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en a child adopts a parent’s worry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When a child adopts a parent’s worry


Lately, I’ve become a fan of Yang Sang-guk, who plays the “Countryman” on KBS 2’s “Gag Concert.” He always begins his dialogue with, “Yes, I am a countryman from the countryside.” In one episode, he went to a cafe with his girlfriend, and she asked, “You’re from the country, so you’d like barley tea, right?” To which he replied, “I’m having an Americano. What, do you think all country kids grow up eating tree roots?” Yang got all upset and said, “Don’t look down on people from the country. I played computer games growing up!” I was watching the show with my son and had to tell him that I actually did eat tree roots growing up.

The Americano wasn’t the only thing we didn’t have. Though kindergartens were common in Seoul back then, the rural village where I grew up only had two. A friend of mine from a humble family told me about when he went for an interview at a kindergarten. To their disappointment, he didn’t get in. The interview must have been a way to eliminate children from affluent families. The principal had shown my friend a series of pictures and asked him if he knew what they were. He correctly identified a piano and a telephone because he had seen them at a rich neighbor’s house. When he was shown a picture of a heater with a stovepipe, he had no idea what it was. He said, “It looks like my grandfather’s tobacco pipe.”

Preschools and nurseries were also unfamiliar institutions back then. Most children from the previous generation literally had to grow up by themselves. Poet Ki Hyung-do, a former JoongAng Ilbo reporter who passed away 23 years ago, was one of them. In an excerpt from “Worrying about Mom,” he wrote: “With 30 bunches of radishes, my mom went to the market. She is still not home, though the sun went down so long ago. I am left alone in the room, doing my homework as slowly as I can. But my mom is still not home. Waiting for her footsteps, as light as cabbage leaves, I am alone and scared in the dark.” Though he named the poem “Worrying about Mom,” it should have been “Worrying about the Child.”

These days, working parents still worry about their children, but until now, they’ve been able to rely on day care. The mass closure of day care centers on Monday has caused a crisis among parents. But the children likely have no idea what is going on. I wonder how much they worry about their mothers and fathers, who have left them to sell their radishes.

by Noh Jae-hyun

*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그래, 내 촌에서 온 촌놈입니더”로 시작하는 양상국의 ‘촌놈 개그’를 재밌게 보고 있다. KBS 2TV ‘개그콘서트’의 ‘네가지’ 코너 얘기다. 아는 여동생과 차를 마시러 갔는데 “오빠는 (시골 출신이라) 미숫가루 먹을 거지?”라고 한다. “아메리카노! 촌에 사는 아들은 산에서 칡 캐서 칡뿌리 우려먹을 거 같애?”라고 양상국이 반발한다. “오빠. 시골에서 왔으면 강에서 물고기 잡고 놀았겠네?”라고 하면 “무시하지 마! 나도 PC방에서 마우스 잡고 놀았어”라며 얼굴을 붉힌다. 군에서 갓 제대한 아들과 함께 TV를 보다가 “아빠는 어릴 때 정말로 물고기 잡고 칡뿌리 캐먹었다”고 고백하니 낄낄 웃는다.
아메리카노만 없었던 게 아니다. 그나마 서울엔 많다던 유치원이 내가 살던 고장엔 두 군데밖에 없었다. 거의가 유치원 갈 엄두를 못 냈다. 한 친구는 형편이 좋지 않은데도 부모님 열성에 밀려 유치원 면접시험을 쳤다가 고배를 마셨다. 원장님이 그림판을 보여주면서 무엇인지 알아맞히라고 했단다. 피아노 그림. 동네 여유 있는 집에서 본 기억이 나 제대로 답했다. 전화기. 같은 이유로 정답을 맞혔다. 연통이 달린 난로. 도저히 무슨 물건인지 알 길이 없어 “할아버지 곰방대”라고 했다가 결국 떨어졌다고 했다. 아마 가정사정을 알아보는 면접이었던 듯하다.
유치원이 그랬으니 그 이전 단계인 유아원, 어린이집은 꿈꾸지도 않았다. 한 세대 전 어린이들 대부분은 그야말로 ‘알아서 크는’ 수밖에 없었다. 며칠 뒤 작고 23주기를 맞는 기형도 시인(1960~1989)도 그랬다. ‘열무 삼십 단을 이고 / 시장에 간 우리 엄마 / 안 오시네, 해는 시든 지 오래 / 나는 찬밥처럼 방에 담겨 / 아무리 천천히 숙제를 해도 / 엄마 안 오시네, 배추잎 같은 발소리 타박타박 / 안 들리네. 어둡고 무서워…(기형도 ‘엄마 걱정’ 부분).
‘엄마가 섬그늘에 굴 따러 가면 아기가 혼자 남아 집을 보다가’로 시작하는 동요 ‘섬집아기’는 또 어떤가. 기형도는 시 제목을 ‘엄마 걱정’이라 붙였지만 걱정의 정도를 따지자면 ‘아이 걱정’이라 해야 옳을 것이다. 섬집아기의 엄마도 2절에서는 다 못찬 굴바구니 머리에 이고 조바심치며 모랫길을 달려오지 않았던가. 시인의 감수성이 싹텄느니 자연친화적이니 하는 해석은 실제로 육아에 맞닥뜨려 보면 꿈보다 좋은 해몽일 뿐이다. 아이들 안전을 위해 방문 잠그고 일 나간 맞벌이 부부가 화재로 자녀를 잃고 피눈물 흘리는 안타까운 뉴스가 아직은 먼 나라 일이 아니다. 집단 휴원으로 인한 ‘어린이집 대란’ 소동이 내일이 고비라 한다. 어른들 드잡이가 치열해도 아이들은 영문을 모른다. 굴 따러, 열무 팔러 나간 엄마 입장을 얼마나 생각들 하는지 궁금하다.
노재현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