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ume reunions before it’s too late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Resume reunions before it’s too late

테스트

On the evening of Aug. 10, North Korea’s state-run broadcaster announced that Seoul had signaled its intent to resume family reunions two days earlier and made demands that were hard to accept.

On Aug. 8, Seoul proposed a working-level Red Cross contact on Aug. 17 in Gaeseong or Munsan through a telephone communication via a Panmunjeom liaison. With no previous communication, the ball was in the North’s court. But rejection was expected, since Pyongyang had demanded the lifting of the May 24 sanctions and resumption of Mount Kumgang tourism as preconditions for any reunion.

North Korea was certainly reluctant to resume the reunion meetings, but Seoul also contributed to the rupture by not handling the issue properly. Considering Pyongyang’s antagonism toward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and the ardent wishes to reunite with separated family members, a reunion should have been approached carefully and strategically. However, the government made a sudden proposal knowing full well it would be rejected, expressing regret for linking a reunion with other issues.

The separated families are frustrated by the attitude of the Ministry of Unification, which they say lacks both a plan and the will to make a reunion possible. Minister Yu Woo-ik and the ministry are focusing on the Unification Jar to save up 55 trillion won ($48.68 billion) to finance unification in 20 years.

That will be too late for many. Of the 128,000 people who applied for the reunions, more than 51,500 have died, and 79 percent of those remaining are age 70 or older. As the meetings are delayed, they are growing more desperate.

There had been two reunion meetings each year since the first inter-Korean summit in 2000. But the meetings have been suspended since Pyongyang attacked Yeonpyeong Island in November 2010. Since the Lee administration has been especially strict on humanitarian assistance, Pyongyang may be stalling on the reunion issue in protest.

However, the true strategy should be to bring Pyongyang to the negotiation table even if it is not willing to associate with the South. If the president really cares about the people who have been separated from their loved ones and are growing old, he has no reason not to make a progressive and meaningful proposal for family reunions in his Liberation Day address. It may be a good idea to send a special envoy to resolve the issue. He should not give up because his term is nearing its end. If his presidency were a 90-minute soccer match, he would have about 10 minutes to play. Half-hearted approaches will accomplish nothing.

The author is a deputy political news editor.

by Lee Young-jong


그들 죽은 20년후 상정 '55조원 사업'만 신경
아니면 말고 식 상봉은 안 된다
지난 10일 밤 통일부는 부산했다. 북한 관영매체가 남측이 이틀 전 비밀리에 이산상봉을 타진한 사실을 공개하며 수용하기 난감한 조건을 달고 나온 탓이었다.
우리 정부는 지난 8일 판문점 연락관을 통한 전화 통지문으로 “적십자 실무접촉을 17일 개성 또는 문산에서 갖자”고 북측에 제안했다. 사전 물밑 교감이나 조율을 거치지 않은 채 북측으로 공을 던졌던 것이다. 상봉의 전제조건으로 5.24 대북제재 해제와 금강산 관광 재개를 요구했던 북한이 이 제안을 거부한 건 예상된 수순이었다.
기본적으론 상봉을 외면한 북한의 태도가 문제였지만, 정부의 안일한 일처리 방식도 원인을 제공한 면이 있다. 이명박 정부에 대한 북한의 반감과 고령 이산가족의 간절한 기대를 감안하면, 이산가족 상봉 재개는 매우 신중하고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한 사안이었다. 그런데도 정부는 튕겨나올 줄 알면서도 덜커덕 제안을 했고, 거부반응이 나오자 기다렸다는 듯 “상봉과 무관한 문제를 연계한 건 사실상의 거부다. 유감이다”며 문을 먼저 닫아버렸다.
이런 통일부의 태도에 이산가족 사이에선 비판이 쏟아진다. 상봉을 성사시키려는 강력한 의지와 치밀한 준비가 없다는 게 요지다. 그들의 마음은 절박하다. 류우익 장관과 통일부는 55조원의 통일대비 재원을 모으는 통일항아리 사업에 전력투구하고 있다. 20년 뒤 통일을 상정한 프로젝트다. 그런데 그 시점에 고령 이산가족 대부분은 유명을 달리한다. 12만8000여명의 상봉 신청자 중 이미 5만1500여명이 세상을 떠났다. 생존자 중 70세 이상 고령자 비율이 79%다. 시간이 흐를수록 이들의 절박함은 더해져만 간다.
상봉은 2000년 첫 남북 정상회담을 계기로 해마다 두 차례 정도 이어졌다. 하지만 2010년 추석 이후 중단상태다. 그 해 11월 연평도 포격도발을 자행한 북한의 대남 위협과 도발 때문이다. 북측으로선 인도적 지원에 깐깐한 이명박 정부에게 ‘나도 당신들이 원하는 인도적 문제를 풀어주지 않겠다’는 반발심리도 섞여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상종 않겠다’는 북한을 협상 테이블에 앉히는 게 진정한 전략이고 정책 유연성 아닐까. 이산의 한을 안고 숨져가는 실향민을 생각한다면 대통령의 8.15 경축사에 전향적이고 무게 실린 상봉 제안을 못 담을 이유가 없다. 대북특사 파견을 통해 타결을 시도하는 것도 좋다. 임기가 얼마 남지 않았다고 포기하면 안 된다. 90분 축구경기로 치면 남은 시간은 10분이나 된다. 성사되면 좋고 아니면 말고 식으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
이영종 정치부 차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