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impunity for Kwak
Published: 19 Jan. 2012, 20:58
Despite our respect for the district court’s decision, we are deeply worried that his case may serve as a precedent for acquiescence in rampant bribery ahead of elections for public offices. Whether it’s well intentioned or ill intentioned, the money spent to persuade a candidate to withdraw from a race or agree to a unified candidacy is an unpardonable crime, according to our laws.
There’s no doubt that the education sector demands much stricter morals and ethical standards than other segments of society. Therefore, we believe it is utterly improper for the head of an elective education office to be allowed to continue to do his jobs until the Supreme Court makes a final ruling on the case. It is different from allowing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who were fined or sentenced to probation to return to their offices after having received the same sentence. The reason becomes clearer when you think about the repercussions that Kwak’s return to office will have on society, even after he was found guilty in the first trial.
Kwak reportedly said to his aides that although Lee Dae-young - the man who is acting Seoul metropolitan education superintendent in Kwak’s absence - asked the Seoul city council to re-examine the ordinance on students’ rights, he would dismiss Lee’s demand and sign the ordinance immediately after returning to office. Kwak can make the excuse that he just wants to put his liberal education policy back on track. Yet the cost of such an abrupt turnaround in education policy must eventually be borne by the students and their parents.
Most teachers are unanimous in their opinion that the controversial ordinance on students’ rights will not help ease the troubling rise in school violence because it emphasizes students’ rights without any mention of their responsibilities. Is it really urgent for the education authorities to pass the ordinance under such circumstances? Kwak must not behave as if he has been cleared of his inexcusable crime.
곽노현 서울시교육감이 어제 서울중앙지법의 벌금형 판결로 120일만에 교육감 직에 복귀하게 됐다. 그는 대법원 확정 판결을 받기 전까지 무죄 추정의 원칙에 따라 직을 수행할 수 있다. 우리는 사법부의 판결을 존중하면서 이번 판결이 공직 선거 과정에서 직을 둘러싸고 빈번하게 벌어져온 후보자들 간 매수 행위를 인정해주는 전례처럼 받아들여지지나 않을까 우려한다. 후보자 사퇴나 단일화의 대가로 돈이 오고 가는 것은 그것이 선의(善意)든 아니든 현행법 상 용인될 수 없는 범죄 행위다. 특히 교육계는 우리 사회 다른 분야보다 더욱 엄격하게 도덕성이란 잣대가 적용되어야 한다는 측면에서 교육감과 같은 교육 선출직이 최종 판결 이전까지 직무를 수행하는 건 부적절하다고 본다. 벌금형이나 집행유예 판결을 받은 지방자치단체장의 업무 복귀하고는 사정이 다르기 때문이다. 곽교육감이 1심에서 유죄를 인정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복귀가 미칠 파장을 생각해 보면 그 이유는 더욱 분명해진다. 그는 측근들을 통해 “이대영 서울교육감 권한대행이 서울시 의회에 학생인권조례에 대한 재의(再議)를 요구했으나 복귀하면 이 요구를 철회하고 즉각 조례를 공포하겠다”고 말했다고 한다. 또 이 권한대행이 3월로 미룬 고교 선택제 수정안도 조속히 결정할 것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교육감 공백 상황에서 권한 대행이 바꿔버린 정책을 이번 기회에 바로 잡는다고 말할 수는 있을 것이다. 아무리 그렇다고 하더라도 넉 달 만에 복귀한 교 육감이 정책의 방향을 바꾸고, 다시 몇 달 지나지 않아 직을 상실한다면 이런 오락가락 정책의 피해는 결국 학생과 학부모들이 질 수 밖에 없다. 학생 인권조례가 학생들의 권리 주장만 강조할 뿐 책임은 방기하게 하는 문제가 있으며, 학교 폭력으로 신음하는 학교 현장에 도움이 안 된다는 게 일선 교사들의 얘기다. 그런데도 서둘러 인권조례를 공포하는 게 급선무인가. 특히 곽교육감은 이번 직무 복귀를 마치 면죄부(免罪符) 받은 양 처신해서는 안 된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