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ssessing the pension system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Reassessing the pension system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is the last resort for people preparing for their senior years. But a recent study predicts that the fund will be depleted by 2049, a whopping 11 years before 2060, when it was originally expected to dry up. If the study proves correct, a person who is now 20 years old will have no pension by age 57.
That rings a sharp alarm bell for the health of our pension system, which is gaining popularity among ordinary citizens as an effective way to prepare for their golden years. The problem will not only force our young generation to be skeptical about what happens to their taxes, but could also lead to the collapse of our social safety net.
According to the study by Park Yoo-sung, a Korea University professor of statistics, there is a critical statistical error in earlier studies that said the national pension fund would be exhausted by 2060, as the government has switched the system from the idea of “pay more, receive more” to one of “pay less, receive less” after hot debates among experts. Park attributes the statistical flaw to an overestimation of birth and mortality rates — two crucial factors in estimating how quickly the pension fund will be depleted — and an excessive underestimation of the number of people who would receive pensions at an early age. Simply put, the fiscal health of the pension system was overblown, Park argues. If his analysis is proven correct, the pension fund will dry up much earlier than expected.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has refuted Park’s argument, saying that his analysis, too, is flawed so there is virtually no possibility that his prediction will hold true. Yet citizens can hardly put their anxieties aside. The government must determine if there were any errors in estimates of the original depletion date. Problems can only be corrected when all the facts are delivered transparently.
Luckily, the government is slated to review the fiscal soundness of the pension system next year. We hope that both the government and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will approach the issue accurately by taking all possibilities for error into account. The government must make the results of its calculation public and begin to reform the existing pension system if its previous estimates are proven wrong.
If the administration attempts to cover up any of the potential loopholes in the system, the problems will not disappear. Without the people’s trust, our national pension system will have no place to go.



국민들이 노후대비에 최후의 보루로 여기고 있는 국민연금의 고갈 시기가 당초 알려진 2060년이 아니라 그보다 11년 앞선 2049년이 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 연구대로라면 지금 20세인 청년이 57세가 되는 시점부터 더 이상 받을 연금이 없어진다는 얘기다. 이는 요즘 유력한 노후대비책으로 한창 인기를 끌고 있는 국민연금의 신뢰성에 심각한 우려를 자아낸다. 젊은이들의 연금 기피를 불러오는 것은 물론, 자칫하면 의무가입을 전제로 한 국민연금 시스템 자체의 존속을 어렵게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고려대 박유성 교수(통계학)의 연구에 따르면 지난 2007년 논란 끝에 ‘적게 내고 덜 받는 방식’으로 연금제도를 개편하면서 ‘연금 고갈시기가 2047년에서 2060년으로 늦춰졌다’는 분석에는 치명적인 통계상의 오류가 있다고 한다. 연금 고갈시기의 추정에 기초가 되는 사망률과 출산율을 너무 높게 잡은데다 조기노령연금 수령자는 지나치게 적게 잡았다. 연금재정의 건전성이 낙관적으로 부풀려졌다는 것이다. 만일 이것이 사실이라면 실제 연금재정은 예상보다 훨씬 일찍 바닥을 드러낼 수 밖에 없다. 국민연금공단 측은 “박교수의 분석에도 오류가 있다”며 “연금 고갈시기가 앞당겨지는 일이 벌어질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반박했다. 그러나 불안이 가시지는 않는다. 국민연금 재정이 워낙 민감하고 중요한 문제며, 우려의 목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계산에 조금이라도 오류나 부실의 소지가 있다면 큰 충격을 줄 수 있는 만큼 철저하게 다시 검증해 봐야 한다. 명백하게 연금재정의 실상이 공개되어야 문제를 바로잡을 수 있다. 마침 내년은 5년마다 하는 연금재정 재계산의 해다. 정부와 연금공단은 차제에 박교수의 지적을 포함한 모든 오류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연금재정 추계를 엄밀하게 다시 하기 바란다. 여기에서 나온 결과를 투명하게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필요하다면 국민들을 설득해 새로운 연금 개혁에 나서야 한다. 덮는다고 문제가 사라지지 않는다. 국민의 신뢰가 무너진 국민연금제도는 설 땅이 없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