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n Guangcheng and human right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Chen Guangcheng and human rights

Chen Guangcheng, the 41-year-old blind Chinese legal activist whose escape from home confinement has made global news, is now settled in New York with his family after a month-long ordeal that began with his dash for freedom. But few would believe China has reawakened to civil rights and free will with the international spotlight on Chen’s dramatic tale. The self-taught lawyer had been confined to his home in a small village in Shandong Province surrounded by fences and guards for annoying local authorities with his legal fights to enhance the rights of impoverished villagers. His escape and journey to the U.S. Embassy with a broken leg revealed the cruel and rampant abuses of human and legal rights by Chinese authorities.

Despite the global hype over Chen, Beijing authorities and traditional state-censored media remained aloof and untouched by his odyssey. They paid no attention to international demand for reforms in the repressive political system, tyranny in Chinese rural areas and crackdowns on dissidents. Except for users of Twitter-like Chinese microblogging Web site Weibo, a majority of Chinese were protected from the sensation Chen has created. Most conservative media groups remained mum or belittled Chen even as Beijing was engaged in a delicate tug-of-war over his fate with Washington for three weeks under strict orders from the Communist Party. Chen instead was portrayed as an outlaw who embarrassed his country and fled to the U.S.

Outspoken nationalistic host of the English channel of China’s state broadcaster CCTV, Yang Rui, who came under fire for his anti-foreign rant about throwing out “foreign trash,” bade good riddance to the blind activist in a more blunt tone: “The weak should be sympathized but still cannot be pardoned for mischief. I hope there is lasting hope and light in his world of darkness.”

Chen appeared weary in New York even as he finally gained freedom and safety with his family in the backdrop of carefully orchestrated coldness from his mother country and news of his relatives and friends in danger of reckoning by authorities. He and his family broke from Chinese confinement, but the rigidity and poor human rights record remain unchanged in China. His friends and relatives have been arrested, tortured or confined to their home, repeating his tragic ordeal. China cannot change overnight from a single event. The country should incrementally and structurally evolve into a more open and tolerant society.

* The author is a deputy political and foreign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by Chang Se-jeong



중국의 시각장애인 인권 변호사 천광청(陳光誠·41)의 극적인 탈출 드라마가 한 달만에 일단락됐다. 그러나 그의 미국 유학행을 계기로 중국에 '인권의 봄'이 왔는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천광청 사건'이 남긴 것은 무엇일까. 적잖은 중국의 지식인과 양심있는 네티즌들은 이번에 고개를 떨궈야 했다. 보편적 인권·법치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는 중국의 민낯을 백일하에 드러냈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국 정부와 주류 언론의 태도를 보면 달라진 것이 없다. 중국의 부족한 점을 되돌아보려는 자성의 움직임도 보이지 않는다. 웨이보(微博·중국판 트위터) 이용자가 아닌 일반 중국인들에겐 사건의 진상조차 제대로 전달되지 못했다. 당 선전부의 보도지침에 따라 침묵한 언론의 직무유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천광청은 혼자만 살겠다고 나라 망신 시키고 미국으로 떠나버린 돌출적인 인물로 취급 당하고 있다.
환구시보(環球時報) 후시진(胡錫進) 편집국장이 21일 신랑왕(新浪網) 웨이보에 올린 글에서 주류사회의 속내가 엿보인다. "천광청은 미국에 도착한 뒤 매우 기뻐했다. 그는 미국 정부에 감사했다. 나는 그가 미국에 오래 머물며 공부하길 바란다. 조국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그동안 벌어진 일을 냉정하게 생각해보기 바란다."
"서양 쓰레기(외국인)를 청소하자"는 발언으로 최근 유명세를 탄 국영 중국중앙방송(CCTV) 진행자 양루이(楊銳)도 한마디 거들었다. 그는 "약자를 동정하는 것이 조작을 용인하는 것을 의미하진 않는다. 그의 암흑 세계에 영원히 희망과 빛이 있기를 바란다"며 냉소를 퍼부었다.
이런 싸늘한 분위기를 잘 알기 때문인듯 19일 미국 뉴욕대학에 여장을 푼 천광청은 지친 표정이었다. 그와 처자식은 중국 밖에서 자유를 얻었다지만, 중국 국내의 인권 현실은 천광청 사건을 계기로 달라진 것이 없다. 그의 탈출을 도왔던 인권운동가 궈위산(郭玉閃·35·여)은 가택연금을 당했다. 천광청 사건이 '제2의 천광청'을 낳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이 중국의 여전한 현실이다.
물론 중국의 인권 개선은 일회성 사건으로 단기간에 '대약진(大躍進)'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때문에 인권 개선을 위한 제도적 노력이 꾸준히 이뤄져야 한다. 경제 대국이 됐다고 국제사회에서 존경 받는 나라가 될 수는 없다는 사실을 중국 지도자들이 직시할 때가 됐다. 중국 스스로 외쳐온 '사회주의 현대화'를 위해서라도 인권이란 보편적 가치는 이제 더이상 미룰 수 없는 숙제다. 인권과 법치가 꽃피는 이웃나라를 보고 싶다.
장세정 정치·국제부문 차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