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udent approach to mad cow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Prudent approach to mad cow

A dairy cow in the state of California has been confirmed as the United States’ fourth domestic case of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BSE) - commonly known as mad cow disease - since it hit the country six years ago. Korea imported 563,013 tons of U.S. beef last year and Koreans have vivid memories of the massive candlelight protests in 2008 against importing of U.S. beef.

But it is too early to tell if the lethal disease has been found in U.S. beef imports. Korea restricts U.S. beef imports to cattle younger than 30 months old as older animals are at higher risk of having the disease - and to cattle whose specified risk material (SRM) is removed. In general, it takes a long time before the World Organization for Animal Health (OIE) officially notifies a country of the existence of the disease in cattle as the government needs to conduct an epidemiologic investigation before the OIE makes a final judgment. It is also difficult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take unilateral action to suspend beef imports because of its obligation to respect the agreed hygiene conditions.

Yet, we should take into account our deep psychological trauma from the massive protest in 2008. A year later, the government established guidelines for dealing with a breakout of the disease. According to them, the quarantine authorities immediately stop inspections on beef imports from a suspicious country and then decide whether to impose restrictions on beef imports after experts’ assessment of the risk.

However, the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appears to be fueling people’s anxiety by announcing that it will reach a final decision after collecting more information on the disease. The authorities must quickly stop quarantining U.S. beef. Under any circumstances, the government must prioritize the safety of its people ahead of anything to receive their trust.

Korea has yet to conclude renegotiations to fix the clause on settling investor-state disputes between both sides. After the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went into force earlier this year, the United States has been building pressure on us by demanding that Korea buy the beef of U.S. cattle older than 30 months old. We should deal with the issue prudently. The government should delay a negotiation on when to expand U.S. beef imports, not to mention a negotiation on ISD clauses. It must also thwart radical civic groups’ attempt to take advantage of the disease breakout in the U.S. It is time for both countries to cope with it wisely.


미국 캘리포니아주(州)의 젖소 한 마리에서 소 해면상뇌증(BSE)이 확인됐다. 이른바 ‘광우병’으로 알려진 BSE가 6년만에 다시 발생한 것이다. 한국은 지난해 미국산 쇠고기 56만3013t을 수입했다. 2008년 봄의 광우병 촛불시위 기억도 생생하게 남아 있다. 물론 아직은 광우병 발생 보도만 나온 상태다. 또 우리는 30개월령 미만과 특정위험물질(SRM) 부위가 제거된 쇠고기만 들여오는 만큼 차분히 지켜볼 단계다. 일반적으로 광우병은 현지 역학조사와 세계동물보건기구(OIE)의 판정을 거쳐 우리에게 공식 통보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 또한 쇠고기 교역은 양국간의 ‘쇠고기 수입 위생조건’에 따라야 하는 만큼 우리가 일방적으로 수입중단 조치를 내리기는 어렵다.
하지만 광우병 트라우마(정신적 외상)가 깊은 우리 사회의 특수성도 감안해야 한다. 우리는 광우병 파동 직후인 2009년에 만든 ‘광우병 발생 시 처리요령 고시’를 갖고 있다. 광우병이 발생하면 일단 해당국 쇠고기의 검역(檢疫)을 중단하고, 전문가들의 위험 평가와 의견을 들은 뒤 수입 제한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완전 수입 중단은 아닐지라도 사실상 통관을 못하도록 막는 것이다. 하지만 농림수산식품부는 “미 광우병의 정보를 더 수집한 후 판단하기로 했다”며 망설여 우리 사회의 불안심리를 증폭시키는 모습이다. 우리 측 고시(告示)에 따라 시급히 검역을 중단시켜야 한다고 본다. 어떤 경우에도 자국민의 안전을 최우선하는 모습을 보여야 신뢰를 얻는다.
우리는 한·미자유무역협정(FTA)의 투자자 국가소송제도(ISD) 분야의 재협상을 앞두고 있다. 미국은 한·미FTA 발효 직후부터 “30개월령 이상의 쇠고기도 수입하라”며 압박하는 움직임을 보여 왔다. 광우병이 이런 미묘한 시기에 발생한 만큼 신중한 대처가 필요하다. ISD 재협상과 미국산 쇠고기 수입확대 협상의 시기를 늦추거나 속도도 조절해야 할 것이다. 국내에서 제2의 촛불사태로 이용하려는 움직임도 차단해야 할 것이다. 어느 때보다 한·미 양국이 지혜롭게 대처해야 할 때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