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y heed to allies’ voices, too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Pay heed to allies’ voices, too

The Unified Progressive Party is a divided house over the massive primary rigging scandal. The Gyeonggi Dongbu Alliance, led by co-Chairperson Lee Jung-hee, is refusing to step down for disgracing the party and the liberal camp, drawing fierce protest from other factions.

The party’s mainstreamers claim that the findings by an internal investigation on the vote rigging committed during the March primary to elect candidates for proportional representatives was a conspiracy against them. They denied any wrongdoings and argued that they were being victimized by the conservative media - and for political purposes. Their self-serving justification was employed against their critical colleagues as well. They attacked the investigation committee as a “spy group feigning as comrades.” Lee insisted that the report was false.

The faction is further alienating itself by resorting to self-denial. Even the supporters of the liberal forces are joining the chorus of criticism. Joo Dae-hwan, co-head of the Social Democracy Network who served as an executive member of the Democratic Labor Party, said that the UPP’s mainstream faction is preoccupied with a “black-and-white theory. They believe that they are justified to do anything.”

Sonn Ho-chul, a liberal-leaning professor of Sogang University, said in an article that the more the group resists the internal probe’s report, the more it underscores its immorality. Labor activists are equally disapproving. Kim Jin-sook, the heroine of the crane-top protest against layoffs on Hanjin shipyard, pointed out that the people in the labor movement are restless and weary due to the fight within the liberal party.

Election irregularities committed by a liberal party are nothing new. They have just been hushed and covered up by their ideological justification. But the UPP is now the third-largest party in the National Assembly and no longer remains on the periphery of politics. The irregularities were committed to select proportional representatives to serve the people, not the party.

Therefore, the problems are not limited to the party and the small liberal community, but concern the entire country’s political dynamics. The debate is not a political one between liberals and conservatives, but a censure against irrationality and anti-democratic actions. The party’s main faction should shake off its old habits from underground days. The world has changed. It must pay heed to the critical voices of its friends as well as foes.




통합진보당의 부정경선이 점입가경(漸入佳境)이다. 진상이 드러났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외면하려는 진보당 당권파들을 비난하는 목소리가 진보세력 내에서도 높아지고 있다. 그래도 당권파는 요지부동이다.
조사위원회의 발표 이후 진보당 당권파들은 본지를 비롯한 주요 언론들의 비판에 대해 “음모”니 “낙인”이니 하며 적대감을 드러냈다. 부정경선 사실 자체를 부인하면서 진영논리를 앞세웠다. 진보세력에 대한 보수 언론의 몰아가기, 정치적 탄압이란 식이었다. 이런 논리는 진보당 내부 비(非) 당권파 세력에 대한 공격에도 그대로 적용됐다. 조사위원회를 향해 “동지로 위장한 세작(간첩)”이라고 비난했다. 당권파 이정희 대표는 7일 조사보고서 자체를 “무고”라고 주장했다.
이런 당권파의 독선(獨善)은 시간이 흐를수록 스스로를 고립시키고 있다. 진보세력을 지지해왔던 사람들마저 속속 비판에 나서고 있다. 진보당의 전신인 민노당 창당에 참여했던 주대환 사회민주주의연대 공동대표는 “당권파의 사고방식은 흑백논리다. 자신들은 선하니 무엇을 해도 괜찮다는 생각이 깔려 있다”고 말했다. 진보학자 손호철 서강대 교수도 프레시안에 기고한 글에서 “조사 결과에 승복하지 않고 저항할수록 자신들이 얼마나 부도덕한 집단인가를 만천하게 드러내는 결과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진보의 기반인 노동운동계마저 비판적이다. 한진중공업 고공농성의 주인공 김진숙(민노총 지도위원)씨마저 “현장활동가 어깨가 바닥까지 처져있다”고 하소연했다.
진보당의 선거부정은 사실 새로운 일이 아니다. 지금까지 진보세력 내부의 진영논리에 묻혀 드러나지 않았을 뿐이다. 그러나 이번은 다르다. 진보당은 제3당이자 야권연대의 주역으로 정치적 위상이 달라졌다. 이번 부정은 당 내부의 보직이 아니라 국민을 대표하는 국회의원을 뽑는 과정에서 일어났다. 소수 진보세력 내부의 문제가 아니라 대한민국 정당정치의 문제다. 보수와 진보 간 정치공방이 아니라 민주절차를 무시한 몰상식과 반(反)민주성에 대한 비판이다.
진보당 당권파는 30년 전 운동권 시절의 피해의식에서 벗어나야 한다. 세상은 달라졌다. 진보당을 아끼는 사람들마저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는 이유를 깊이 생각해봐야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