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ing a law to save lives
Published: 17 Feb. 2012, 21:59
The new organs - a liver, pancreas, small intestine, stomach, duodenum, large intestine and spleen donated by a brain-dead patient of around Cho’s age - saved the little girl’s life. The surgery went on for nine hours. The donor family who made the bold decision with their child and the astonishing courage and skills of the Korean surgeons brought a miracle to Eun-seo and her family.
But strictly speaking, the success story should be hushed because the operation itself is against the law. The whitelist of transplantable organs is short - only livers, kidneys, hearts, lungs, small intestines, pancreata, bone marrow and corneas. Three of the organs Eun-seo received - the duodenum, large intestine and spleen - are not legally licensed for transplant. Authorities have restricted the types of transplantable organs to those in greatest demand in medical fields in order to minimize supposed “damage” to the bodies of the dead.
Transplant demand is on the rise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drugs allowing greater match and recipient safety and advanced technology in surgery, storage and delivery. Local surgeons also have built up experience in transplant operations. Worldwide, more organs and tissues have become transplantable.
The law must keep up with the changing time and advancing technologies. We cannot let outdated laws stall the charitable campaign of sharing lives and developing medical technology. As of the end of December 2011, there are 28,399 recipients waiting on the list for organ transplants. The law must assist to deliver donated organs effectively to save as many lives as possible.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s organ transplant steering committee must review expanding their criteria of transplantable organs. Authorities and the National Assembly should then revise the transplant law to lift restrictions in transplants within ethical boundaries. We must hear more of success stories like that of Eun-seo’s.
장기기증은 생명 나눔이다. 희망의 씨앗을 뿌려 인명을 살리는 일이다. 기증자는 아낌없이 주는 나무다. 장 운동이 안 되는 만성 장폐색증후군으로 앓던 7살 조은서 양은 장기기증을 받아 생명을 불씨를 되살렸다. (본지 17일자 1·2면 보도) 은서는 뇌종양을 앓다가 뇌사상태에 빠진 6살 여자아이의 간·췌장·소장·위·십이지장·대장·비장 등 7개 장기를 이식받아 건강을 되찾고 있다. 기증자 가족의 결단과 한국 의료진의 의료기술이 어우러져 탄생한 ‘은서의 기적’이다. 문제는 이 수술이 엄밀히 따지면 법에 어긋난다는 점이다. 현행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장기이식법)은 이식 가능한 장기를 간·신장·심장·폐·소장·췌도·골수·각막 등 9개로 제한하고 있다. 은서가 이식받은 7개 장기 중 위·십이지장·대장·비장 등은 법적인 이식대상이 아니다. 뇌사자의 사체 훼손을 되도록 줄이기 위해 대상 장기를 별도로 지정하면서 의료현장에서 실제로 이식이 많이 이뤄지던 장기를 중심으로 선정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식장기에 대한 거부반응을 막아줘 장기이식을 가능하게 해주는 면역억제제가 하루가 다르게 발달하고 있고 장기 적출과 보관, 운반과 이식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의료진의 이식 관련 경험도 빠르게 축적되는 중이다. 이에 따라 새롭게 이식이 가능해진 장기·조직이 전 세계적으로 늘고 있다. 외국에선 얼굴과 손, 양다리까지 이식되고 있다. 이렇게 발달한 의료 기술에 맞춰 법률이 따라가야 한다. 장기이식법이 제대로 준비가 안 돼 생명나눔과 의학발전을 막아선 곤란하다. 2011년 12월 말 기준 2만8399명이 장기이식을 기다리고 있다. 대상이 아닌 장기의 이식이 필요한 사람이 얼마나 되는지는 정확한 자료조차 없다. 기증자의 장기를 가장 효과적으로, 가장 많은 사람의 목숨을 살리는 데 활용할 수 있도록 법이 도와야 한다. 보건복지부도 장기이식운영위원회 열어 이식가능 장기 확대 여부를 검토해야 한다. 아울러 보건당국과 국회는 생명윤리가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 제한 없이 장기 이식이 가능하도록 장기이식법을 신속히 개정해야 한다. 법이 진화해 은서의 기적이 계속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