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t our teachers show their stuff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Let our teachers show their stuff

테스트


When I was in middle school in the early 1970s, my history teacher often expressed his dissatisfaction with his career. Now that I think of it, he must have felt bitter that his friends, who had been as smart as he was in school, were getting paid far more in the private sector. He made self-derogatory jokes, and it still gives me a wry smile whenever I think about him complaining about his life to us teenage boys.

Nowadays, things are different. Teaching positions are popular and teachers colleges competitive. Compared to other countries, Korean teachers are better off in many ways. Teachers in Chicago recently went on strike over evaluation procedures and extended teaching hours. While the average household income in Chicago is $47,000, the teachers get paid an average of $76,000. So many locals are not appreciating their cause.

Some American economists fanned the frustration of the teachers further by proposing to apply loss aversion theory on their evaluation. Loss aversion is a theory that losing something makes us feel worse than gaining the same thing makes us feel better. A group of economists suggested that a bonus be given to educators first and then taken away when the students do not perform well enough.

According to the Korean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five educational professions are ranked among the top 20 most satisfying jobs among 759 professions in the country. Elementary school principal topped the ranking, followed by university professor in seventh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 16th. These professions provide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doctors and lawyers, largely because of job security and flexible schedules. A teacher with 15 years of experience is one of the highest paid in the Organization of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But what’s worrisome is that the Korean teachers feel the lowest self-esteem among the OECD member countries. They do not feel confident about their abilities or proud of the guidance they are providing. What happens to teachers today? There must be reasons for the elite educators who passed the competitive entrance and license examinations to feel so frustrated and lack confidence. The primary cause seems to be influence of politics in education. In the controversy over school transcript records, voices of teachers are buried in the shouting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ome vocal superintendents, and the Korea Teachers and Education Workers Union. The teachers have no room to use any authority as they have to follow official policy from the education office and are pressured by students and parents. They gradually lose their pride and sense of worth. It is regrettable that these elite brains are unable to display their talents in teaching.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Noh Jae-hyun















1970년대 초반 내가 다니던 중학교의 국사 선생님은 교직에 불만이 많았다. 경제적 고도성장기여서 아마도 기업체에 입사한, 학창시절엔 당신보다 공부를 못했을 친구들이 높은 임금을 받는 데 마음이 상하지 않았을까 하고 지금은 짐작한다. 가르침 중 기억나는 것이 경인선 철도 개통년도(1900년)이다.
'1900'을 굳이 '아이구 공무(0無)원'으로 외우라시는 것이었다. "선생 X은 개도 안 먹는다"는 말도 자주 하셨다. 코흘리개를 갓 면한 까까머리들 앞에서 신세한탄 하던 모습에 지금도 쓴웃음이 난다.

   요즘은 정반대다. 교직의 인기가 하늘을 찌르고 교대·사범대는 웬만한 성적으론 넘보기 힘들다. 눈을 밖으로 돌려도 우리가 낫다.
미국 시카고의 공립학교 교사들은 며칠 전 교원평가와 수업시간 연장에 반대해 파업에 돌입했다. 시카고 가구당 평균 수입(연 4만7000달러)보다 훨씬 높은 연봉(7만6000달러)을 받는데 웬 파업이냐는 싸늘한 눈길도 많다.
미국의 일부 경제학자들은 교사 평가에 손실혐오(loss aversion) 이론을 적용하자고 제안해 교사들의 부아를 돋구었다. 손실혐오는 같은 돈·물건이라도 내가 가진 것을 갖고 있지 않은 것보다 더 중시하며, 잃어버렸을 때 더 애석해 한다는 이론이다.
학자들은 교사들에게 성과급을 미리 주고 학생 성적이 오르지 않으면 도로 회수하자고 건의했던 것이다. 프랑스는 3년 전 교원임용고시 응시자격을 석사학위 이상으로 높였다가 지원자가 줄어 고심 중이고, 독일·벨기에도 교직 인기 하락으로 애를 먹고 있다.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759개 직업 중 교육관련 직업 5개가 만족도 상위 20위 안에 든다. 초등학교 교장이 1위, 대학교수 7위, 초등학교 교사 16위로 의사·변호사보다 높다. 안정성과 시간적 여유 덕분일 것이다. 연봉도 15년 경력 교사는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 최상위권이다.
   걱정인 것은 우리 교사들의 자기효능감이 OECD 최하위라는 점이다. 자신의 능력을 확신하고 학생들을 성공적으로 지도해 변화시키고 있다는 자부심을 못 느낀다는 얘기다. 왜 이렇게 됐을까. 아무리 교직이 천직인 시대가 지났다 해도 어려운 입시·임용고시를 통과한 수재들이 이렇게까지 자부심을 잃어버린 데는 다른 요인이 있을 것이다. 교육의 정치화 탓이 크다고 생각한다.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여부를 둘러싼 소동을 보더라도 일선 교사의 목소리는 교과부와 몇몇 교육감, 전교조의 고함에 묻혀 들리지도 않는다. 교육청 공문과 학생·학부모의 눈총에 시달려 도대체 재량권을 발휘할 공간이 없다.
그저 몸조심이 최고라고 여기니 자연히 보람도 엷어지는 것 아닐까. 아무리 봐도 고급두뇌들을 교직에 모셔 놓고 너무 능력을 썩히는 듯해 안타깝다.
노재현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