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mping outside our comfort zone

Home > 영어학습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Camping outside our comfort zone

Camping is one of the hottest hobbies in Korea. There are an estimated one million campers in Korea, and camping is a 30 billion won ($26.3 million) a year business. With the school summer vacation starting soon, the estimated 600 campsites around the country will surely be full.

However, some campsite operators unlawfully destroy the forest and fail to properly treat wastewater.

Camping equipment has evolved dramatically. Tents used to be erected by pounding in pegs and putting up poles. You spread a blanket and dug a drain. A shade blocked the sizzling sun and nighttime warmth was achieved by digging the site deeper.

The trendiest tent these days is not the A-shaped one or the dome-shaped model, but the living shell tent.

The charm of outdoor living comes from getting over the inconvenience of being a part of nature. A tent should be big enough to provide a place to sleep. If you want a living room, a dining table and chairs, why not bring the entire apartment?

Many older Koreans living in the city originally came from the countryside. However, their children are repulsed by squat toilets and scared of crickets. Grownups may feel nostalgic about living in nature, but their children experience a completely new world.

As long as safety is maintained, they’ll learn more if they experience maximum inconvenience.

German pedologist Joachim Mohr, in “What is the True Knowledge,” suggested that a 7-year-old needs to learn how to make and extinguish fire in the outdoors and make a snowman, sand castle and dam on a stream. A 7-year-old should have climbed up a tree and have fallen into a stream. A 7-year-old must know he can’t get everything he wants. It is just not healthy to fret about getting dirt on clothes or getting wet outdoors.

We need to let urban kids find out for themselves that nature is great, but not always kind.

They should learn that it takes effort to find food, cook, clean and pack. They should learn that it takes skills and experience to choose the best rock to sit on. They shouldn’t worry about getting a mosquito bite or sunburn. When they have to go pee and step out of the tent alone, they should know the eerie silence of the dark forest, hear the chirping birds and fear the unknown, emotions also felt by our ancestors.

That’s when children learn about the beauty of camping in nature. After all, camping is meant to be uncomfortable.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Noh Jae-hyun

       요즘 캠핑이 시쳇말로 ‘대세’다. 너도나도 SUV(스포츠유틸리티 차량)에 텐트를 싣고 시골로 시골로 달려간다. 국내 캠핑 인구 100만명, 관련 시장규모는 3000억원을 넘어섰다. 곧 초·중·고교가 방학에 들어가면 전국 600여 곳 캠핑장이 텐트로 빼곡히 뒤덮힐 게 뻔하다. 일부 캠핑장 업주는 주변 숲을 멋대로 깎아내고 오·폐수 정화시설도 안 갖춰 말썽을 빚고 있다고 한다.    캠핑 장비도 많이 달라졌다. 예전엔 중심막대 세우고 사방에 펙(peg)을 박아 텐트를 친 뒤 바닥에 돗자리 깔고 배수로를 파면 대충 끝났다. 뜨거워진 해는 그늘막으로 가렸다. 밤에 덜 떨며 자려면 텐트 칠 자리부터 깊이 파야 한다는 것은 군대시절 동계훈련 때 배웠다. 그러나 요즘 유행은 에이(A)형도 돔형도 아니고 거실형 텐트란다. 야외생활의 매력은 불편함을 감수하는 데 있다. 잠자리면 충분하지 거실·테이블·의자까지 갖추는 것은 아무래도 아니다. 아예 아파트를 통째로 뜯어서 갖고 가던가.    기성세대는 도시에 살아도 고향이 시골인 사람이 많을 것이다. 자녀들은 다르다. ‘푸세식’ 화장실을 무서워하고 풀섶에서 몸을 흔들거리는 사마귀 한 마리에도 기겁한다. 자연 속에서 겪는 불편함에서 어른들은 향수를 느끼지만 아이들은 전혀 새로운 세계를 맛본다. 기본적인 안전을 보장하는 한도에서 최대한 불편하도록 해줘야 교육효과도 크다. 예를 들어 독일의 아동학자가 제시한 ‘자녀가 7살이라면 배워야 할 것들’, 즉 ‘야외에서 불을 피우고 끌 줄 알아야 한다’ ‘눈사람·모래성과 개울가 둑을 만들어본 적이 있어야 한다’ ‘나무에 올라가 보고 개울에 빠져봐야 한다’ ‘원하는 걸 모두 얻지 못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등은 아이가 실제로 시도를 해봐야 가능하다(요아힘 모르 외, 『무엇이 과연 진정한 지식인가』). 야외에서까지 흙 묻히지 말라, 옷 적시지 말라, 나무에 올라가지 말라고 너무 조바심 치는 건 볼썽사납다.    도시생활에 젖은 아이들에게, 자연이 좋긴 하지만 그닥 친절하지는 않다는 것을 깨닫게 해줄 필요가 있다. 먹거리를 구하고 요리하고 먹고 치우고 싸고 잠들고 깨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하는 데 얼마나 많은 수고가 깃드는지 스스로 느끼게 해야 한다. 깔고 앉을 돌 하나 고르는 데도 요령이 있다는 걸 알게 해야 한다. 모기에 물리고 따가운 햇볕에 팔과 등의 피부가 벗겨져도 크게 걱정할 것 없다. 한밤중에 쉬야가 마려워 혼자 텐트 밖으로 나섰을 때, 캄캄한 산속의 괴괴한 정적과 수상한 새소리, 뒤이어 밀려드는 무언가 모를 공포감을 통해 당신의 자녀는 아득한 원시시대 조상들과 똑같은 체험을 공유하게 된다. 그것만으로도 큰 공부다. 여하튼 캠핑은 불편해야 맛이다.
노재현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What’s Popular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