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dgeting for the future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Budgeting for the future

South Korea’s national debt reached 774 trillion won ($653.6 billion) last year, the government said, in what amounts to a significant revision of its previous estimate of 420 trillion won. The new figure was compiled according to the accrual method of calculating private companies’ financial statements, which sees revenues and expenses reported when they are incurred rather than paid, and is considered more transparent than cash accounting.

The national debt surged because the government included reserves of 342 trillion won that have been set aside for pensions for public servants and military servicemen, which the state was obliged to consider current debt.

The Strategy and Finance Ministry explained that, even though the total figure for borrowing jumped, it does not indicate that new lending rose significantly. It added that there was no change to either the principal or interest that the government owes and must refinance from its tax reserves.

However, the new figure does draw attention to the nation’s future liabilities, and sets alarm bells ringing given the burgeoning onus of welfare and social programs threatens to deepen debt levels. New spending aimed at expanding welfare benefits without any regard for whether the budget can support it could one day prove calamitous.

Moreover, the revised figure does not include the 463 trillion won of debt owed by state-invested and public organizations. Reserves for the National Pension and Teachers’ Pension were also excluded on the pretext that the state does not have a direct obligation to finance these. If they are all taken into account, though, the country’s actual debt would top 1,000 trillion won.

Fortunately, most of this looks as though it will safely be repaid. But reckless financial management could trigger a disaster on a similar level to what has been happening to debt-saddled states like Greece, Portugal or Spain. The government should exercise discretion in new social and welfare spending to better manage its finances, and the National Assembly and aspiring presidential candidates should take note.


지난해 말 우리나라의 국가부채가 모두 774조원이나 된다고 한다. 기왕에 정부가 발표한 국가부채 420조원에 비해 거의 두 배 가까운 수치다. 정부가 일반 기업의 재무제표처럼 발생주의 기준으로 국가부채를 다시 집계한 결과다. 발생주의 회계방식은 현금이 실제 오간 시점을 기준으로 재무상태를 파악하는 기존의 현금주의 방식과는 달리 거래가 실제 일어난 시점을 기준으로 삼는다. 이번에 국가부채가 크게 늘어난 이유도 국가가 지불의무를 갖고 있는 공무원연금과 군인연금에 대한 장래의 충당금(342조원)을 현재 시점에 부채로 반영했기 때문이다.
기획재정부는 새로운 기준에 따라 국가부채의 수치가 갑자기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정부가 돈을 빌린 차입성 부채가 실제로 늘어난 것은 없다고 해명한다. 당장 국민 세금으로 원금과 이자를 갚아야 할 나랏빚은 종전과 달라질 게 없다는 얘기다. 맞는 말이다. 그러나 실제 빚이 늘지 않았다고 안심할 일은 아니다. 오히려 장래에 나랏빚이 그만큼 늘어날 수 있다는 준엄한 경고로 받아들여야 한다. 특히 늘어난 잠재 부채가 공무원연금과 군인연금 등 복지지출에서 발생했다는 사실은 포퓰리즘에 경도된 복지 확대가 자칫 재정의 건전성을 크게 해칠 우려가 크다는 전조이기도 하다. 재원이 뒷받침되지 않는 복지 지출은 재정을 거덜내고 결국은 빚으로 메울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사실 이번에 새로 집계한 국가부채에는 463조원에 이르는 공기업부채는 포함되지 않았다. 또 직접적인 지급의무가 없다는 이유로 국민연금과 사학연금도 집계대상에서 빠졌다. 이러한 잠재적 국가부채를 모두 포함할 경우 나랏빚은 1000조원을 훌쩍 넘어선다. 물론 이런 부채가 모두 부실화할 가능성은 작다. 그러나 방만한 재정운용은 언젠가는 반드시 재정위기를 부른다는 사실은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남유럽 국가들이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지금부터라도 과도한 복지지출의 확대를 자제하면서 재정의 건전성을 강화하는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19대 국회와 잠재적 대선주자들도 이 점을 명심하기 바란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