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rregular solution

Home > Opinion > Editorials

print dictionary print

An irregular solution

The Supreme Court reaffirmed a lower court ruling recognizing a contractual worker as a regular employee of Hyundai Motor Co. The court concluded that if an employee of a company under a supply contract has been dispatched to work on the production line of Hyundai Motor for more than two years under the order of Hyundai Motor staff, he or she should be considered one of the automaker’s workforce.

The repercussions from the ruling won’t be small. All irregular workers, including those under similar work conditions as the petitioner, will want to fight for the same recognition. Irregular workers total 6 million and many of them in the manufacturing sector work under subcontractor contracts.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5 percent of the surveyed workforce are hired by subcontractors. They could all go to court and file for changes in their status. Pay and working conditions of large manufacturers are incomparably better than those of their subcontractors. They may not all win in court. Some would lose depending on their work terms and records. But the ruling could bring sweeping changes in the labor field. First of all, irregular workers would demand to be on the permanent payroll. The dispute will likely create a storm in society as well as in politics.

The problem of irregular workers is serious in our society. These workers get just 60 percent of the pay their permanent colleagues earn and the number of them is rising rapidly. The worsening polarization in incomes is largely due to the growth in irregular jobs. Politicians won’t be able to ignore the laborers demanding changes in status. But companies cannot be entirely blamed for preferring employees on nonpermanent terms. The cost of firing in our country is expensive, about triple the average of the member countries of the Organization of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Companies cannot maintain all of their labor on permanent payrolls because it is not easy to fire employees or shift jobs in our country. That is why they prefer irregular workers or hire experienced workers at supplier companies.

If companies are forced to hire employees on a permanent basis, they will only end up losing competitiveness. They will be tempted to move their manufacturing overseas in search of cheaper labor and jobs will shrink at home. Neither competitiveness nor the deepening wealth gap can be ignored. We must all put our heads together to come up with a solution.


어제 대법원은 현대차 부당해고 소송 재판에서 원고 손을 들어줬다. 현대차와 하도급 계약을 체결한 업체의 근로자가 현대차에 파견돼 2년 이상 현대차 직원의 지시를 받으면서 일했다면 실제 사용자는 현대차라는 판결이었다.
그 파장은 상당할 것이다. 당장 비정규직 근로자, 특히 이 근로자와 같은 처지인 사내하도급 근로자들이 큰 영향을 받게 된다. 비정규직 근로자는 600만명이다. 사내 하도급 근로자도 상당수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조사 대상 사업장 전체 근로자의 25%에 이른다. 이들이 정규직으로 인정받기 위해 대거 법원에 제소할 게 분명하다. 원청업체의 보수와 근무 여건이 하도급업체와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좋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이들이 다 승소하진 않을 것이다. 각자의 근로조건에 따라 패소하는 근로자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노동 현장에 미치는 파장은 즉각적이고, 대단할 수밖에 없다.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정규직 전환을 요구하는 계기가 만들어진 것이다. 비정규직 문제를 둘러싼 사회적, 정치적 논란도 거세질 게 분명하다.
우리 사회에서 비정규직 근로자 문제는 심각하다. 임금이 정규직의 60% 정도밖에 되지 않는데다 숫자가 급증하고 있다. 우리 사회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데는 비정규직 요인이 크다. 정규직으로 전환해달라는 노동계의 요구를 무시할 수 없는 이유다. 그렇다고 비정규직을 늘리는 기업을 일방적으로 비난하기도 어렵다. 그럴 만한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단적으로 우리나라의 해고비용은 대단히 높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회원국 평균의 세 배에 이른다. 고용 경직성이 높고 노동 유연성이 낮기 때문에 기업들은 정규직 근로자를 쓰기가 어렵다. 비정규직 근로자를 늘리고, 하도급 근로자를 쓰는 이유다.
이런 현실을 도외시하고 기업에 정규직화만 요구한다면 경쟁력의 약화로 이어질 것이다. 기업들은 생산시설을 해외로 옮기고, 국내 일자리는 줄일 것이다. 그러니 딜레마다. 양극화의 심화와 경쟁력의 약화, 그 어느 것도 도외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북유럽식 대타협까진 아니더라도 노사가 머리를 맞대고 같이 푸는 수밖에 없다. 판결 이후 우리 사회가 해야 할 일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