaying model leadership based on certain morals and norms. The Chinese need to move away from widespread mammonism and restore traditional morals, creating a harmonious society by overcoming economic polarization and corruption. Externally, China should establish itself as a respectable country that defends peace.

The paradox begins here. The United States, which pursued humane authority since World War II, is about to pursue the way of hegemony, while China, which has barely entered the gateway to hegemony, is seeking humane authority. No country in modern history has established universal standards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r provided public goods as the United States has. The U.S. initiated the creation of the United Nations, spearheaded the establishment of the free trade system and the Bretton Woods system, and has played the role of world policeman. The United States has displayed moral leadership in establishing worldwide standards with new ideas and agendas.

But regrettably, the aura of the past is nowhere to be found in U.S. actions today. During a visit to Korea in October, John Mearsheimer, a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illustrated this reality with a simple analogy. He said that the emergence of China puts Korea in danger, and Korea has no option other than to rely on the United States. Stephen Walt, a professor at Harvard University’s Kennedy School of Government, demanded that Korea choose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The two argued that Korea’s geopolitical location is similar to that of Poland’s in Europe, essentially urging Korea to side with the United States.

This point of view represents the perspective of Republican hawks in large part. But more surprisingly, U.S. President Barack Obama’s plan for Asia is not much different. It is a positive development that Obama has deviated from a Eurocentric mindset and now calls Asia the central axis of American diplomacy. However, we cannot help but worry that the series of policies implemented by the Obama administration may simply be designed to compete for hegemony with China. Obama and his staff declared in unison that the United States would augment its military strength as it gets more involved in the Asia-Pacific region. For instance, the U.S. recently announced that it will station 2,500 Marines in Darwin, Australia, along with naval vessels and fighter jets.

-ellipsis-



‘중국은 어떻게 미국을 패배시킬 수 있는가.’ 강경파 현실주의자로 불리는 옌쉐퉁 중국 칭화대 교수가 얼마 전 뉴욕타임스에 기고한 도발적인 칼럼의 제목이다. 이 글에서 그는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 순자(荀子)에서 답을 찾는다. 순자는 한 국가의 대외전략을 왕도(王道), 패도(覇道), 그리고 강권(强權)으로 나눈다. 여기서 도덕적 리더십으로 천하를 아우르는 방식이 왕도라면, 군사력을 이용해 경쟁적으로 천하의 일부를 차지하는 게 패도이고, 강권은 강압적 방법으로 주변국에 군림하는 것이다.

옌 교수는 중국이 미국을 이기는 길은 경제력이나 군사력에 있지 않다고 주장한다. 도덕과 규범에 기초한 모범적 리더십, 즉 왕도의 행보를 걸을 때 비로소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적으로는 배금주의에서 벗어나 전통적 도덕성을 회복하는 한편 경제적 양극화와 부정부패를 극복해 조화사회를 이뤄야 하고, 대외적으로는 존경받는 평화애호국가로 자리매김해야 한다는 처방이다.

패러독스는 여기서 시작된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왕도의 길을 걸어왔던 미국은 이제 패도의 길을 가려 하는 반면, 이제 겨우 패도의 문턱에 들어선 중국이 왕도의 길을 희구한다는 역설이다. 사실 현대 국제정치사에서 미국처럼 국제사회의 보편적 규범과 원칙을 세우고 공공재를 제공해온 나라는 없었다. 유엔 탄생의 산파역을 맡고, 자유무역체제와 브레튼우즈 통화체제를 구축하는 데 앞장섰는가 하면, 세계경찰 역할을 자임하는 등, 미국은 그간 새로운 아이디어와 어젠다 설정을 통해 문명의 표준을 만들어나가는 도덕적 리더십을 발휘해왔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오늘날의 미국에선 이러한 과거의 오로라를 찾아볼 수 없다. 지난 10월 외교안보연구원 초청으로 방한했던 존 미어샤이머 시카고대 교수의 말은 이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중국의 부상으로 한국이 위험한 상황에 처해있다. 한국으로서는 미국에 의지하는 것 외에는 다른 선택지가 없다.” 동행했던 스테판 월트 하버드대 교수는 아예 한국에게 ‘미국과 중국 간에 양자택일하라’고 주장하고 나섰다. 한국은 유럽의 폴란드와 유사한 지정학적 위치에 있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는 이들의 주문은 사실상 강요나 다름이 없다.

이것으로 끝이 아니다. 자유항해권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남중국해를 핵심이익 수역으로 설정한 워싱턴은, 베트남, 필리핀과의 군사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중국의 뒷마당이나 다름없는 미얀마와의 관계개선도 꾀하고 있다. 호주 다윈에 2500명 규모의 해병대 병력과 해군함정, 전투기를 배치한다는 발표도 나왔다. 핵연료 기술제공을 빌미로 인도와의 관계도 강화하고 있다. 여기에 기존의 한미·미일동맹을 포함하면, 군사적으로 중국을 포위하는 구도가 자연스레 형성되는 것이다. 경제 분야에서도 미국은 한국과의 FTA 체결과 일본을 포함하는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구축을 통해 중국 견제에 나서고 있다.

-중략-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