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ets stake their claim to Ieodo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Poets stake their claim to Ieodo

Poet Ko Un was a Buddhist monk, but in 1962, he chose to end his monastic life of over 10 years and return to the secular world at age 30. The following year, he went to Jeju Island and stayed there for three years. On the boat to the island, he planned to throw himself in the ocean if he got drunk, but he gave up the suicide plan because he couldn’t get drunk no matter how much he drank. He remained suicidal and went out to sea on a small boat. “No one ever went to Ieodo. They say someone went, though, went and never came back. Oh it’s there, for sure, it’s there. Oh no, only waves. Nothing but overpowering waves.” His most celebrated poem “Ieodo” wouldn’t have been written without this torment and despair.

Novelist Lee Cheong-jun praised Ko Un in his novella “Ieodo.” Yang Ju-ho, the editor in chief of a local newspaper in the story, praises the work. “This is a poem titled ‘Ieodo.’ It is a wonderful poem. I am completely enchanted by the author. This poet must be someone who had been to the island and came back. This man surely knows about Ieodo. Someone who’s never been there couldn’t have written such a moving poem.”

According to Cho Sung-yoon, a sociology professor at Jeju National University, the first novel about Ieodo was Kim Jeong-han’s “Weolgwanghan,” published in 1940. In 1944, Lee Si-hyung, a teacher at Jeju Agricultural School, published “Iyodo” in Japanese, and Choung Han-sook wrote “Iyeudo” in 1960. Poems include Lee Yong-sang’s “Young Woman of Ieodo.” However, Lee Cheong-jun’s “Ieodo” made the most crucial contribution to the mystic image of the island. China claims that Ieodo is “Suyan Rock,” based on some ambiguous phrase in “Shan Hai Jing.” The grounds for China’s territorial claim cannot be compared to Korea’s claim in terms of quantity. Heo Nam-choon, a Jeju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said that Ieodo has established its existence solidly in Koreans’ consciousness through the research by modern institutes, such as the Society of Ieodo Research, and constantly produced art and literary works in addition to the old legends, myths and folk songs.

The territorial boundary cannot be defended just by international laws. Which side would people from a third country think more valid, a single, ambiguous phrase in “Shan Hai Jing” or aggregation of Korean culture over an extended period of time? I am thankful that the writers and poets have written so much about Ieodo.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Noh Jae-hyun


일초(一超)라는 법명의 스님이었던 고은 시인은 1962년 10여 년의 절집 생활을 청산하고 환속했다. 갓 서른 나이. 이듬해 제주도로 건너가 3년간 체류했다. 제주도로 가는 선상에서 취기를 빌어 바다에 뛰어내리려 했지만 아무리 마셔도 취하지 않아 포기했다(고은과 함께 술 마시던 문인들은 죄다 먼저 저세상에 갔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주량이 엄청나다). 허무주의에 빠져 있던 시절이었다. 제주에서도 자살할 마음을 품고 돌과 밧줄을 실은 조각배를 타고 술 취해 바다를 떠다니기도 했다. '…아무도 간 일이 없다 / 그러나 누군가가 갔다 / 가서 돌아오지 않을 뿐 / 저기 있다 / 저기 있다 / 아니다. 파도뿐이다. 숨막히는 파도 뿐이다'라고 노래한 그의 시 '이어도'는 이런 체험 없이는 탄생하지 못했을 것이다.
고은보다 여섯 살 연하인 작가 이청준(1939~2008)은 자신의 중편소설 '이어도'에 등장하는 제주 지역신문 편집국장 양주호의 입을 빌어 고은을 극찬한다. "이어도라는 시예요. 정말 굉장한 시입니다. 나 이 작자한테 완전히 반했습니다. 고 아무개 이 작자 아마 이 섬에서 나간 친구가 틀림없어요. 이어도를 알고 있는 친구란 말입니다. 이어도를 모르는 자의 가슴을 이렇게도 울릴 수가 없어요."
제주대 조성윤 교수(사회학)에 따르면 이어도를 소재로 한 소설 중 가장 먼저 나온 것은 김정한의 '월광한'(1940년)이다. 1944년에는 제주농업학교 교사 이시형이 일본어 소설 'イヨ島(이요도)'를 발표했고, 정한숙도 1960년 'IYEU도'를 내놓았다. '이어도 처녀'(이용상) 등 시 작품도 다수다. 그러나 이어도를 널리 알리고 이미지 형성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친 것은 역시 이청준의 '이어도'다. 중국은 고작 『산해경(山海經)』의 의미조차 분명하지도 않은 구절을 따와 이어도를 '쑤엔자오(蘇巖礁)'라고 우긴다. 콘텐트의 질과 양 측면에서 우리와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 허남춘 교수(제주대•국문학)는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신화•전설•민요에 더해 '이어도 연구회' 같은 현대 학술단체의 연구 성과, 끊임없이 생산되는 예술작품들을 통해 이어도는 우리 의식 속에 튼튼하게 자리잡았다"고 지적한다.
우리 강역은 무기와 국제법 만으로 지킬 수 있는 게 아니다. 제3국 사람들이 보기에 『산해경』의 빈약한 한 구절과 오랜 시간에 걸친 우리의 문화적 축적물 중 어느쪽 손을 들어주고 싶을까. 이어도를 노래한 소설가•시인들이 새삼 고맙기만 하다.
노재현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