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 China FTA, only fools rush in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For China FTA, only fools rush in

During his visit to Beijing this week, President Lee Myung-bak agreed with his Chinese counterpart Hu Jintao to initiate domestic procedures for the start of talks on a bilateral free trade agreement. This is the first time that the heads of the two countries have reached a formal consensus after the issue was first raised eight years ago.

But Beijing appears more eager than Seoul to get the ball rolling. Chinese officials have been calling for the process to quickly get underway by focusing on mutual benefits first and leaving the thorny issues for later. China has been trying to establish a customs-free trade bloc with Southeast Asian nations as well as Taiwan and Singapore. It also wants to strike a deal with South Korea, which has already ratified free trade deals with the United States and European Union for greater access to the world’s two largest markets.

Now Lee has seemingly changed tack by aggressively pushing for the two countries to free up trade. However, he may have a hidden agenda beyond the immediate material gains, with security also likely to be high on his agenda. If China and South Korea were linked with such a deal, it would be harder for Beijing to side with Pyongyang and tolerate North Korean provocations.

But the government must nevertheless be prudent in moving to sign a deal with China. Once cheap produce from China swamps the local market, it could ruin domestic agriculture and livestock businesses. China may also resist opening up its financial industry and services sector, insisting that these sectors are relatively underdeveloped, while its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remains murky at best. Any deal must be thoroughly examined and prepared before negotiations begin. The government should also bear in mind that formal talks are not likely to start until the next administration takes over following December’s presidential elections. If it tries to speed things up, it could exact protests far greater than those which arose in opposition to the Korea-U.S. FTA.

Moreover, the two countries should not expect to sign a broad free trade deal, and some sensitive areas should be omitted or granted a grace period. The success of a free trade deal is 90 percent reliant on how businesses capitalize on the new opportunities at hand and just 10 percent on diplomatic efforts. Seoul must listen to the voices of vulnerable industries and work to build a consensus at home first. It should move slowly and not make any mistakes or court controversy.


우리가 협상을 마다할 이유 없다 고도의 전략과 치밀한 준비 위에 대내협상과 공감대 형성에 힘쓰길
그제 한·중 정상회담에서 양국간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개시를 위한 국내 절차를 개시하기로 합의했다. FTA 이야기가 나온 지 8년 만의 일이다. 보다 적극적인 쪽은 중국이다. 한국에 온 중국 지도자들은 ‘구동존이(求同存異·같은 것은 추구하고 이견은 남겨둠)’를 주문하며 조속한 FTA 착수를 요구해 왔다. 이미 중국은 아세안·대만·싱가포르 등 주변국가들과 FTA를 고리로 중화(中華)경제권 구축을 시도한지 오래다. 여기에 미국·유럽연합(EU)과 FTA를 맺은 한국을 끌어들이면 미·유럽시장의 우회 수출을 늘일 수 있다는 게 중국의 계산이다.
상대적으로 신중한 편이던 이명박 대통령도 “이제는 양국이 ‘열린 무역대국’의 길을 가야 한다”며 적극적인 입장으로 돌아섰다. 여기에는 경제적 실익에 더해 두 가지의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우선 한·중FTA가 중국의 일방적인 ‘평양 편들기’에 제동을 걸고, 북한의 무모한 군사도발을 억제할 것이라는 안보적 측면이다. 현 정부로선 한·미FTA와 한·EU FTA에 이어 한·중 FTA까지 체결하면, 세계 3대 시장을 아우르는 ‘경제영토 확장’의 완결판이란 의미를 갖는다.
중국은 G2의 강대국이자 우리의 최대 교역국이다. 수교 이후 20년간 경제적 분업과 보완구조는 양국에 큰 이익을 안겨주었다. 한·중FTA가 발효되면 국내총생산(GDP)을 2.72% 증가시켜, 한·미FTA(0.56%)나 한·EU FTA(1.02%) 효과를 뛰어넘을 것이라는 연구결과도 나와 있다. 따라서 우리가 한·중FTA를 마다할 이유는 없다. 오히려 우리의 미래를 위해서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한·미FTA가 한미동맹을 한층 공고화시킨 것처럼, 한·중FTA는 한반도 안정에 강력한 지렛대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한·중·일 경제공동체로 나아가려면 건너뛸 수 없는 징검다리다.
하지만 한·중 FTA는 가공할 파괴력을 지닌 민감한 사안이다. 중국에서 저가의 상품이 관세 없이 쏟아져 들어오면 농수축산업과 영세 중소기업들은 엄청난 피해를 피할 도리가 없다. 직격탄을 맞는다. 또 중국은 우리가 한발 앞선 금융, 지적재산권, 서비스 분야에는 개발도상국 대우를 요구하며 개방에 난색을 표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한·중 FTA는 충분한 검토와 준비를 거친 뒤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본격적인 협상은 차기 정부에 넘긴다는 각오가 필요하다. 현 정부 임기 내에 마무리 짓는다는 업적주의에 사로잡혀 졸속협상을 벌인다면, 한·미FTA 촛불집회를 능가하는 화(禍)를 남길지 모른다.
당장 한·중 간에 높은 차원의 포괄적인 FTA를 맺는 것은 무리다. 민감성 품목은 개방 예외로 남기거나 개방 유예로 묶어두는, 낮은 차원의 FTA가 대안일 수 있다. 또한 FTA는 단순히 양국 정부간의 협정이 아니다. 오히려 FTA는 대내(對內)협상이 90%, 대외협상이 10%라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우선 피해 계층의 목소리부터 충분히 듣고, 국민적 공감대 형성에 주력해야 한다. 나라의 미래가 걸린 한·중FTA인 만큼 고도의 전략 아래 차근차근 진행해야 함은 두 말 할 나위가 없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