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der doesn’t equal security
As the presidential race heats up, candidates increasingly make provocative remarks against rivals about their gender or background. But biased statements cannot be justified as they can inflict serious damage on the universal values of our society.Saenuri Party lawmaker Lee Jae-oh, who announced his candidacy for president, responded to a question on female leadership in an interview with foreign correspondents by saying, “It is too early for us to have a female president without experience in the military amid tense confrontation with North Korea.”
Of course, knowledge and experience in military and security affairs are significant qualifications for the president in a country constantly exposed to security threats from Pyongyang. However, if you say female presidential candidates have critical flaws just because they don’t have to serve in the military, it is not only misleading but also simply wrong. It can also invite a strong backlash.
National security capability does not depend on gender. Margaret Thatcher, the first female prime minister (1979-1990) in Europe, deftly responded to Northern Ireland’s violent independence struggle. In 1982, she successfully led and won the war with Argentina when it occupied the Falkland Islands.
The group with no expertise in military affairs Rep. Lee referred to also includes President Lee Myung-bak, who didn’t serve in the Korean military for health reasons. But Rep. Lee earnestly rooted for him as a presidential candidate for the party five years ago and clinched a victory in the election.
Afterward, he served as one of the most powerful figures under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Rep. Lee had served in prison for anti-government activity in 1979 aimed at achieving national liberation. Doesn’t that pose a more serious threat to our national security?
Gyeonggi Governor Kim Moon-soo also said recently, “When I was young, I wanted to devote myself to the cause of promoting the public good. So I thought about living a life of celibacy just like monks and nuns do. But I chose marriage as I was afraid I could not remain abstinent for the rest of my life.”
Marriage or celibacy is an individual choice and the environment which defines one’s life is different from one another. It is wrong to find fault with an individual’s choice because it is about respect for his or her privacy. If Governor Kim’s remarks were aimed at Park Geun-hye, it is an unjust attack.
본격적인 대선 레이스가 시작되면서 성(性) 차별이나 인신(人身) 문제를 거론하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이는 정당하지 못하거니와 해당되는 후보는 물론 사회의 가치 체계도 손상할 수 있다. 새누리당 이재오 의원은 최근 외신기자클럽 회견에서 여성 리더십에 대한 질문을 받고 “분단 현실을 체험하지 않고 국방을 경험하지 않은 상태에서 단순히 여성이라는 이유로 리더십을 갖기에는 어려움이 있다”며 “시기상조”라고 주장했다. 한국과 같이 안보위협에 노출되어 있는 나라에서는 군사나 안보문제에 대한 식견과 경험이 중요한 대통령 자질이 되는 것은 맞다. 그러나 군대를 가지 않는 여성이어서 이런 능력에 결함이 있다는 주장은 역사나 현실에 맞지 않다. 자칫 성차별을 부를 수 있어 위험하기도 하다. ‘안보 능력’은 군복무 여부나 남·녀 차이에 결정적으로 좌우되지는 않는다. 마가렛 대처는 유럽 최초의 여성총리(1979년~1990)였다. 그는 북아일랜드 독립투쟁 테러에 기민하게 대처했다. 1982년엔 지구 반대쪽에 있는 영국영토 포클랜드섬을 아르헨티나가 침공하자 전쟁을 벌여 승리로 이끌었다. 이재오가 말한 ‘국방을 경험하지 않은 상태’는 여성뿐 아니라 이명박 대통령처럼 군대에 가지 않은 남성도 포함된다. 이 의원이 이명박 후보를 대통령으로 밀었고 승리하여 정권의 실세 역할을 한 건 뭔가. 이 의원은 1979년 반국가단체 남민전에 연루돼 징역을 살았다. 굳이 따지자면 그 게 오히려 더 심각한 ‘안보 위해 요인’일 수 있지 않은가. 김문수 경기지사는 최근 “어릴 때 꿈은 공공을 위해 몸을 바치는 것이었지만 결혼을 안 하는 것은 위선(僞善)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혼자 살면서 스님이나 수사님들처럼 금욕적 삶의 윤리를 못 지킬 것 같아 내면의 정직함을 위해 결혼했다”고 말했다. 결혼이나 독신은 개인의 선택이다. 삶을 규정하는 환경은 개인마다 다르다. 특정인의 선택을 여론의 도마 위에 올려서는 안 된다. 이는 ‘독신자의 지도자 능력’ 문제 이전에 ‘개인에 대한 존중’ 문제다. 김 지사 발언이 ‘독신 박근혜’에 대한 언급이었다면 이는 부당한 공격이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