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e eye of the storm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In the eye of the storm

A new chapter in the history of Korean Peninsula opens with the death of North Korea’s longtime absolute ruler Kim Jong-il. North Korea’s pariah status as an isolated, impoverished nation obsessed with nuclear weapons was earned during the 17-year reign of the late erratic leader. Kim received tough training to become leader from his father, North Korea’s founder Kim Il Sung, in the aftermath of the Korean War, when North Korea outpaced the capitalist South in recovery thanks to the financial support from the Soviet Union and China.

After the elder Kim established absolute and invincible power, he gave his son high-level secretarial posts in the Workers’ Party. The father and son built a personality cult as the “great leader” and the “dear leader,” and they ended up jointly running the Communist regime. The younger Kim formerly became the heir-apparent after he was named supreme commander of the North Korean army in 1991. When his father suddenly died in July 1994, he succeeded him without any questioning, becoming part of the first Communist dynasty.

The North Korean economy had fallen into dire straits by the time Kim ascended to the throne. Uncounted thousands of North Koreans died of starvation after a series of floods and droughts. A sensible new leader would have taken radical steps to address the economic crisis, but Kim Jong-il was not one. Instead, he squeezed resources to reinforce the military’s power - and his control over the armed forces. He pursued nuclear weapons and other weapons of mass destruction to protect his regime.

North Korea’s economy went from worse to beyond help over the last two decades. But Kim and his elite inner circle remained intact. In 2002, Kim attempted economic reform by experimenting with a partial market economy to boost output. But few changes and improvements resulted because Kim maintained a rigidly controlled economic system and ideology.

To North Koreans, Kim was more of an inevitable leader. He was regarded differently from his father, who was worshipped as a kind of deity. Kim’s attitude toward the people was condescending. The oppression and rigid control he wielded over his people awed even the most infamous dictators of the world. Kim’s words eclipsed any law, morality or religion. He extracted fear to suppress the people and brainwashed them into a sense of helpless devotion to the leader.

-ellipsis-



북한의 절대 권력자 김정일이 세상을 떠남으로써 한반도 분단 역사에 한 장(章)이 마감됐다. 김정일의 집권에서 사망에 이르는 과정은 북한의 흥망성쇠와 직결돼 있다. 6.25 전쟁 직후 전쟁의 참화로 피폐한 북한이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루던 1950년~60년대 김정일은 아버지 김일성과 그 주변세력들에 의해 체계적인 후계자 수업을 받았다.

아버지 김일성 주석이 절대 권력을 공고히 한 직후인 1973년 노동당 조직비서와 선전비서가 되면서 후계자 지위를 확립했다. 이후 김정일은 서서히 김일성과 공동정권 운영자로 세력을 확대했다. 1991년 군최고사령관에 오르면서부터는 사실상 북한의 최고 통치자가 됐고 1994년 7월 김일성이 사망한 후로는 누구도 견제할 수 없는 절대 권력을 휘둘렀다.

그러나 김일성 사망 당시 이미 북한 경제는 회생하기 어려운 나락에 빠진 상황이었다. 이어 닥친 대홍수와 한해(寒害), 가뭄으로 북한 주민들은 대기근에 빠졌고 수십만 명이 굶어 죽는 이른바 ‘고난의 행군’을 겪었다. 이런 난국 속에서 한 나라의 최고 지도자라면 적극적인 개혁을 추진함으로써 경제난 해소를 시도하는 것이 상식적이지만 김정일의 선택은 달랐다. 그보다는 선군(先軍)정치를 통해 체제 이반 세력의 출현을 견제했고 외부세계 압력에는 핵무기 개발로 맞서는 등 체제 보위에 전력을 다했다.

그 결과로 최악의 경제난이 20년 이상 이어지는데도 김정일과 소수 지배층의 절대 권력체제는 온존될 수 있었다. 김정일은 2002년 ‘7.1조치’로 알려진 경제 개혁을 시도한 적이 있다. 부분적으로 시장경제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생산을 증대시키려는 시도였다. 그러나 동시에 사회주의 계획경제의 틀과 이념을 오히려 더 완강하게 고수함으로써 근본적인 개혁을 좌절시켰다.

북한 주민들 사이에서 김정일은 ‘어쩔 수 없는’ 절대권력자로 받아들여졌다. 아버지 김일성에 대한 평가와는 또 달랐다. 인민들의 마음을 사기 위한 노력은 위선적(僞善的)이었다. 세계 역사상 유례가 드물 정도로 강압적이고 조밀한 주민감시체제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무한대의 권력을 휘둘렀다. 주민들은 그의 말 한마디 한마디를 법과 도덕, 신앙을 뛰어넘는 절대적 교시로 받들어야 했다. 공포를 통치의 주 수단으로 활용했고 체념을 자신에 대한 추앙으로 변질시켰다.

-중략-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