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e choices for cell phone user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More choices for cell phone users

It has been less than three years since Koreans joined the global frenzy over smartphone innovation, but the multifunctional mobile phones have more or less become indispensable here. Over 30 million, or around 60 percent of the country’s 50 million citizens, use smartphones for voice calls, messaging and Internet connections.

Life has come under our fingertips, but at a cost. According to the Statistics Korea’s recent survey on household spending, communication expenditures averaged 154,360 won ($135) per household in the second quarter, up 9.3 percent from the same period a year earlier. It posted the steepest growth among 12 categories of household spending. The government and politicians now have another major consumer burden to worry about - mobile communication fees that take up the biggest chunk of family expenditures after food and education.

One option would be the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MVNO) wireless communications services that use network services of traditional licensed operators instead of owning and running their own infrastructure. They pay wholesale fees to offer mobile services at much cheaper rates. For the same SK Telecom mobile services offered now, for instance, a consumer could save as much as 20 percent. The model is widespread in the United States and Britain with the market rate at 8.4 percent and 12.6 percent, respectively.

The services were introduced here only two years ago and take up a mere 1 percent of the mobile services market. The country’s traditional mobile carriers SKT, KT, and LG U+ feared proliferation of the wholesale networks could hurt their businesses. As a result, just 10 percent of smartphone users are aware such services exist in the local market.

But to enhance competition and widen consumer choice in the mobile phone industry, we need a variety of business models. The MVNO services in the American and European markets have helped consumers there save on mobile phone use. Sensing business opportunity, large retail companies are jumping into the wholesale mobile communication market.

Authorities should also widen retail venues and channels for consumers to buy phones without going through mobile carriers. Especially as people can no longer get by without a cell phone, they should have the choice of finding affordable phones at fair rates.


국내에 스마트폰이 도입된 지 채 3년이 지나지 않아 스마트폰 가입자 3000만 명 시대를 맞았다.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면서 편리함을 가져다 주었지만, 동시에 통신요금 부담도 커졌다.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올 2분기 가구당 통신비는 15만436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3% 늘었다. 조사 대상인 12개 항목 가운데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제 가계 지출 가운데 식비·교육비 다음인 통신비의 거품을 어떻게 뺄지가 선거 때마다 도마에 오를 만큼 사회적 관심사가 됐다.
 그 유력한 대안의 하나가 이동통신재판매(MVNO)라는 알뜰폰 서비스다. 이 사업은 기존 이동통신사업자(MNO)들의 통신망을 빌려 쓰기 때문에 통신망을 까는 비용이 들어가지 않아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똑같은 통화 품질에다 가격은 20% 이상 싼 경우가 많다. 오래전부터 이 서비스가 도입된 선진국에선 MVNO가 틈새시장에서 확실히 뿌리내렸다. 미국의 MVNO 시장 점유율은 8.4%이며, 영국은 12.6%에 이르고 있다. 이에 비해 우리는 2년 전에야 처음 허용했으며, MVNO의 점유율은 고작 1%에 불과하다. 그동안 SKT, KT, LGT 같은 MNO들은 자신들의 수익성을 해칠까 봐 알뜰폰 확산을 꺼려왔던 분위기였다. 이로 인해 알뜰폰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도 10% 수준에 머물렀다.

 하지만 통신시장에 경쟁을 불어넣고, 이용자의 선택권을 넓히려면 새로운 자극이 필요하다. 이미 미국과 유럽에서 MVNO 서비스가 통신요금 인하를 주도하는 등 나름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마침 지지부진하던 국내 알뜰폰 서비스에 거대 유통기업들이 가세하기 시작한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이번 기회에 이통사를 거치지 않고 다양한 유통망에서 휴대전화를 사고 팔 수 있는 휴대전화 자급제(블랙리스트 제도)도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알뜰폰 서비스가 시장에 확실히 자리 잡을 수 있는 환경을 서둘러 마련해야 할 때다. 소비자의 선택권이 다양해져야 통신요금 인하와 단말기 가격 안정을 기대할 수 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