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 nature, migrants are innately resilient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Like nature, migrants are innately resilient

In the early spring of 1994, residents of apartments in Gayang-dong, western Seoul, complained that they couldn’t keep their windows open because Nanjido, an island on the other side of the Han River, was being used as a dump. But much has changed since then.

Nearly 20 years later, I visited Nanjido and could not find a trace of the dump. There, the Migrant Health Association of Korea hosted the 10th Rainbow Festival for the Friends of Hope, an event that attracts people of many cultures. A colleague said the festival would be a great chance to have fun and do community service.

At the festival, about 500 children of all colors and appearances were playing in the park, and their parents enjoyed time spent leisurely under the tent. My son volunteered for the event, and I went around to meet the special people who organized it.

Lee Wang-jun, chairman of Myongji Hospital at Kwando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is the founder and current vice president of the association. He has been providing medical services to migrants since the mid 1990s. Now he is a man of wealth and success, but his philosophy and attitude remain unchanged.

“Offering money is the easiest, and offering physical help is in the middle. The hardest is offering mental support,” he told me. Yet he has been providing financial, physical and mental support to people in need for 20 years.

Hyundai Motor has also been helping out by providing 250 million won ($219,750) to 270 million won every year to the project for nine years. The health association’s current director, Kim Jeong-wu, said that many lives have been saved thanks to the constant support of Hyundai Motor.

Eighteen years ago, the stench of Nanjido wafted across the river on a daily basis. But thanks to the amazing natural resilience of the ecosystem, Nanjido has been reborn as a park. The makeover was supported by the government’s continued endeavors to improve the city’s shabby ecology over the past decade.

In much the same way, the first multicultural immigrants began coming to Korea about 20 years ago. Today, the second generation of migrants is growing up in Korea. Just like the ecosystem, with proper support and assistance, they are becoming another blessing that enriches Korean society with their innate natural resilience. Constant efforts to improve and grow stronger will certainly pay off.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Lee Na-ree


1994년 초여름 쯤 가양동 아파트 주민들은 창문을 열어놓기 힘들다고 불평했다. 강 건너 난지도가 쓰레기 매립지로 쓰였기 때문이다.
그 후 어름 20년이 다 돼서야 다시 가본 난지도엔 옛 쓰레기장의 흔적은 눈 씻고 봐도 없었다. 그곳에선 사단법인 한국이주민건강협회(건강협)의 ‘제10회 희망의 친구들 무지개 축제’가 막 시작된 참이었다. 여기 온 건 모 선배 때문이었다. “실제 다문화 가정 아이들 왕창 본 적 있어?” 서울 특정 지역에서만 꼼지락거리며 사는 내가 어디서, 그것도 ‘왕창’ 그 친구들을 보겠나. 선배는 마침 이런저런 행사가 있으니 놀 겸 봉사도 할 겸 한 번 가보라 했다.
정말 생김도 피부색도 다른 아이들 400~500명이 신나게 뛰놀고 있었다. 부모들은 차양 아래서 느긋한 시간을 즐겼다. 봉사활동은 아들에게 맡기고 사람들을 만나러 갔다. 이 행사를, 빛 안 나는 이주민 건강 지킴이 활동을 지속 가능하게 해 준 특별한 사람들이다.
이왕준 관동의대 명지병원 원장은 건강협의 산파이자 현 부회장이다. 레지던트 시절이던 90년대 중반부터 조직적인 이주민 의료지원 활동을 펴왔다. 그 새 대형병원을 4개나 운영하는 ‘부자’가 됐지만 생각과 태도엔 변함이 없다.
그는 “돈 보시가 가장 쉽고 몸 쓰는 게 그 다음, 정신적 보시가 가장 어렵다”고 했다. 이 3보시를 20년째 이어오고 있는 셈이다. 행사와 단체 운영의 최대 ‘물주’는 현대기아차그룹이다. 생색 안 나는 일에 매년 2억5000만~2억7000만원을 무려 9년째 지원하고 있다.
기업 입장에선 후원처를 자주 바꾸는 게 생색 내기 좋다. 건강협의 김정우 실장은 “현대차가 그런 유혹을 떨치고 뚝심 있는 지원을 해 준 덕분에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18년 전 강 건너편까지 악취를 날리던 난지도가 오늘의 모습을 갖추게 된 건 놀라운 생태복원력 덕분이라고 한다. 이를 뒷받침한 것이 10여 년 간 계속된 정부와 서울시의 생태 재건 노력이었다.
국내에 다국적 이주민이 본격 유입되기 시작한 지 벌써 20년이다. 1.5세대를 지나 2세대가 등장하고 있다. 적절한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이들 역시 타고난 생명력으로 우리 사회를 한층 풍요롭게 하는 축복이 될 것이다. 결국 중요한 건 지속적인, 심지 굳은 노력이다.
이나리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