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w fares are no solution
Published: 17 Apr. 2012, 19:54
In order to minimize the losses, the central or local governments will have to raise subway and road toll fees. But they cannot raise fares in fear of sparking inflationary pressure and public protests. The Seoul Metro subway line No. 9, which was constructed and is run by a private company, is in hot water for its surprising announcement that it will raise fares.
The operator of the subway line No. 9, which passes through Gimpo Airport and Yeouido, plans to hike fares by 500 won from the current 1,050 won, a decision that the Seoul Metropolitan City government vehemently opposes. They will probably end up bargaining for a smaller hike as we have seen in similar cases involving private operators. But the dispute over business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 companies will most likely continue to cause problems down the road.
Under the agreement signed with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 2005, which authorizes the private operator to set the prices, the company does nothing wrong in raising the fares. As it turns out, the company’s losses have piled up to 182 billion won because it could not raise fares due to the city government’s pressure to keep them low. A fare hike seems inevitable, but the city’s dilemma is also understandable. If it allows private subway operators to increase fares, consumer prices will go up accordingly and passengers could strongly protest.
But the city also cannot suppress the fares forever. According to the contract, the city administration must compensate for any losses from the operation and guarantees up to 90 percent of the private operator’s estimated income. The city has to remunerate it for its losses and those funds ultimately have to come from the taxpayers.
Seoul City must choose between a fare hike or a tax bailout. The city administrators can complain that the contracts with private companies were all pushed by the Kim Dae-jung and Roh Moo-hyun administrations and signed by then-Seoul Mayor Lee Myung-bak. However, what’s done is done. What is important now is addressing the problem with the best possible solution and it would be better to raise fares instead of using tax funds.
지하철 요금, 인상 억제만이 능사 아니다 민간자본으로 도로나 철도 등을 건설하는 민자사업이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손실이 나도 민간업체에 수익을 보전해줘야 하기에 그간 투입된 정부 돈만도 무려 2조원이 넘는다. 이 돈을 줄이려면 지하철 운임과 도로 통행료를 올려줘야 하는데, 인플레이션과 국민 반발이 부담이다. 정부나 지자체로선 딜레마가 아닐 수 없다. 이번에 문제가 된 서울시 지하철 9호선의 요금 인상 파장이 딱 그 사례다. 9호선은 민간업체가 건설·운영하는 민자 지하철이다. 이 회사가 요금을 1050원에서 500원 인상하겠다고 밝히자 서울시는 인상 불허로 맞섰다. 물론 양측의 힘겨루기는 요금 인상을 일부 허용하는 선에서 타협을 볼 것이다. 다른 민자사업도 대부분 그렇게 해결했다. 하지만 이렇게 해결된다고 해도 이는 미봉책에 불과하다. 요금을 둘러싼 양측의 갈등은 끊임없이 계속될 것이다. 2005년 서울시와 맺은 협약에 따르면 민간업체의 주장에 틀린 건 별로 없다. 운임을 결정할 권리는 민간업체에 있다. 또 서울시 요구대로 요금을 억제한 결과 민간업체의 누적적자가 1820억원이나 된다. 이게 사실이라면 요금 인상은 불가피하다. 정작 딱하게 된 건 서울시다. 요금을 올려주면 물가가 걱정되고, 지하철이 서민의 발이란 점도 걸린다. 그렇다고 마냥 요금을 억제할 처지도 못 된다. 협약에 따르면 서울시는 민간업체의 손실 보전은 물론 예상 수익금의 90%를 최소한 보장하도록 돼있다. 서울시 재정에서 그만한 돈이 나가야 한다는 얘기인데, 물론 이 돈은 국민 세금이다. 서울시는 요금 인상과 세금 투입의 기로에 서있는 셈이다. 지금의 서울시 입장에선 억울할 수 있다. 잘못은 민자사업을 활성화한 김대중·노무현 정부와 협약을 맺은 이명박 당시 서울시장에게 있다. 하지만 누가 잘못했든 쓰레기는 치워야 한다. 그렇다면 첫 단추를 끼워야 하는 서울시로선 원칙에 따라 쓰레기를 치우는 게 가장 중요하다. 세금 투입보다 수익자 부담 원칙에 따라 요금 인상을 긍정적으로 검토하는 게 옳다고 보는 이유다. 요금 인상 억제만이 능사가 아니란 얘기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