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s the government’s turn now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It’s the government’s turn now

The Supreme Court has upheld the ruling that Japanese companies are responsible for compensating Korean citizens who were conscripted by imperial Japan for labor during the colonial days. The highest court overturned the decisions by the Seoul High Court and Busan High Court, which ruled against the plaintiffs consisting of nine conscripted laborers who filed lawsuits against Mitsubishi Heavy Industries and Nippon Steel Corporation.

In a historically meaningful ruling, the Supreme Court has opened the door for those who were forced to work in a foreign land during the Pacific War to receive remuneration for their labor.

In the groundbreaking decision, the Supreme Court concretely refuted the Supreme Court of Japan’s judgment, which had turned down similar lawsuits by conscripted Korean laborers. We take a special note of the court pinpointing the falsehood of Japan’s argument that imperial Japan’s decrees on national mobilization and conscription should be considered circumstances of colonial rule.

The court, however, pronounced that Japan’s view collides with our Constitution that regards Japan’s colonial rule as a form of forced occupation. Another point which should be highly appreciated is the court’s judgment that the 1965 Treaty on Basic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does not cover individual victims’ rights to claim compensation on an individual basis.

In similar suits filed in Japan, victims’ charges were dismissed on the grounds that a “compulsory mobilization itself is not against the law.” U.S. courts also rejected those cases as they are “politically sensitive issues.”

Now our government should demonstrate a strong will to address the issue. So far, it has been under criticism for neglecting the heartbreaking issue on the grounds that it is an individual matter. In the case of “comfort women” - the sex slaves of the Japanese Army during World War II - our government proposed a bilateral consultation only after our Constitutional Court ruled against the government’s lackluster efforts to resolve the issue.

The government needs to persistently urge its counterpart to change its policies with the issue of conscripted Korean laborers. We hope Japan will accept a consultation according to the clause which demands disputes over how to interpret the 1965 treaty be settled through a diplomatic channel. Japan must not forget that genuine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begins with sincere self-reflection of its past.


일제 강점기에 강제징용됐던 피해자들에게 일본 기업이 손해배상을 해야 한다는 대법원의 첫 판결이 어제 나왔다. 징용 피해자 9명이 일본 미쓰비시중공업과 신일본제철을 상대로 낸 소송에 대해 대법원이 원고 패소 판결한 원심을 깨고 사건을 각각 서울고법과 부산고법으로 돌려보냈다. 이국 땅에 끌려가 강제 노역을 했던 이들이 70여년 만에 배상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렸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를 부여할 만하다.
대법원은 징용 피해자 청구를 기각한 일본 최고재판소의 판단 논리를 조목조목 반박했다. 특히 주목할 대목은 식민 지배가 합법임을 전제로 일제의 국가총동원법과 국민징용령의 효력을 인정했던 일본 측 주장의 허구성을 지적했다는 점이다. “일본의 한반도 지배를 불법 강점(强占)으로 보는 대한민국 헌법의 핵심적 가치와 충돌한다”고 선언했다. "1965년 체결된 한일 청구권 협정으로 개인 청구권까지 소멸된 것은 아니다"고 제시한 부분 역시 주목해야할 대목이다.
이번 판결이 확정될 경우 해당 기업의 국내외 재산을 통해 징용자들의 피해를 어느 정도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 동안 일본에서 진행된 소송의 경우 ‘강제동원 자체는 위법이 아니다’는 등의 이유로 기각됐다. 미국 법원에서도 ‘정치적 문제’라는 점 등을 들어 청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젠 정부가 나설 차례다. 강제징용 피해에 대해 적극적인 해결 의지를 보여야 할 것이다. 그간 정부는 일제 피해자 문제를 개인 차원의 일로 방치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경우 지난해 8월 “정부가 구체적인 노력을 다하지 않은 것은 위헌”이란 헌법재판소 결정이 나온 뒤에야 양자 협의를 일본 정부에 제안했다.
앞으로는 강제징용에 대해서도 일본 측의 태도 변화를 지속적으로 촉구할 필요가 있다. 일본 정부도 "협정의 해석을 둘러싼 분쟁은 외교 경로를 통해 해결한다"는 한일 청구권 협정에 따라 협상에 응하길 바란다. 한일 양국의 진정한 화해와 협력은 과거의 잘못에 대한 반성으로부터 시작됨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