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abuk incident and reconciliation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Sabuk incident and reconciliation

In April 1980, when the new military authorities were looking to seize power, 26-year-old poet Choi Seung-ho was teaching at Sabuk Elementary School in Gangwon. The poems that won him the Today’s Writer Award two years later were being written in the remote mining town. He wrote “Snow Storm Advisory” while in Sabuk:

On the snowbell trees and over the chimney of a remote house burning woods,

In the white mountains and valleys winding like a tsunami,

The snowstorm brings white martial law.

The poem mirrored the tense and violent atmosphere at the time, and it took great courage to mention martial law at all. Another poem, “Sabuk, April, 1980,” depicts the Sabuk incident:

Stones of hatred and detestation are thrown.

The stones are scattered around the street.

Dark shadows are colliding, growling

and tearing each other.

Choi witnessed the large-scale bloodshed triggered by the discord surrounding the labor union leader election at the Sabuk Mining Center. He had accompanied his students home and spotted Kim Sun-i, wife of the union leader, tied down by ropes and beaten by a group. Several police officers took refuge in the school, and he helped them change into tracksuits and escape the angry miners. After the crisis was settled, the martial law authorities arrested the miners on strike and tortured them severely. Many of the students at the elementary school said their fathers went missing suddenly. Choi recalls that he had witnessed violence from both sides.

Around the same time, JoongAng Ilbo reporter Tak Gyeong-myeong was in the middle of the Sabuk incident. He was taking photos when the military arrested the organizers of the strike, and he was beaten up with the butt of a rifle and passed out. He was taken to the authorities and suffered terrible torture. One of his ears lost hearing, and he still suffers from psychological trauma. He attempted to write about the torture in the newspaper, but the military authorities’ censorship controlled the news. The JoongAng Ilbo printed the section assigned for his article as a blank column, and Mr. Tak was dismissed forcibly. Seven years later, the JoongAng Ilbo reinstated his position.

Now 70-year-old Tak recently concluded a meaningful project of bringing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to those involved in the Sabuk incident. Most of the people that had been involved in the case are now in their 70s or older. Tak published “Sabuk Incident: Reconciliation after 33 Years.” It, too, is a masterpiece.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Noh Jae-hyun


'충격 그 사건' 취재기자도 고문에 귀 멀고…
"무덤까지 응어리 갖고 가나" 용서와 화해를 말하자 노인들 마음이 열렸다

신군부가 권력을 장악하고 집권 기회를 노리던 1980년 4월, 스물여섯 젊은 시인 최승호는 강원도 정선군 사북초등학교 교사였다. 2년 뒤 그에게 '오늘의 작가상'을 안겨준 시들이 산골 탄광촌에서 속속 태어나고 있었다. 선두에 '대설주의보'가 있다. '…때죽나무와 때 끓이는 외딴집 굴뚝에 / 해일처럼 굽이치는 백색의 산과 골짜기에 / 눈보라가 내리는 백색의 계엄령'으로 끝나는 시에서 당시의 살벌한 정국이 읽힌다. '계엄령'을 언급하는 자체가 대단한 용기였다. 최씨의 다른 시 '사북, 1980년 4월'은 사북사건을 그리고 있다. '증오와 증오의 투석이다 / 거리엔 집단적인 돌들이 깔려 있었다 … 먹구름과 먹구름의 충돌이다 / 서로 으르렁거리고 찢어지고…'.
최 시인은 사북광업소 노조지부장 선거를 둘러싼 갈등이 발단이 된 대규모 유혈사태를 목격했다. 학생들을 귀가시키느라 쌍굴다리까지 갔다가 밧줄에 묶여 집단 린치를 당하던 노조지부장 부인 김순이씨를 보았다. 비참한 몰골에 거의 실성한 사람처럼 보였다. 광부들에게 쫓긴 경찰 6~7명이 학교로 피신해 들어왔다. 급한대로 트레이닝복으로 갈아입혀 뒷산을 타고 달아나게 했다. 사태가 진정된 뒤 계엄당국은 파업 광부들을 가혹하게 체포·고문했다. 반마다 아빠가 갑자기 없어졌다는 아이들이 속출했다. 최 시인은 "나는 양쪽의 폭력성을 다 보았다"고 회고한다.
같은 시기 중앙일보 기자 탁경명은 사북사건을 온몸으로 겪었다. 계엄군에 주동자들이 연행되는 장면을 촬영하다 총 개머리판에 맞고 실신했다. 끌려가 지독한 고문을 당했다. 한쪽 귀가 멀었고, 지금도 갖가지 후유증을 앓고 있다. 고문 사실을 기사화하려 했으나 군부의 검열이 가로막았다. 중앙일보는 기사 공간을 백지로 두고 신문을 발행했다. 보복이 가해져 탁씨는 강제해직됐다. 7년 뒤에야 복직할 수 있었다.
최 시인의 '대설주의보'는 시사(詩史)에 남는 명작으로 자리매김됐다. 올해 70세인 탁경명씨는 또 다른 의미 있는 작업을 최근 마무리했다. 사북사건 관련자들의 '용서'와 '화해'였다. 지난 2년간 전국을 다니며 당시 노조 지부장과 반(反)지부장 측, 회사·경찰 등 30여 명을 만나 "마음 속 응어리를 무덤까지 갖고 가려 하느냐"며 설득했다. 대부분 70세를 넘긴 관련자들이 하나 둘 탁씨의 호소에 응했다. 올해 3월3일에는 파업지도부였던 이원갑(73)씨와 억울하게 린치당한 김순이(76)씨의 만남을 성사시켰다. 이씨가 용서를 빌었고 김씨는 받아들였다. 탁씨는 화해의 대장정을 기록한 책 『사북사건, 33년만의 화해』를 며칠 전 펴냈다. 주변을 돌아보자. 피비린내 나던 사북사건 당사자들도 기적 같은 화해를 이루었다. 우리 일상의 소소한 응어리야 그에 비하면 얼마나 하찮은가.
노재현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