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llenges of a 1-person household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challenges of a 1-person household

테스트

There used to be a time when people considered you an old bachelor or a spinster if you remained unmarried after the age of 30. The older singles would be reluctant to visit families for the holidays because they would have to deal with unpleasant concerned voices. And this time was not so long ago.

But nowadays, we no longer use words like “old bachelor” and “old maiden.” In fact, we can find many single men and women around us. Some people have yet to meet the right partner, and others remain single because they cannot afford to get married. But there are also people who choose not to get married and deliberately remain single. They consider marriage a choice, not a requirement in life. And as the extended family system has collapsed, an increasing number of seniors live alone. When children grow up and leave home, the older couple remains in the empty nest, and when one spouse passes away, the remaining one has to live by him or herself.

In rural areas, more seniors live alone. In Goheung County, South Jeolla, one in four households is a “single-senior family.” Divorce and separation also make some people single again. Some “wild goose” fathers send their families abroad and live alone, supporting them financially but living separately. Structurally, the one-person household is on the rise.

This trend is supported by statistics. According to Statistics Korea’s 2012 survey, there are over 4.3 million single households in the country, about 25.3 percent of total households. The number of single households has surpassed two-person households, which make up 25.2 percent, by a small margin. Single-person households are expected to increase even more, and Statistics Korea expects it to grow to up to 34.4 percent of total households.

While the family composition rapidly changes, the system and customs are still backward. The social systems and policies on welfare, taxation and housing are still centered on the multiperson household. If you want to benefit from income tax deductions, you need to have a spouse or supporting family members to claim as dependents. The one-person households are excluded from the public housing assignments, including the permanent housing lease. The layouts or forms of the project housing generally accommodate multiperson households. Even eating is still a problem. It is still uncomfortable and awkward to walk into a restaurant by yourself and have a meal alone.

The extended family has evolved into nuclear families, and the nuclear families are rapidly shifting to one-person households. However, the social system has been slow to catch up with the changes. The increase of one-person household should be followed with adjustment and changes in the system, custom and culture.

*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Bae Myung-bok













미혼인 채로 나이 서른만 넘겨도 노처녀, 노총각 소리를 듣던 시절이 있었다. “아직 장가도 안 가고 뭐 했느냐” “얼마나 눈이 높아서 여태 시집도 못 갔느냐”는 걱정인지 핀잔인지 모를 소리가 듣기 싫어서 명절에도 고향에 안 간다는 처녀, 총각이 많았다. 불과 얼마 전 얘기다.
 그랬던 것이 확 바뀌어 요즘엔 노처녀니 노총각이니 하는 말 자체가 사라졌다. 남녀 구분 없이 ‘싱글’ 또는 ‘싱글족(族)’이 대세다. 주위를 둘러보면 혼자 사는 사람이 의외로 많다. 마음에 맞는 짝을 못 만났거나 결혼할 형편이 안 돼 혼자 사는 사람도 있지만 독신을 고집하며 혼자 사는 사람도 있다. 결혼을 필수 아닌 선택으로 보는 사람들이다. 대가족 제도가 붕괴되면서 혼자 사는 노인들도 급격히 늘고 있다. 자식들 다 떠나보내고 덩그러니 둘만 남아 빈 둥지를 지키는 노부부 중 한 쪽이 먼저 세상을 뜨면 남은 사람은 대개 독거노인이 된다.
 시골로 갈수록 빈 집 지키며 혼자 사는 노인이 많다. 전남 고흥군의 경우 네 집 중 한 집이 노인 혼자 사는 집이다. 이혼이나 별거 등 가족 해체에 따라 다시 혼자가 된 ‘돌싱’도 많다. 가족을 외국에 보내고 혼자 사는 ‘기러기’도 있다. 이래저래 1인 가구가 늘어날 수밖에 없는 구조다. 1인 가구의 급증은 통계로 확인되고 있다. 가족 구성원 수로 따졌을 때 이미 1인 가구가 전체 가구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2년 기준으로 전국의 1인 가구 수는 435만8642가구(25.3%)로 지난해까지 가장 많았던 2인 가구(25.2%)를 근소한 차로 앞질렀다. 1인 가구는 앞으로 더욱 늘어나 2035년에는 1인 가구 비율이 전체 가구의 34.3%까지 높아질 것으로 통계청은 내다보고 있다. 부부만 사는 2인 가구(22.7%)나 부부와 자녀가 함께 사는 다인(多人) 가구(20.3%)보다 1인 가구가 훨씬 많아진다는 것이다.

 가족 구성은 급격히 바뀌고 있지만 제도나 관습은 제자리걸음이다. 복지·세제·주택 등 사회 제도는 여전히 다인 가구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하다 못해 소득공제 혜택을 받으려 해도 배우자나 부양가족이 있어야 한다. 임대주택 같은 공공주택 분양에서도 1인 가구는 찬밥 신세다. 공급되는 주택의 형태나 구조 또한 다인 가구 위주다. 싱글족을 겨냥한 가전제품이나 1인용 식품 포장이 늘고 있다지만 아직 걸음마 수준이다. 식당에 가서 밥을 한 끼 먹으려 해도 혼자서는 왠지 불편하고, 눈치가 보인다.
 대가족에서 핵가족, 핵가족에서 1인 가구로 가족 구성은 급속히 변하고 있지만 사회 시스템은 이를 못 따라가고 있다. 1인 가구의 증가에 맞춰 제도, 관습, 문화도 바뀌어야 한다. 화려한 싱글보다 초라한 싱글이 훨씬 많다.
배명복 논설위원·순회특파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