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olent drunkards are walking bomb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Violent drunkards are walking bombs

We often call out-of-control drunks “drunken dogs” as their behavior can resemble that of animals at the height of their drinking sessions. Recently, I read that a drunken woman bit a policeman. But I didn’t judge the woman. I only thought about how not long ago I was in danger of becoming a dog as well.

When I plan to drink, I usually leave my car in Gyeonggi and ride the subway to Seoul. One day, I had a few drinks before taking the Jungang line. I got off at Deokso to transfer but fell asleep on a bench while waiting for the next train. Fortunately, my husband called me just in time and I managed to return home. I remember keeping a tight grip on my handbag but don’t recall much else.

The incident really got to me, though, and I have learned my lesson. I no longer drink more than I can stand. But making such a decision is not easy in a society such as ours, which has deep historical ties to drinking.

Take for instance the poem created by Jeong Cheol, a minister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jo in the Joseon Dynasty (1392-1910).

“Let’s have a drink, and let’s have another,” it reads. “Pick a flower for every drink, and drink as much as you can. When I die, I’ll be tied up with a rope and loaded onto a carrier to the grave. In the thick forest of oaks and poplars, who will offer me a drink?”

The piece of writing embraces indulgence in alcohol as much as it does nihilism and appreciation of the arts.

Yet our history is no excuse for excessive alcohol consumption. Binge drinking is poisonous to the body and causes trouble for others.

Violence caused by alcohol consumption is not limited to kicking doors or throwing objects. There are murders and serious assaults committed in drunken stupors. On Wednesday, a drunken man locked up his wife and murdered her. He was caught after neighbors called the police. The husband said that he was so drunk he could not remember what happened, but that doesn’t change the fact that he is a murderous animal.

In the month of June, more than 100 people were caught in a police crackdown on violence caused by alcohol consumption. In the past, these drunkards would be released with just a warning, but they certainly deserve more severe punishments.

As we say, drunken drivers and violent drunkards are walking bombs. Those who cannot control themselves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are explosive. So people with these tendencies should take precautions when drinking or not drink at all. In the end, it’s all up to you. Make the right choice.

*The author is a guest columnist of the JoongAng Ilbo.
By Eom Eul-soon

‘술 먹은 개.’ 술에 취해 이성을 잃은 행동을 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개에게 직접 술을 먹여보지 않아서 개가 술을 먹으면 어떻게 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술 취해 경찰 허벅지를 깨문 여자도 있는 걸 보면 개가 맞을지도 모르겠다.
얼마 전, 나도 거의 개 될 뻔했다.
술 약속이 있는 날은 늘 차를 양평에 놔두고 지하철을 이용해 서울로 출근한다. 그날도 술 몇 잔 걸치고 중앙선 기차를 탔다. 덕소에 내려 갈아타려고 기차를 기다리다가 그만 벤치에서 잠이 들어 버렸다. 다행히도 남편의 전화벨 소리에 깨어 정신 차리고 기차를 타고는 가까스로 집으로 돌아왔다. 술이 취해 벤치에서 잠을 자면서도 가방은 두 손으로 꼭 움켜쥐었던 것만 간혹 기억날 뿐 다른 건 영 백지다. 앞으로는 감당 못할 만큼의 술은 사양하련다.
‘한잔 먹세 그려. 또 한잔 먹세 그려. 꽃 꺾어 산(算)놓고 무진무진 먹세 그려. 이 몸 죽은 뒤에 줄로 꽁꽁 묶어진 체. 지게 위에 거적 덮어 무덤으로 메고 가니. 억세 속세 떡갈나무 은백양이 우거진 숲 속에서…그 누가 날 보고 한잔 먹자 하리오.’
조선조 14대왕 선조 때 예조판서를 지낸 송강 정철의 그 유명한 장진주사(將進酒辭)의 일부다. 꽃을 꺾어 수를 세어가며 술을 먹자고 한다. 음주에 대한 탐닉 그리고 허무주의와 더불어 사대부들의 풍류의 미학이 엿보이는 아름다운 시다.
술은 인류 역사 이래 인간과는 뗄 수 없는 관계다. 지나친 음주는 자신에겐 독이 되고 남에겐 개가 된다.
주취폭력-. 남의 집 현관문을 발로 차고 관공서가서 행패부리고 이제는 살인까지. 도를 넘어 심각하다. 지난 4일, 강동구 반 지하 자택에서 술 취한 남편이 조선족 아내를 방에 가둬놓고는 흉기로 살해했다고 한다. 결국 이웃 주민들의 신고로 검거되었다는데. 오랫동안 직업이 없는 남편에게 생활비를 대주던 부인을 찔러 죽이고 나서 그 남편 입에서 나온 말이 ‘술에 취해 무슨 일이 있었는지 기억이 나지 않아’였다니. 술 먹은 개를 넘어 그는 살인병기였던 거다.
지난 한달 주취폭력으로 단속에 걸린 사람이 서울에서만 100명이 넘는단다. 그 동안은 ‘술김에 해서 기억이 안 나’ 하면 쉽게 용서해주었다. 당연히 걸린 사람 대부분이 상습범이다. 용서는커녕 가중처벌이 맞는 거다. 이번 기회에 두 번 다시 못하도록 엄중 처벌하자.
술 마시고 운전하면 달리는 폭탄이라 하듯이 술 마시고 폭력을 휘두르는 것도 걸어 다니는 폭탄이다. 술로 인해 자기통제가 안 되는 사람이 운전을 하건 폭력을 휘두르건 똑 같은 폭탄이다.
꽃을 꺾어, 마신 잔을 세어가며 마시던지, 무진무진 먹자며 풍류를 즐기던지. 다 자기 선택이다. 어쨌거나 남에게 폐는 되지 말자.
통계적으로 비 오는 날 술집에 손님이 더 많다는데 계속되는 장마에 여기저기 ‘개’ 되는 사람 많을까 걱정이다.
엄을순 객원 칼럼니스트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