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dereliction of duty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 dereliction of duty

Major public office holders like representatives of the National Assembly strongly impact the lives of ordinary citizens as they enjoy privileged access to the state’s classified information, enact laws and have a right to monitor the administration’s activities. As such, voters who elect them to office are entitled to ask what kind of beliefs they have on key issues involving national security. It is their duty to answer such questions. That is a fundamental principle of a civil society that goes far beyond the technical realm of the law.

On MBC’s “100 Minutes Debate,” a popular current affairs talk show, an audience member asked Lee Sang-kyu - the opposition Unified Progressive Party’s lawmaker-elect from Gwanak B District, Seoul - how he sees North Korea’s human rights situation, its nuclear ambition and its unprecedented third-generation dynastic succession of power. Lee flatly refused to answer the question, saying it’s wrong to demand answers about an individual’s ideological affiliation as “it suffocates their freedom of conscience.”

Such an incomprehensible response from a key figure of a leftist opposition party is not rare. Lee Jung-hee, when she was a chairwoman of the now-defunct Democratic Labor Party, responded to a question on a radio program two years ago in the same manner. When the audience asked her if the North attacked the South in the Korean War or vice versa, she refrained from answering, saying she would come up with her own answer after thoroughly studying the cause of the war. “Hot debates are still going on,” she claimed.

Lee, of course, is entitled to his own ideas about North Korean issues, even a right to claim there is no problem with Pyongyang’s dynastic power succession or its nuclear weapons. In fact, Lee Seok-gi, a lawmaker-elect from the largest faction of the UPP, said in an interview that he sympathizes with the view of Song Du-yul, a sociology professor at University of Munster, that North Korean issues must be approached through its own internal logic.

But free thinking and free talking are different matters. A right to reserve answers to such major questions has nothing to do with freedom of conscience: It is a dereliction of duty by a public office holder. Lee Sang-kyu worked in the ‘80s as a member of the outlawed Revolutionary Party for People and Democracy. He said being asked about his ideological orientation choked his freedom. It’s the freedom of our society that is choked by his evasion.


국회의원 같은 주요 공직자는 국민에게 많은 영향을 미친다. 정부의 중요 정보를 접하고, 법을 만들며, 국정감사를 하기 때문이다. 그런 공직자가 국가와 관련된 중요 문제에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 묻는 것은 유권자의 권리다. 그리고 이에 답하는 게 그들의 의무다. 이는 법의 차원을 넘어 공동체의 원리이자 정치적 도덕이다.
최근 MBC 백분토론에서 시민논객은 통합진보당 이상규 당선자에게 북한 인권, 북핵, 3대 세습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었다. 이 당선자는 “여전히 남아있는 사상 검증은 양심의 자유를 옥죄는 것이기 때문에 이런 형태의 질문은 상당한 문제가 있다”며 답변하지 않았다. 시민논객이 유권자의 알 권리를 주장해도 그는 계속 거부했다. 통합진보당 주요 인물의 이런 대응은 처음이 아니다. 2010년 8월 이정희 민노당 대표는 라디오 프로에서 청취자가 “6·25가 남침이냐 북침이냐”고 묻자 “역사적인 논쟁들이 있다. (중략) 그 문제는 좀 더 치밀하게 생각해 나중에 다시 답을 드리겠다”고 했다.
자신의 언급한 ‘양심의 자유’에 따라 이 당선인은 법 테두리 내라면 북한 문제에 자유로운 생각을 가질 수 있다. 핵개발이나 3대 세습이 아무런 문제가 아니다라는 주장도 할 수 있다. 그런 예로 이석기 당선자는 언론인터뷰에서 3대 세습에 대해 “북한 문제에 대해서는 송두율 교수의 내재적 접근론에 공감하는 편”이라고 답했다. 이런 생각에 대해 판단하는 건 유권자의 몫이다.
하지만 자유롭게 생각하는 것과 생각을 밝히지 않는 것은 다르다. 답변 유보는 양심의 자유와 상관이 없다. 자유가 아니라 공직자 의무를 위반하는 것이다. 이상규 당선자는 법원이 반국가단체로 규정한 민족민주혁명당에서 지역 책임자로 활동한 경력이 있다. 종북(從北) 의혹에 휩싸인 만큼 그가 북한 문제를 피하면 국민은 곧 국회에 들어갈 인사에 대해 불안감을 갖게 된다. 이 당선인은 “사상 검증은 양심의 자유를 옥죈다”고 했다. 오히려 공직자인 그가 검증을 거부하면 공동체의 자유가 옥죄게 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